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독의 꽃 - 2019년 50회 동인문학상 수상작
최수철 지음 / 작가정신 / 2019년 5월
평점 :
'참 신비로운 소설이다.' 이렇게 밖에 말을 할 수 없을 것 같다.
이틀동안 무언가에 홀린 듯이 「독의 꽃」을 읽었다. 오묘하지만 독자를 홀리는 듯한 이야기 전개가 매력적이다.
' 흥미 위주가 아닌 사색하고 문학 본질 자체의 가치를 추구하는 작품이라 때론 난해하고 여러 의견이 있을 수 있다. 하지만 곱씹어 읽다보면 작가의 의도와 새롭게 해석되는 부분을 발견할 수 있는 그야말로 다양한 매력을 가진 작품'이라고 이 소설을 소개받았는데 사실 너무 거창한 것 같아 「독의 꽃」에 손을 대는 게 어려웠다. 뭐랄까.. 책 표지부터가 스멀스멀 독을 내뿜고 있는 느낌이 든다고 해야 하나.. 그런데 웬걸.. 한 번 읽기 시작하니까 손에서 책을 놓기 힘들 정도로 희한하게 재미있단 말이지.
「독의 꽃」은 독에 관한 소설이다. 이 책을 읽다보면 알겠지만 거의 한 문장에 '독'이란 단어가 최소 한 번은 들어가 있다.
'독'이 세 번이나 들어가 있는 문장도 봤다. 정말 '독의 책' 그 자체라고 생각이 들 정도다.
그리고 작가가 이 소설을 쓰기 위해 독에 대해 얼마나 연구하고 조사했는지 알 수 있어 감탄을 자아낸다.
독이란게 과하면 독이 되지만 알맞은 곳에 적정량을 사용하면 약이 되기도 한다. 또 어떤 사람에겐 독이지만 어떤 이에게, 혹은 동물이나 식물에겐 약이 되기도 한다. 독과 약이란 게 과연 따로 있을까?
사랑도, 관심도 마찬가지다. 과유불급이란 말이 있듯 항상 넘치면 독이 되는 것이다. 그러다보니 모든 것이 풍족하다 못해 철철 넘치는 요즘엔 약보다 독이 훨씬 많고 그 독에 중독된 사람들도 쉽게 볼 수 있는 듯 싶다.
난 어릴 때 '성선설'을 믿었다. 하지만 살다보니 성선설은 아닌 듯 싶다.그래서 '성무선악설'을 믿게 되었는데 요즘같은 잔인한 사건 사고가 끊이지 않고 특히 범죄를 저지르는 연령층이 점점 낮아지는 걸 보면 성악설이 맞지 않을까 싶기도 하다. 어쨋든 이 소설을 읽으며 인간 내면에 숨어있는 악이 밖으로 표출되어 독처럼 퍼졌을 때의 잔혹함과 무서움에 대해 생각하지 않을 수 없었는데 이런 게 바로 순수문학이 갖고있는 힘이 아닐까심오한 물음과 생각을 던지는 소설이지만 스토리 자체만 보더라도 정말 매력적이다. 이야기에 빠져 쉴 틈 없이 책을 읽은 게 참 오랜만이라 개인적으로 기억에 오래 남을 소설이다. 소설 초 중반까지는 이야기가 어떻게 전개될 지 전혀 감을 잡을 수 없고 어떤 얘기를 하려 하는 건지 약간은 의문스럽지만 책을 다 읽고 나면 ' 소설에 등장하는 인물 모두가 '독의 꽃'이었구나! 깨닫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