디딤돌 중학 국어 생각독해 1 - 생각 읽기가 독해다! 디딤돌 생각독해 1
김보라 외 지음 / 디딤돌 / 2020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중학국어 독해 학습을 생각독해로 이어가고 있어요.

생각 읽기가 독해다...

 

아이들이 어려워하는 추론하는 힘을 기를 수 있는

중학국어 비문학독해문제집이네요.

 

02 빅 퀘스천 

 

쉽게 대답을 들을 수 없는 질문을 빅퀘스천이라고 하는데요.

이런 질문에 대한 답을 찾아가는 과정에서

우리 인류의 문명과 역사가 발전해왔지요.

 

이 단원에서는 빅퀘스천에 대해서 문제를 풀면서

정의와 역사와 나에 대해서 질문하는 시간을

가져보았네요. ㅎㅎ


비문학독해 사실 어떻게 공부해야할지

항상 의문을 품었는데요.

수능형으로 풀 수 있는 수준높은 비문학 문제집이라

독해는 물론 논술 문제까지

생각해 볼 수 있는 구성이 좋았네요. 


생각 읽기를 통해서

사회, 윤리 뿐 아니라 역사, 심리, 형이상학까지

배울 수 있으니

논술의 바탕이 되어주는 논제들을

생각해볼 수 있어요. 


생각 읽기 1 

사회에 정의가 꼭 필요할까

첫번째 독해 문제는 현대 사회의 윤리문제에 관한

내용인데요.

바라보는 관점에 따라 달라지는 문제에 관해서

사회 구성원의 각자의 자유와 권리가 

유지되기 위해서는

사회 구조와  제도의 정의가 필요함을

강조하고 있어요. 

이타성이나 고양, 응분등의 낱말풀이를

보면서 어휘를 이해했구요.

 

표제와 부제로 가장 적절한 것도

골라보았어요. 


견해-반론-주장-정리의 생각구조를 가진

글로 정리해보았어요.  


생각 읽기2

역사는 왜 배울까

생각 읽기 2에서는 역사는 왜 배울까 라는

문제를 다루었는데요.

 

역사는 사실로서의 역사와

기록으로서의 역사로 구분되죠.


사실로서의 역사는 객관적인 기록이구요.

기록으로서의 역사는 

역사가가 다양한 관점에서 과거 사실을

해석하고 평가하여 재구성하는 것이죠.






역사를 통해서 현재의 시각에 맞춰서

다시쓰는 역사의 개념이라고 생각해본다면

사실로서의 역사보다는 

기록으로서의 역사가

사관이라는 의미가 강합니다.


그리고 우리는 이 기록의 역사를 통해서

우리의 사회를 분석하고 우리 시대에

필요한 가치들을 얻을 수 있는 거 같습니다.


본문의 내용을 잘 이해했는지 묻는 문제들이

많이 나왔는데요.

핵심 개념을 잘 이해했는지...

기록으로서의 역사와 사실로서의 역사의

차이점을 설명할 수 있으면 될거 같네요.


원리로 생각읽기에서는

반복되는 단어에 주목해서 

기사문을 읽으면서 주제를 찾아가는 방법을

학습했어요.

지속적으로 반복되는 단어가 중심화제인데요.

이 중심화제를 찾는 것이

독해의 시작이랍니다.


독해연습을 하는 문제들을 풀어보았는데요.

틀리지않고 잘 풀었네요. ㅎㅎ


생각 읽기 3

나는 왜 나일까 

개인 동일성을 판단하기 위한 이론들이

나와 있는 비문학 지문인데요.

 

개인 동일성을 판단할 때 근거가 되는

세가지 이론을 소개하고 있는

비문학 지문이에요.

 

신체이론

영혼이론

심리이론

 

이 세가지로 개인동일성을 판단할 수 있어요. 


도입-견해-견해-견해

이렇게 이루어진 문장구조를 지닌

지문인데요.


이 글은 가정과 예시를 통해서

재미있게 글을 읽을 수 있게 

호기심을 유발하는 글이네요.


문제를 풀면서 사실 가장 어려운 부분이

추론하는 부분인데요. 

보기를 읽어보면 많은 문화권에서 신체와 별도로

영혼이 존재한다고 믿었고,

신체와 다른 별칭으로 영혼을 불렀으며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는 둘에 대해

다른 관점을 보였다고 설명했죠.


이를 통해서 신체와 영혼이론이 

등장했다고 보는 것이 

적절한 추론인거 같아서

정답을 잘 골랐습니다. ㅎㅎ 

 

중학국어 비문학 살짝 어려움도 느끼지만

수능 국어를 향한 밑거름이 되는

비문학 독해라 열심히 학습하고

있네요.  :)

 

    

아들램과 홈스쿨링
중학국어 비문학 독해 생각 읽고 추론하기 생각독해1

프로파일
 바틀비 ? 9시간 전
URL 복사  통계 

중학국어 비문학 독해 생각독해1

생각읽고 추론하기 

중학국어 독해 학습을 생각독해로 이어가고 있어요.

