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밀라의 눈에 대한 감각
페터 회 지음, 박현주 옮김 / 마음산책 / 2005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질문. 우리 말로 쓰여진 글은 모두 우리 말일까?

 

번역: 한 나라의 말로 표현된 글을 다른 나라의 말로 옮기는 것. 두 언어 사이에는 어휘의 의미, 문법구조, 운율 등이 다르기 때문에 원문을 완벽하게 옮기는 것은 매우 어렵다.

<엠파스 백과사전 중에서>

 

번역해 놓은 글은 우리 말이어야 한다는 의미이다. 난 이 말의 의미를 피부로 느낀 적이 있다. 학창 시절 한때 번역하라는 문제만 있는 시험을 여러 번 재시험 봤던 기억이 있다. 나중에 채점 했던 교수에게 찾아 갔더니, 내가 낸 답안은 우리 말이 아니어서 점수를 줄 수 없었다고 했다. 번역은 해석과 달리 먼저 우리말이 되어야 한다는 말을 덧붙이면서.

 

알라딘 이외의 사이트를 포함해서 이 책을 판매하는 리뷰를 모두 읽어 보았는데 모두 찬사 일색이고, 리뷰 한 개만이 글 말미에 ‘번역이 어색하다’ 란 언급이 있었을 뿐이다. 이 책을 읽고 리뷰를 쓰신 분들은 읽으면서 답답하단 느낌이 들지 않던가요? 한번 읽어서는 이해가 잘 안 되는 느낌을 받진 않고요? 그렇지 않다면 여러분은 이미 영어로 뭉그러진 우리말에 오염되어 있는 겁니다.

 

현란한 추천의 글들을 보고 산 이 책은, 내가 재미를 느낄만한 많은 요소를 갖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정말 읽기 힘들었다. 한번 읽고 의미를 파악하기 힘들어 다시 문장을 읽곤 하다 보니 전체의 흐름을 놓치기도 많이 했다. 다 읽고 나니 화가 났다. 처음엔 왜 화가 나는지도 몰랐다. 역자 후기도 읽어 보고 추천의 글도 읽어 보다 그 이유를 알았다.

 

추천의 글 중

”늘 그렇다고는 할 수 없지만, 그런 몇몇의 순간의 나는 존중 받아 마땅하다. 아마도 이 책을 펼친 당신 역시 그렇지 않겠는가.”

 

번역의 문제였다. 영어 수업 시간에 해석을 한다고 많이 듣고 쓰던 말이지만 실제로 저런 문장을 말하거나 써 본 적이 있나? 다시 책장 아무데나 펴고 읽어 보아도 뭔지 모르는 어색함이 느껴졌다. 하지만 얼마나 심각한 지는 알지 못했다.

 

 



     그래서 이 책을 샀다.

 

 

 

 

 

 

 

 

 

 

 

 

 

그리고 비교해 보았다. 결론은 이 책은 영어 소설을 잘 ‘해석’ 해 놓은 것이지 결코 우리말로 번역해 놓은 것이 아니다.

 

워낙 전체적으로 해석을 해 놓아 아무 문단이나 예를 들 수 있지만, 알라딘의 책 소개 중  ‘책 속에서’라는 난에 있는, 그래도 알라딘의 편집자가 좋다고 생각하는, 이 책의 발췌 부분을 예로 들어 보자. 글자 색이 다른 부분을 유의해서 읽기 바란다.

 


나는 완벽하지 않다. 나는 눈이나 얼음을 사랑보다 더 중하게 여긴다. 동족 인류에게 애정을 갖기보다는 수학에 흥미를 가지는 편이 내게는 더 쉽다. 그렇지만 나는 삶에서 일정한 무언가를 닻처럼 내리고 있다. 그걸 방향 감각이라고 할 수도 있다. 여자의 직관이라고 해도 된다. 뭐라고 불러도 좋다. 나는 기초 위에 서 있고, 더 이상 나아가 떨어지지 않는다. 내가 내 삶을 아주 잘 꾸려나가지 못했을 수도 있다. 그렇지만 나는 항상 절대 공간을, 적어도 한번에 한 손가락으로라도 붙들고 있다.
그래서 세상이 어긋나게 될 수 있는 정도, 내가 알아내기 전에 일이 악화되어버릴 수 있는 정도에는 한계가 있다. 나는 이제 한 점 의심의 그림자 없이 무언가 잘못되어 있다는 사실을 알았다.


 

 

다음은 원문이다.


