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닥치는 대로 끌리는 대로 오직 재미있게 이동진 독서법
이동진 지음 / 위즈덤하우스 / 2017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혼자 차를 타고 다닐 때는 주로 '팟캐스트'를 듣는다. 시작은 '김영하의 책 읽는 시간'이었다. 오래 전에 업로드가 끝난 이 팟캐스트를 3달여만에 다 듣고 난 뒤 이것저것을 찾아 들어보다 요새는 '이동진의 빨간책방'을 몰아서 듣고 있다. 예전에 읽었던 책의 방송분을 찾아서 듣다가 "영화평론가, 방송인, 작가 등으로 불리는 이동진은 어떻게 책을 읽길래 통찰력도 좋고 설명도 이렇게 잘 할 수 있나"라는 궁금증이 들어 찾아 읽었다.
스스로 1만7천권의 책을 소장하고 있다는 그가 강조한 것은 목적을 위한 읽기가 아닌 자신의 재미를 충족하기 위해 읽고, 깊게 파기보다는 넓게 읽기를 지향하며, 자신이 가는 곳 어디에나 책을 두고 동시에 여러 권을 읽는다는 것이었다. 재미를 위해 읽는다는 점에서는 나도 비슷하나, 다양한 분야의 책을 넓게 읽는 것은 내가 실천할 수 없는 지점이다.
평일 저녁 일로 갖는 술자리가 많고, 근무시간에 책을 접하기 어려운 나로서는 좋아하는 작가의 책을 찾아 읽기에도 시간이 턱 없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저자는 소설가 이승우를 제외하고는 전작읽기를 해본 작가가 없다고 하는데 나는 좋아하는 작가가 생기면 절판을 중고로라도 구해서 읽어야 하는 타입이기도 하다.
동시에 다양한 책을 읽는 것도 나로서는 도무지 해낼 요량이 없다. 금세 잊어버리는 기억력 탓에 소설책을 읽다가도 다음날엔 이야기가 이어지지 않아 앞 부분을 다시 읽어야하는 나로서는 한 권의 책을 다 끝내거나, 중간에 덮어버리지 않는 한 다른 책으로 넘어가지 못한다. 어지간해서는 한 번 손에 잡은 책은 끝내 다 읽어야 한다는 의무감에 잘 넘어가지 않는 책도 자꾸 붙들고 있는 스스로를 미련하다 싶어지기도 하지만 그렇게 생겨먹은 걸 어쩌랴.
책 마지막에 실린 500권의 추천도서 중에는 제목도 들어보지 못한 책이 태반이어서 부족한 나의 책 읽기 수준만 확인하고 말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