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리스토텔레스 시학 (그리스어 원전 완역본) 현대지성 클래식 35
아리스토텔레스 지음, 박문재 옮김 / 현대지성 / 2021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책을 읽기 전, 작가소개글인 아리스토텔레스에 대해 잠깐 읽어두었다. 너무도 유명한 철학자이지만 그래도 이 책을 읽기 위해서는 조금의 도 필요하다고 생각되었다. 어떻게, 왜 우리에게 이렇게 중요한 철학을 알려주게 되었는지가 궁금해서였다.

책이 두껍지 않다. 그렇지만 그 내용을 단번에 이해하기는 쉽지 않은 것이 시학이다. 예전부터 시학에 대해 읽거나, 공부하는 것이 문학에 대해 알아가는 데 도움이 된다고 들었다. 하지만 깊이 읽지를 못했다. 어렵다는 선입견으로. 이번에 이 책을 접하니 조금 더 공부하면 철학이라는 학문에, 문학이라는 분야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것도 같다.

이 책에서 중요하게 다루는 것은 일단 모방이다. 우리가 알고있는 모방의 개념과는 조금 다르다. 그리고 플롯, 스토리, 이야기, 비극, 카타르시스 개념 등이다.

 

책을 쓰거나 읽을 때 주요 구성이 되는 것들이다. 하지만 이 책을 읽고 있노라면 그 개념들에 대해 다시 한 번 더 생각하게 된다. 어떻게 글을 써야만, 어떤 글이, 어떻게 읽는 것이 마음에 잘 새겨지는도 한번 새겨본다.

 

책의 구성은 비극을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비극을 시의 원리나 시의 내용을 이해하는 데 집중하여 설명한다. 글의 구조, 플롯을 이루는 것에 대해서도 다룬다. 비극을 이 플롯의 구조에 따라 이해하고, 그것을 감정의 정화로 까지 이어서 이해할 수 있는 내용이다. 인간의 불편한 감정을 해소하는 정화, 카타르시스를 거치면 사람은 한결 편안해진다.

 

시학은 인간의 감정을 플롯, 정화 등을 통해 어떻게 이해할 수 있는지 설명해주는 글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공원에서 웅진 세계그림책 213
앤서니 브라운 지음, 공경희 옮김 / 웅진주니어 / 2021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이야기의 주인공은 4명이다. 하지만 더 중요한 것은 하나의 사건을 네 가지 시선으로 본다는 점이다.

등장인물은 찰스 엄마와 찰스, 스머지 아빠와 스머지의 이야기로 이루어진다.

사실 이 이야기는 각자의 사건 이야기를 읽어보는 것이 먼저다.

찰스 엄마는 아들 찰스, 강아지를 데리고 공원으로 산책을 간다. 공원에서 낯선 개가 자신의 개를 괴롭히자 기분이 나쁘다. 찰스를 자신의 옆에 앉혀 놓고는 서로 다른 곳만 바라보게 된다. 저녁 음식 생각을 하던 찰스엄마는 찰스가 없어진 것을 알게 된다. 순간 놀라 찰스를 불러보니 찰스는 어떤 여자 아이와 이야기를 나누고 있는 것을 본다.

찰스는 집에서 창밖을 보다가 엄마와 함께 강아지와 공원에 간다. 그곳에서도 심심하지만 스머지가 와서 함께 놀자고 한다. 둘은 공원에서 재미있게 논다.

스머지 아빠는 딸 스머지와 강아지를 데리고 공원에 산책을 간다. 강아지 목줄을 풀어주니 강아지는 다른 개의 뒤를 쫓으며 신나게 논다. 스머지는 벤치엣 신문을 보고 있다. 딸이 즐거워하는 모습에 힘이 난다.

스머지는 하루 종일 기운 없어 하는 아빠가 공원에 산책을 가자고 하니 기분이 좋다. 공원에서 알버트의 끈을 풀어 주자 예쁘게 생긴 개를 쫓아간다. 예쁘게 생긴 개의 주인은 화가 난듯하다.

