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나를 울린 한국전쟁 100장면 - 내가 겪은 6.25 전쟁
김원일 외 글, 박도 사진편집 / 눈빛 / 2006년 6월
평점 :
1950년 6월 25일에 발발하여 3년 후 7월 27일에 휴전을 하게 된 한국전쟁과 관련해서는 해마다 수많은 글들이 쏟아져 나오고 있다. 전쟁의 전개 과정이라든지, 한국전쟁이 과연 냉전의 연장선상에서 어떠한 의미를 갖고 있는가 등에 대해서는 이미 수많은 연구가 이루어졌고, 그러한 연구성과의 내용들을 직접적으로든, 간접적으로든 끊임없이 접하게 되는 것이 사실이다. 하지만 한국전쟁에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는 사람이 아닌 이상은 그러한 것들에 대해서 끊임없이 정보를 접하고, 한국전쟁이라는 과거의 사실이 과연 오늘날에 있어서는 어떠한 의미를 가지며, 어떠한 영향을 끼치고 있는가에 대해서 고민의 끈을 놓아버리기 쉬운 게 또 현실의 단면이다. 전쟁을 직접 체험한 세대가 아닌 이상은 한국전쟁이란 역사적 사건 혹은 화두에 대해서 자신이 현재를 살아가면서 가지는 수많은 고민들의 우선 순위에서 뒤로 밀릴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한국전쟁에 대해서 접근할 수 있는 방법으로는 위에 언급한대로 각종 연구성과물-각종 논문 및 전사 기술서적 혹은 회고담-들을 찾아서 읽는 것이 제일 좋겠으나 여기에는 일정부분 한계가 존재한다. 연구라는 것의 성격상 어느 정도 일반화와 추상화의 경향이 있기 때문에 한국전쟁을 겪은 개개인들의 구체적인 삶을 추적해 가면서 가질 수 있는 공감(이해를 토대로 한 감정의 공유)이라는 요소가 덜할 수밖에 없는 것이다. 한국전쟁이라는 역사적 사건에 대해서 그 시간을 공유하며 살아간 수많은 이들에게는 얼마든지 수많은 개인적인 경험이 산재해 있는 것인데, 한국전쟁의 발발 및 전개과정 그리고 전후의 처리 및 전쟁이 끼친 영향과 같은 거대한 주제에 집착하다보면 정작 그 시기를 살아간 수많은 이들의 삶을 놓칠 수밖에 없다는 말이다. 숲을 멀리서 조망하는데에는 익숙해졌으나 정작 그 숲을 구성하고 있는 수많은 요소들이 그 숲 속에서 어떻게 살아가고 있는가에 대해서 외면하거나 관심을 두지 않는다면 그 숲에 대해서 전체적으로 이해할 수 없다고 할 수 없는 것과 같은 맥락일 것이다.
<나를 울린 한국전쟁 100장면>에 실린 각종 사진과 전쟁을 경험한 사람들의 회고담은 위에서 언급했듯이 한국전쟁에 대해서 가지기 쉬운 추상적 이미지나 생각을 보완해 주는데 어느 정도 기여를 할 수 있지 않을까라는 생각이 든다. 책에 도판으로 수록되어 있는 수많은 사진들은 한국전쟁 당시 어떠한 일들이 일어나고 있었는가에 대해서 간략하면서도 많은 정보를 제공하고 있기 때문이다. 한장 한장에 담긴 인물들의 다양한 표정, 전쟁의 와중에 자행된 학살 및 폭격의 참담한 흔적, 전쟁의 혼란 속에서도 삶을 꾸려나가는 사람들의 다양한 모습 등을 통해서 전쟁의 끔찍함과 더불어 그 속에서도 삶을 이어나가는 사람들의 생명력을 읽을 수 있다. 물론 이 책의 경우에는 대중에게 간추려서 한국전쟁의 모습을 알리는 차원에서 기획된 감이 없지 않기 때문에 너무 간략한 것은 아닌가란 생각이 들기도 했다. 아무래도 부족하게 느껴진 부분들은 이 책 이전에 출간된 <지울 수 없는 이미지>1, 2권이라든지 전쟁을 경험했고 그러한 것들을 문학이라는 틀 안에서 잘 형상해 놓은 각종 소설들(이 책에 간략하게 글을 실은 소설가들의 작품이 대표적일 것이다.)을 추후에 읽음으로써 보완해야 할 부분이 아닐까 싶다.
개인적으로는 이러한 종류의 책을 읽으면서 좀더 고민해야 할 부분은 단지 과거의 사진을 보는 가운데 과거 전쟁의 참상을 이해하고 과거 세대들의 참담한 생활에 대해서 동정을 구하는 수준에서 머물러서는 아니된다는 점이 아닐까 한다. 50여년 전에 있었던 한국전쟁은 아직 끝난 전쟁이 아니라 단지 정전협정이 체결된 불안정한 상태에 머물러있다는 사실, 최근 북한의 핵미사일 실험 공표로 인해서 한반도를 둘러싼 국제 정세가 매우 불안정하게 돌아가고 있다는 점 등을 고려했을 때 한국전쟁의 참극이 단지 과거의 일로만 국한된다고는 결코 볼 수 없기 때문이다. 만약 이 땅에서 한 번 더 한국전쟁과 같은 전쟁이 발생한다면 한국전쟁 당시 원산이 폭격으로 인해서 폐허가 된 것 이상의 풍경을 사진을 통해서가 아니라 직접 목격할 수도 있는 것이다. 그러한 최악의 상황이 다시금 이땅에서 전개되지 않도록 노력하는 게 한국전쟁으로부터 우리가 역사적 경험으로 배워야 할 부분이 아닐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