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루살렘의 아이히만>(한길사, 김선욱 옮김, 2006)

  현재 조금씩 읽고 있는데 생각보다 수월하게 읽히지는 않는다. 어딘가 모르게 문장과 문장 사이의 흐름이 매끄럽지 않다고 느껴서 그런지, 아니면 아이히만의 재판에 대해서 배경지식으로 그다지 아는 게 없어서 그런지는 잘 모르겠다. 아무튼 읽는 것 자체가 개인적으로는 많이 어색하고 어렵기만 하다.

  읽는 것 자체가 어색하기에 내용을 따라가기조차 쉽지는 않은 형편이지만 중간중간에 떠오른 생각만 몇 자 두서없이 끄적여 놓을까 한다.

  책에 언급되어 있는 "악의 평범성"은 거대 관료 조직 내에서 자신의 직무에 충실하고자 한 인물들로 인해서 벌어질 수 있는 "비인간화(이는 자신의 권한 내에서만 판단의 수위를 정하는 것과 연관이 되며, 권한을 넘어서는 행위를 했을 경우 그에 뒤따라올 기존질서 내의 처벌을 의식하기 때문에 자신의 판단이나 행동을 주저하고 심지어는 포기하기에 이르는 것을 말한다)" 그리고 그로 인하여 벌어지는 관료제의 폐해를 지적한 것이라 볼 수 있다. 이 주제를 한국의 근현대 역사와 연관지어 생각해 보면 어떠할런지? 여기에 해당하는 시기로는 크게 식민지 시대와 해방 후 민주화 이전의 군사정권 시대를 들 수 있는데, 여기서는 식민지 시대의 "친일"문제와 관련해서 적어보도록 한다.

  요근래 식민지 시기의 연구와 관련해서는 기존에 많이 논의되었던 "수탈과 저항"의 이분법적 시각을 넘어서서 회색지대('협력' 혹은 '타협'이라고도 규정짓기도 하는데, 기존의 친일에 대한 접근과는 시각이 조금은 다르고 복잡한 편이다)가 존재했음을 부각시키고 있는 편이다. 35년이라는 짧지 않은 시기, 식민지 지배를 받으면서 아이히만과 같은 생각 그리고 행동을 한 이가 없었다고 할 수 있을까에 대해서 생각해 볼 필요가 있을 것이다. 이는 큰 맥락에서 보자면 "친일"에 대하여 어떻게 접근하고 평가하느냐의 문제와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이며, 작게는 "소극적 친일(책에 언급되어 있는 "내면적 이주inner emigration"과 유사한 개념이란 생각이 든다)", 즉 체제 내 기존 질서에 타협하고 순응하여 그리 눈에 띠지 않고 단지 자신이 맡은 바 직분에만 충실하게 행동하여 결국은 체제유지에 기여한 행위에 대하여 어떻게 평가를 내릴 것인가의 문제이기도 하다.

  식민지라는 시대에 세밀하게 접근할 수 있게 되는만큼 해당 시기에 대하여 평가를 내리고 이해하는 게 일도양단식으로 단순할 수만은 없다는 점을 발견하게 된다. 그만큼 더 많은 것을 생각해야 하기 때문에 골치가 아파진다는 소리이기도 하다. 그렇다고 해서 고민과 앎의 치열함(역사청산에 대한 논의의 기반요소)을 놓아버리고, 그 시대에는 모두가 다 그렇고 그랬는데 이제와서 굳이 뭔가를 구분하고 드러낼 필요가 있겠냐는 물타기식 논법으로 모든 것을 흐지부지 시켜버려서는 또 곤란한 법이다. 제대로 이루어진 적이 없는 역사청산에 대한 의식의 끈을 쉽게 놓아서는 아니될 거란 생각이 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오랜만에 나들이 좀 할 겸 시내에 나가서 개봉한 지 얼마 되지 아니한 영화 <오래된 정원>을 감상해 보았다. 황석영 씨의 원작 소설을 읽어본 지 너무 오래되었는지라 내용이 가물가물하긴 했지만 영상이 전개되어 가는 것을 보면서 기억을 더듬어 볼 수는 있었던 것 같다. 하지만 예전에 책을 읽을 때만큼의 감흥은 없이 그저 담담하고 무난하게 감상을 하면서, 영화에서는 "'오래된 정원'이라는 제목이 상징하는 바는 대체 어디로 사라진 것일까?"란 의문이 머릿속에서 떠나질 않았다.

 영화를 본 다음에는 근처에 자리잡고 있는 교보문고에 들러 서가 쪽을 주욱 둘러보면서 새로이 눈에 띠는 책이 있는가를 찬찬히 살펴보았다. 도서관을 갈 때도, 서점가를 갈 때도 마찬가지지만 일단은 서가를 맨 위 왼쪽에서부터 맨 아래의 오른쪽까지 훑어보면서 눈에 들어오는 제목이 있는 책이 있는가를 살피고, 저번에 들렀을 때와 배치가 바뀐 점이 있는지를 확인한다. 그러한 와중에 손에 잡히는 책이 몇 권 생기기 마련인데, 무슨 내용을 다루고 있는가에 대해서 서문과 목차를 살펴보면서 읽어볼 가치가 있는지, 흥미가 생기는지를 생각해본다. 그리고 나서 괜찮겠다 싶으면 가져간 수첩에 도서명과 저자, 출판사, 출판연도 등을 하나씩 기록해 넣는다. 일단은 책에 대하여 관심을 갖는다고 해도 한꺼번에 다 읽을 수도 없는 노릇이고, 다 사서 볼만한 형편도 아닌지라 기록으로 먼저 정리만 해 두는 것이다. 수첩에 올라간 책의 목록은 단시간 내에 읽음으로써 밑줄(다 읽었다는 표시)이 그어지기도 하지만, 유예기간이 길어져서 장시간에 걸쳐 방치되는 경우도 많기는 하다. 수첩에 올라간 도서목록 중에서 끝까지 읽어낸 책은 전체의 40%에도 미치지 못하는 것 같기는 하지만...

 아무튼 1월 5일의 나들이에서 수첩에 그 이름을 올려놓은 책은 다음과 같다.

<식민지의 일상 지배와 균열>, 공제욱 정근식 엮음, 문화과학사, 2006.

-> 대략 10년 전에 발간되었던 <근대주체와 식민지 규율권력>(문화과학사, 1997)의 후속작으로 그 이후의 연구성과들이 담긴 책인만큼 읽어볼 가치는 충분하다는 생각이 들어 목록에 올려두었다.

<일본 제국주의, 식민지 도시를 건설하다>, 하시야 히로시 지음, 모티브북, 2005

-> 그리 분량이 많지도 않고, 일본의 식민지였던 조선과 대만에 있어서 도시 계획이 어떠한 식으로 이뤄졌는가에 대해서 논하고 있는 책인지라 관심을 끌었다.

<한국 근대성 연구의 길을 묻다>, 장석만 외 지음, 돌베개, 2006.

 

 

 

-> 요근래 "근대"와 관련된 주제로 활발하게 활동을 펼치고 있는 소장 학자들이 "근대" 연구와 관련된 자신들의 경험담을 엮은 책인데, 한 번 정도는 읽어보면 괜찮겠다 싶었다.

<황금광 시대>, 전봉관, 살림, 2005.

 

 

 

 

-> 최근에 <경성기담>(살림, 2006)을 펴낸 전봉관 씨의 전작인데, 사료조사를 바탕으로 이야기거리를 흥미있게 잘 풀어나가는만큼 기대가 되는 작품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