생각 읽기가 독해다...

 

아이들이 어려워하는 추론하는 힘을 기를 수 있는

중학국어 비문학독해문제집이네요.

 

 

02 빅 퀘스천 

 

쉽게 대답을 들을 수 없는 질문을 빅퀘스천이라고 하는데요.

이런 질문에 대한 답을 찾아가는 과정에서

우리 인류의 문명과 역사가 발전해왔지요.

 

이 단원에서는 빅퀘스천에 대해서 문제를 풀면서

정의와 역사와 나에 대해서 질문하는 시간을

가져보았네요. ㅎㅎ


비문학독해 사실 어떻게 공부해야할지

항상 의문을 품었는데요.

수능형으로 풀 수 있는 수준높은 비문학 문제집이라

독해는 물론 논술 문제까지

생각해 볼 수 있는 구성이 좋았네요. 


생각 읽기를 통해서

사회, 윤리 뿐 아니라 역사, 심리, 형이상학까지

배울 수 있으니

논술의 바탕이 되어주는 논제들을

생각해볼 수 있어요. 


생각 읽기 1 

사회에 정의가 꼭 필요할까

첫번째 독해 문제는 현대 사회의 윤리문제에 관한

내용인데요.

바라보는 관점에 따라 달라지는 문제에 관해서

사회 구성원의 각자의 자유와 권리가 

유지되기 위해서는

사회 구조와  제도의 정의가 필요함을

강조하고 있어요. 

이타성이나 고양, 응분등의 낱말풀이를

보면서 어휘를 이해했구요.

 

표제와 부제로 가장 적절한 것도

골라보았어요. 


견해-반론-주장-정리의 생각구조를 가진

글로 정리해보았어요.  


생각 읽기2

역사는 왜 배울까

생각 읽기 2에서는 역사는 왜 배울까 라는

문제를 다루었는데요.

 

역사는 사실로서의 역사와

기록으로서의 역사로 구분되죠.


사실로서의 역사는 객관적인 기록이구요.

기록으로서의 역사는 

역사가가 다양한 관점에서 과거 사실을

해석하고 평가하여 재구성하는 것이죠.


역사를 통해서 현재의 시각에 맞춰서

다시쓰는 역사의 개념이라고 생각해본다면

사실로서의 역사보다는 

기록으로서의 역사가

사관이라는 의미가 강합니다.


그리고 우리는 이 기록의 역사를 통해서

우리의 사회를 분석하고 우리 시대에

필요한 가치들을 얻을 수 있는 거 같습니다.


본문의 내용을 잘 이해했는지 묻는 문제들이

많이 나왔는데요.

핵심 개념을 잘 이해했는지...

기록으로서의 역사와 사실로서의 역사의

차이점을 설명할 수 있으면 될거 같네요.


원리로 생각읽기에서는

반복되는 단어에 주목해서 

기사문을 읽으면서 주제를 찾아가는 방법을

학습했어요.

지속적으로 반복되는 단어가 중심화제인데요.

이 중심화제를 찾는 것이

독해의 시작이랍니다.


독해연습을 하는 문제들을 풀어보았는데요.

틀리지않고 잘 풀었네요. ㅎㅎ





생각 읽기 3

나는 왜 나일까 

개인 동일성을 판단하기 위한 이론들이

나와 있는 비문학 지문인데요.

 

개인 동일성을 판단할 때 근거가 되는

세가지 이론을 소개하고 있는

비문학 지문이에요.

 

신체이론

영혼이론

심리이론

 

이 세가지로 개인동일성을 판단할 수 있어요. 


도입-견해-견해-견해

이렇게 이루어진 문장구조를 지닌

지문인데요.


이 글은 가정과 예시를 통해서

재미있게 글을 읽을 수 있게 

호기심을 유발하는 글이네요.


문제를 풀면서 사실 가장 어려운 부분이

추론하는 부분인데요. 

보기를 읽어보면 많은 문화권에서 신체와 별도로

영혼이 존재한다고 믿었고,

신체와 다른 별칭으로 영혼을 불렀으며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는 둘에 대해

다른 관점을 보였다고 설명했죠.


이를 통해서 신체와 영혼이론이 

등장했다고 보는 것이 

적절한 추론인거 같아서

정답을 잘 골랐습니다. ㅎㅎ 

 

중학국어 비문학 살짝 어려움도 느끼지만

수능 국어를 향한 밑거름이 되는

비문학 독해라 열심히 학습하고

있네요.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