 Im not perfect. I think more highly of snow and ice than love. Its easier for me to be interested in mathematics than to have affection for my fellow human beings. But I am anchored to something in life that is constant. You can call it a sense of orientation; you can call it womans intuition; you can call it whatever you like. Im standing on a foundation and have no farther to fall. It could be that I havent managed to organize my life very well. But I always have a grip with at least one finger at a time on Absolute Space.

Thats why theres a limit to how far the world can twist out of joint, and to how badly things can go before I find out. I now know, without a shadow of a doubt, that something is wrong.


 

전체적으로 단어 하나 하나를 꼼꼼하게 해석한 것을 알 수 있다. 하지만 그렇게 ‘영문 단어들’을 억지로 끼워 넣다 보니 더 어색해졌다.

 

가뜩이나 무슨 얘기를 하나 정신을 집중하고 있는데 심지어 오역한 부분까지 있어 더욱 이해 방해 한다.

 

1) 그렇지만 나는 삶에서 일정한 무언가를 닻처럼 내리고 있다.

   (원문) But I am anchored to something in life that is constant.

 

이 책은 무언가 닻이 아닌 것을 닻처럼 쓰고 있다는 이야기인데 원문은 무언가에 닻을 내리고 있다는 이야기 이다. (~ anchored to ~)

 

2) 나는 기초 위에 서 있고, 더 이상 나아가 떨어지지 않는다.

   (원문) Im standing on a foundation and have no farther to fall.

이 책에 쓴 문장은 떨어질 곳은 있는데 내가 나아가지 않기 때문에 떨어지지 않는다는 의미지만 원문은 더 이상 떨어질 곳이 없는 곳에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3) 그렇지만 나는 항상 절대 공간을, 적어도 한번에 한 손가락으로라도 붙들고 있다.

   (원문) But I always have a grip with at least one finger at a time on Absolute Space.

절대 공간에 대한 아무런 설명 없이 붙잡고 있다고 해서 무슨 문학적 은유인가 했는데, 원문에서 보니 대문자로 되어 있는 것을 간과한 거다. 영어에서는 이유없이 문장 중에 단어 첫 글자들을 대문자로 쓰지 않는다. 여기서는 스밀라가 수학, 물리학 같은 자연과학에 더 관심을 가지고 있기에 자신의 확고한 생각의 기준을 고전 물리학에서 뉴튼이 주장한 절대 불변의 공간이라고 빗대어 표현한 것이다.

 

조사나 문장 순서는 더 이상 말할 것도 없고, ‘한 점 의심의 그림자 없이 같이 전혀 우리말 표현이 아닌 것도 여과 없이 그대로 쓰여 있다.

 

그냥 한 문단의 예가 이런데, 책 전체에는 얼마나 많은 국적 불명의 문장으로 채워져 있는지…

 

따라서 이 책은 이런 번역 상태로는 출판 해서는 안 되는 책이다. 더 이상 번역 아닌 번역으로 우리 말을 오염 시키지 마라. 그리고 인터넷 책방들도 이런 국적 없는 문장들을 자연스럽게 우리 말이라고 인식시키는 ‘편집자 추천’, ‘강력 추천’ 같은 것을 중지해야 한다.

 

 

옮긴 이야 자신의 우리말 표현 능력이 부족하여 그렇다고 치자. 그러면 이 책에 대한 추천의 글을 쓴 소설가는 도대체 무엇을 읽고 그런 현란한 추천의 글을 쓴 것일까? 또 dog’s ear는 책장의 한 귀퉁이를 삼각형으로 접는다는 의미일 때는 도그지어로 발음할까 독스이어로 발음하지 않고?

 

어떤 말로 변명한다 해도 마음산책 출판사의 편집인들은 이런 책을 낸 책임을 면할 수 없다.

 

 

 


댓글(8) 먼댓글(0) 좋아요(5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하이드 2005-12-01 11:4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퍼갑니다.
사놓고 아직 읽지는 않았는데, 런던 헌책방에서 사온 영어책 과 같이 읽어봐야겠군요. 근데, 페터회가 이 책 영어로 쓴건가요?

Miss Smilla's Feeling for Snow

제가 산 책은 이 책이요. Miss smila's feeling for snow

smila's sense of snow 랑은 또 느낌이 틀리네요.


