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우리가 작별 인사를 할 때마다
마거릿 렌클 지음, 최정수 옮김 / 을유문화사 / 2023년 12월
평점 :
57세의 나이에 첫 책을 출간하려면 아이 한 명을 키울 때 한 마을이 필요하듯 수많은 도움이 필요하다고 작가는 말한다. 삶의 희노애락을, 생명의 탄생과 죽음을, 자연의 숭고함을 아는 사람이 쓴 책은 생명의 신비로움으로 가득 차 있다. 비록 늦은 나이에 첫 책이 나왔지만 이 책은 인고의 시간과 수많은 기다림 끝에 비로소 나올 수 있는 이야기가 담겨 있다.
태어나는 삶도, 저물어가는 삶도 모두 각각의 기적적인 순간들을 갖고 있다. 먹고 먹히면서도 꿋꿋이 번성을 꾀하는 자연의 흥망성쇠 속 탄생과 죽음은 공평하게 존중받는다.
집굴뚝새가 작은 박새들을 죽이고, 어치가 다른 새끼를 잡아 먹는다. 인간의 기준에서 잡아 먹는 나쁜 동물, 간사한 동물, 잡아먹히는 가엾은 착한 동물은 있을 지언정 <우리가 작별 인사를 할 때마다>에는 그저 자연의 흐름만이 있다. 저자가 자연을 바라보는 눈을 통해 우리가 자연을 어떻게 받아들여야 하는지 볼 수 있어 좋았다.
우리도 그랬듯 옛날엔 친척들과 동네 사람들과 대가족을 이루며 자랐다. 저자 역시 미국 남부 지방의 대가족 출신이다. 기쁨과 추억이 몇 배로 쌓이듯, 그로부터 오는 질병과 죽음으로부터 오는 상실도 배가 된다. 저자와 가족은 그런 상실에서 오는 슬픔과 우울을 자연덕에 극복하게 된다. 순간과 지금에 충실한 동물들. 자연 속에서 사는 경험을 해본 사람만이 들려줄 수 있는 삶의 지혜는 얼마나 잔잔하고 아름다운지 느낄 수 있었던 책이다.
나로 온전히 살기 위해, 충만하고 감사한 삶을 살기 위해선 나로 하여금 내가 보잘것없고 하찮다고, 하지만 생명력으로 빛난다고 느끼게 하는 것은 자연뿐이 없다고 느껴야 한다는 생각을 해본다.
때때로 내가 잠을 이루지 못하거나 평소에도 절망적인 세계 뉴스가 더 절망적이 될 때, 이곳에 속해 있다는 무게는 떨쳐 내기 힘든 중압감으로 다가온다. 그럴 때 나는 어느 봄날 아침의 반짝임을 생각한다. 햇살 속에 서서 나비 정원에 물 주는 것을 생각한다. 정원 대부분에는 심지도 않은 잡초가 군데군데 자라나 있다. 그 잡초들은 손으로 잡아당겨 뽑아도 다시 자라난다. 나는 물을 부려도 동요하지 않는 아스쿨레피아스 위의 애벌레들과 정원에 사는 흉내지빠귀 한 마리, 화가 난 까마귀 세 마리에 쫒겨 머리 위를 활공하는 붉은 꼬리말똥가리, 둥지 상자 꼭대기에 서서 자기의 짝인 암컷 파랑새를 보호하는 수컷 파랑새를 생각한다. 암컷 파랑새는 그 안에서 알을 낳고 있다. 나는 그날 아침을 생각한다. 그리고 스스로에게 말한다. 알이 되어라. 흉내지빠귀가 되어라. 잡초가 되어라.
P.1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