이야기의 흐름이 참 재미있다. 흐름도 흐름이지만 어떻게 이렇게 각자의 시선으로 이야기를 만들 수 있지 하는 생각이다.

하나의 사건을 바라보는 각자의 생각과 시선에서 성격도 알 수 있다. 더불어 좀 더 긍정적으로 생각하는 것도 필요하지 않을까 하는 것도 알게 된다. 어른들도 이 그림책을 보면 할 이야기가 많을 듯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이름을 지어 주세요
다니카와 슌타로 지음, 이와사키 치히로 그림, 황진희 옮김 / 한솔수북 / 2021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그림 작가의 그림은 여느 그림책과 다르다는 느낌이 먼저 온다. 보통 그림책의 경우 그림이 선명하다. 그래서 아이들이 주로 보는 책이라 그렇구나라고 생각한다. 아니면 글의 느낌을 더 많이 드러내고 싶었을 수도 있다. 이건 독자의 마음대로 해석하면 되는 부분이다.

이 그림책은 여백과 선의 경계선이 거의 느껴지지 않을 정도이다. 그래서 그림책을 보면서 이야기과 그림을 연결하기 위해 집중하게 된다. 단순한 글이 깊은 의미를 담고 있는 것도 같다.

 

일단 그림은 마치 물방울처럼, 수채화처럼 부드럽다. 그렇게 느껴지도록 했으리라. 글을 읽으면 어, 하고 이건 시인데하고 바로 알게 된다. 소개글처럼 이 그림책은 시를 그림책으로 만들었다는 것도 특징으로 보게 된다.

 

이름을 지어 주세요.라는 말을 이해하자.

아이들에게 이름을 짓는다는 것을 이제 한 사람으로 인정한다는 의미이다. 그리고 이 아이가 잘 자랄 수 있도록 사랑을 듬뿍 주어야 한다는 것도 포함한다. 이 아이가 세상을 잘 살아갈 수 있도록 충분한 메시지를 주기 위해 말의 단순함을 곁들였다는 것도 알게 된다.

 

이 그림책은 꼭 어린이만 보라는 것은 아닐 듯하다. 어른들도 읽고 이야기를 함께 나눠도 될 만하다. 시를 그림책으로 엮었으니 시도 읽고, 그림책도 본다.

글 작가, 그림 작가의 책을 몇 권 읽어두었으니 그림책을 이해하는 데 조금은 도움이 된다.

맑고, 투명하고, 순수함 등을 충분히 느껴볼 수 있는 그림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곰이라고요, 곰! 책가방 속 그림책
프랭크 태슐린 지음, 위정현 옮김 / 계수나무 / 2021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자신에 대해 많은 것을 생각하게 하는 그림책이다. 어쩌면 이 그림책은 어른들이 더 많이 보면 좋을 수도 있겠다는 생각도 한다.

이야기의 첫 머리부터 곰이 얼마나 힘든 시간을 보낼지 짐작하게 된다.

숲 속에 살던 곰이 겨울잠에 깨어 굴 밖으로 나왔다. 그런데 곰이 살던 숲이 사라져버렸다. 커다란 공장만이 있을 뿐이다. 곰이 놀란 것도 잠시, 공장 감독은 곰에게 얼른 일을 하라고 한다. 곰은 자신이 곰이지 사람이 아니라고 말을 하지만 아무도 들어주지도 않고, 믿어주지도 않는다. 여러 사람을 만나 자신이 곰이 아니라고 하지만 대답은 똑같다. 어쩔 수 없이 공장에서 일을 하게 된 곰이다. 공장이 문을 닫게 되지 곰은 다시 숲으로 돌아간다. 하지만 자신이 곰인지, 사람인지 알 수 없어 힘들다. 다시겨울이 되자 곰은 추워서 떨다 다시 겨울잠을 자게 된다. 그리고는 자신이 곰이었음을 알게 된다.