숨은아이 2005-12-01 11:5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하이드님 서재에서 보고 왔어요. 자료로 퍼가서 꼼꼼하게 읽어봐야겠네요. 고맙습니다.

keikim 2005-12-12 20:2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그렇게 심한편도 아니지 않나요? 어느정도는 그러련 하면서 읽어가는거죠..영문판이라고 오역이 없었겠어요..
김연수라는 소설가의 추천의 글만큼은 정말 작품이었네요 ㅋㅋㅋ
”늘 그렇다고는 할 수 없지만, 그런 몇몇의 순간의 나는 존중 받아 마땅하다. 아마도 이 책을 펼친 당신 역시 그렇지 않겠는가.” 본문보다 더 번역체같잖아요 ㅎㅎㅎ

그래미 2005-12-13 10:2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김연수예요. 몇 가지 바로 잡을 게 있어서 아이디를 빌려서 왔어요.

1. "늘 그렇다고는 할 수 없지만, 그런 몇몇(의) 순간의 나는 존중받아 마땅하다. 아마도 이 책을 펼친 당신 역시 그렇지 않겠는가." 이 문장에서 괄호 안의 구절은 알라딘의 오타예요. 오타를 제외하고 이게 번역체인지, 한글체인지는 각자 알아서 할 문제라고 생각해요. "항상 그런 건 아니지만, 그럴 때 나는 존중받을 만한 사람이다. 내 생각에는 이 책을 펼친 당신도 그럴 것이다."라고 쓸 수도 있겠지만, 나는 위의 문장으로 쓰기로 결심했어요. 그건 비장미가 넘쳐흐르는 추천사였거든요.

2. Dog's ear 말인데요. 이건 들어보면 독스이어로도 들리고 도그즈이어로도 들리고 독지어로도 들리고 도그지어로도 들려요. 들리는 대로 들려요. 위의 분은 마치 용법에 따라서 발음이 달라지는 것처럼 써놓으셨는데, 그럴 리가요. 지역에 따라서, 구강구조에 따라서 발음이 달라지겠죠. 하지만 제가 가진 모든 사전에는 이 경우의 발음기호가 Dogzier로 되어 있어요. 국내의 에센스건, 국외의 웹스터건 말이죠. 중간의 s는 발음이 z로 된다구요. 이럴 경우에 저는 한글로 '도그지어'로 쓸 수밖에 없어요. 영국 사람 30만명과 미국사람 250만명이 독스 이어라고 발음한다고 해도 말이죠.

문제는 그냥 dog-ear나 dog-eared라고 했으면 편할텐데, 왜 dog's ear를 굳이 사용했느냐, 겠죠. 그건 제가 추천글을 우리말로 쓰는데, "도그지어는 '개의 귀'만을 뜻하지 않는다"라는 구절을 넣어야만 했거든요. 왜냐구요? 이게 더 말 되잖아요. dog-ear나 dog-eared라면 "'개귀', 혹은 '개귀접힌'만을 뜻하지 않는다", 이렇게 써야만 하니까 웃기잖아요.

그럼 왜 '도그즈 이어'라고 단어별로 분리시키지 않았느냐? 그건 한 단어처럼 보이게 하려고 그랬던 거예요. 여기는 dog's ear는 접힌 책갈피를 뜻하니까 한 단어처럼 보이는게 더 옳잖아요.

3. 왜 추천사를 비장미 넘치게 써야만 했느냐면, 제가 오래 전부터 이 책을 상당히 편애했기 때문이에요. 사실은 제가 번역하고 싶었어요. 하지만 지난 여름에 마음산책에서 이 책이 나온다는 소식을 전해들었어요. 그래서 제가 추천사를 쓰겠다고 먼저 연락했어요. 그래서 비장미가 넘친 거예요. 많은 사람들이 이 책을 읽기를 바랬거든요. 지난 번에는 책이 죽었거든요. 그래도 읽고자 하는 사람들이 주위에 많아서 제 책을 빌려줬어요. 그래서 이번에는 더 많은 사람들이 이 책을 소장해서 제 책을 빌려주는 일이 없게 되기를 바란 것뿐이죠.

저는 청소년도서추천위원이 아니에요. 저는 제가 편애하는 책들과 편애하는 사람들을 추천해요. 저는 이 책을 편애하고, 스밀라를 편애해요. 그럼 다들 안녕히 계세요.


jliberty 2006-10-06 06:5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출판해서는 안되는 책으로 완전 공감합니다. 정말 말이 안되는 문장이 너무 많습니다. 김연수님의 소설은 안 읽어 봤는데.. 혹시 이 번역본을 사랑하시는 지 아니면 원본을 사랑하시는지.. 밝혀주세요.. ㅠ.ㅠ


pukoni 2007-01-11 14:3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 또한 완전 공감입니다. 도데체 리뷰에는 찬사일색인데 왜 나는 이책이 좋아지지않는지 그이유를 이제야 알았습니다. 편집자는 원본을 읽고 추천한거겠지요? 설마 이 수준의 직역책을 추천한건 아닐테고~~온라인에서 책을 주문할때 참고로하는것은 리뷰와 추천입니다. 추천의 남용으로 인해 진정 좋은책이 피해보는 우를 범하지 않았으면 합니다.