 

곰은 곰이다. 그런데 이렇게 간단한 문장이 책 속의 곰에게는 통하지 않았다. 이야기는 아마도 한 사람이 가진 것들을 인정해주는 것을 의미한다고 이해된다. 곰이 아무리 자신이 곰이라고 말해도 아무도 들으려고 하지 않았다. 믿어주려고도 하지 않았다. 무조건 사람처럼 일을 해야 한다고만 한다. 곰이 그 시간동안 얼마나 힘들었을지 책을 읽는 내내 알게 되고, 때론 화가 나기도 한다. 우리가 봐도 곰인데. 곰이 곰처럼 살고 싶어 하는데 왜 사람처럼 행동해야 하는지.

자신은 이렇게 살고 싶은데’, ‘이것이 좋은데라는 것을 가진 것이 존재감이다. 그런데 다른 사람들이 이것을 인정해 주지 않고, ‘이렇게 살아야 돼라고 말하고 강요한다면 얼마나 힘들까를 짐작하게 하는 이야기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병아리 - 위대한 작가의 탄생 빨간콩 그림책 9
다비드 칼리 지음, 다비드 메르베이유 그림, 김영신 옮김 / 빨간콩 / 2021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무엇을 새롭게 만들거나 이룬다는 것은 당연히 힘든 시간의 겪는 일이다. 그 힘든 시간을 잘 견디거나, 해결하거나 하면 분명 좋은 결과는 온다. 여기서 좋은 결과란 만족할만한 것도 있고, 바라던 것도 있지만 체험이라는 좋은 기회도 속한다.

이 책은 작가가 되기 위한 과정을 아이의 시선으로 담은 책이다.

작가가 된다는 것은 설레는 일이다. 아마도 책을 읽거나, 글을 쓰는 사람은 한번쯤 작가의 꿈을 꾸게 된다. 그러나 그것이 만만치 않은 일임을 알게 되었을 때는 당연히 아픔이 있다.

책의 주인공 역시 독자들에게 사랑받는 작가가 되기까지 어떤 시간들을 보냈는지 이야기로 풀어가고 있다.

작가가 되고 싶어 첫 번째 도전한 출판사에 원고 보내기. 그러나 돌아오는 답은 거절이다. 첫 번째 글을 보낼 때는 무한한 기대를 한다. 하지만 그 횟수가 늘어날수록 분명 마음은 조급해질 수 있고 소심해지거나 할 수 있다. 여기서 멈추면 바라는 것을 이룰 수 없다. 여기가 가장 중요하다.

 

자신의 즐거움이 무엇인지를 이 작가는 안다. 자신이 무엇을 해야 잘 하는지 즐거워하는지도 안다. 그리곤 솔직하게 자신을 들여다보기 시작한다. 그리고 노력한다. 드디어 기회는 왔고, 세계적인 베스트셀러를 만들어낸다.

이 책은 그런 고민을 가지고 평생 노력해오는 작가의 일생을 보여준다.

솔직히 이 책을 보면서 나에게도 이런 날이 오면 좋겠다라는 바람을 몇 번이나 가져본다. 기대하던 것에 대답이 오지 않으면 좌절도 한다. 그러나 자신의 단점을 잘 알고 해결의 과정이 있어야만 한다는 것도 보여준다. 여러 군데에서 실패를 맛본 원고는 분명 어떤 이유가 있을 것이다. 그 이유를 찾아내고 보완하는 것이 반드시, 반드시 필요하다. 물론 좋은 의미로 그 출판사와 의미가 다를 수 있기에 거절의 경험도 가질 수 있음도 생각하여야 한다.

작가가 되기 위해 냉혹한 현실에 부딪히지만 자신을 알고, 노력한다면 괜찮은 결과를 얻을 수 있음을 한 권의 그림책으로 만날 수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