비로그인 2007-07-30 13:1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지적하신 부분들 보니 번역상의 오류가 분명하긴 하네요. (영역텍스트가 오류없는 번역본이라는 전제 하에 드리는 말씀이긴 합니다만.) 그리고 학창시절의 은사님이 번역문에 대해 하신 말씀도 십이분 공감합니다. 저도 번역소설을 많이 읽다보니 가끔 일본어 중역본이나 어색한 영문 번역본을 읽을때 화가 치밀기도 하거든요. 최악의 경우는 영문원본 > 일본어 번역 > 한글번역본이라고 생각합니다만... 그건 지금 여기서 다룰 말은 아니니 넘어가고요.
각설하고 저는 이 책 참 좋게 읽었습니다. 추천사에 이끌려 책을 고르는 사람은 아닙니다. 물론 제가 특별히 존경하거나 좋아하는 작가의 추천사라면 다르겠지요. 하지만 보통 그런 식의 책고르기는 위험하다는걸 경험상으로 알고, 이 책이 좋다고 소문나고 그게 가라앉은 후에야 어쩌다 보게됬는데 시쳇말로 완전 '꽂혔습니다'.
번역은 중요합니다. 물론 번역된 텍스트는 모국어가 되야겠죠. 톨킨은 언어학자였기때문에 그런 부분에 확고한 기준이 있었고, 번역되는 언어의 토착어에 최대한 가까운 번역을 해달라는 의지에 따라 여러개의 번역 텍스트마다 주인공의 마을이나 별명이 다양하게 번역되어 있습니다.
하지만 이건 일부의 특수한 경우가 아닐까요. 세상에는 현학적인 문체와 다양한 미사여구를 곁들여 마치 내용을 찬찬히 곱씹어야 하는 낱알같은 문장을 쓰는 작가도 있고, 직감적으로 스며들며 마음에 울림을 주는 부드러운 음악같은 글을 쓰는 작가도 있습니다. 하지만 이 모든 작가의 문체를 무시한채 그저 읽기 쉽고 평이한 어투로 푸는 것이 좋은 번역이라고 한다면, 세상에 문학이라는 장르가 존재할 필요가 있을지 의구스러울 뿐입니다.
딱딱한 글은 딱딱하게, 부드러운 글은 부드럽게, 원작의 가치를 훼손하지 않는 번역이란 그런게 아닌가 싶네요.
제가 원서를 읽어보지도 못했을 뿐더러(영어나 일어 외는 분야밖인지라) 영역본도 보지못해서 과연 얼마나 잘못된 번역인가 더이상 논하기는 힘듭니다. 하지만 출판되지 말아야 하는 책이라는 제목은 너무 가혹한 비판이 아닐런지요. 왜냐하면 저처럼 (읽기 힘든 문체에도 불구하고) 생애 10권의 책에 기꺼이 이 한 권을 끼워 넣고자 하는 독자들도 있으니까요.

김글림 2017-04-23 19:5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아주 예리한 지적에 저도 동의하지만, 동의하지 않는 부분이 있어서 지나가다 댓글 남깁니다. 어찌 보면 김연수 작가의 도그지어의 보충 설명쯤 될 수도 있겠네요.

영어의 음성학적 규칙에 따르면 -s의 발음에는 몇 가지 규칙이 있습니다. -s를 [iz]로 발음하냐, [z]로 발음하냐, [s]로 발음하냐 와 같은 것들이죠. 그러므로 [dɔg], [dag], [dog] 와 같이 발음 되는 dog는 음운규칙상으로 뒤따르는 -s발음은 /g/와 같은 유성음(/z/)이 되어야 합니다. 물론, 현대의 영어일수록, 그리고 차츰 영어가 지역별로 발달할수록 월드잉글리쉬의 영향으로 이런 미시적인 부분은 경계가 허물어지고는 있습니다. 하지만 말씀하신 독스이어라는 발음은 사실 영어의 음운법칙에 따르면 dock의 발음 [dak], [dok] 뒤에 -s가 붙은 발음이라고 할 수 있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