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설이 국경을 건너는 방법
정영목 지음 / 문학동네 / 2018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한때 퇴직하고 번역가로 사는 일을 검토해봤다. 창작 글쓰기는 재주가 없어 못 할 것 같으니 남의 글을 옮기는 번역은 그래도 해볼만하지 않을까라는 얄팍한 셈이었다.

원서를 사서 한 챕터를 읽고 번역을 해보고자 컴퓨터를 붙들고 영어사전 찾기, 구글 검색 등을 동원해 가며 끙끙대다 접고 말았다. 작품에 대한 이해를 기반으로 가장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는 우리 말을 찾다 보니 '차라리 내가 새로 쓰는 게 낫겠다'라는 말도 안 되는 생각으로 이어졌다. 글을 쓰는 것과 마찬가지의 문장력과 사고능력이 필수라는 점을 반나절만에 깨달았다. 순수한 독자로서 살아간다면 어줍지 않은 글을 출판하느라 베어질 나무라도 보호할 수 있어 작게나마 세상에 기여할 수 있다며 이내 헛된 꿈을 접었다.

개인적으로 번역가 정영목 선생의 이름은 필립 로스의 '휴먼 스테인'을 읽으면서부터 기억하게 된 것 같다. 윌리엄 트레버를 처음 알게 된 '비온 뒤', 커트 보니것의 '제5도살장' 등 선생이 번역한 책들은 어색한 문장에 대한 거부감 없이 책장을 넘길 수 있었다.

정 선생이 번역이 아니라 직접 쓴 이 책의 1부는 그가 소개한 작가들의 작품론과 역자후기를 담고 있다. 필립 로스, 주제 사라마구, 어네스트 헤밍웨이, 존 업다이크, 이창래, 알랭 드 보통, 오스카 와일드, 존 밴빌, 코맥 맥카시, 윌리엄 트레버, 커트 보니것, 블라디미르 나브코브 등을 소개하는 글을 읽다보니 자연스럽게 알라딘의 장바구니에 책들이 쌓여버렸다.

2부는 영화, 만화, 드라마, 문학 등에 대한 감상문이나 생활 이야기들로 이전에 발표한 글들이 묶여있다. 잔잔한 목소리로 전달하는 그 자신의 글은 번역가 이전에 작가로서 정영목의 글쓰기가 얼마나 탄탄한 지를 느끼게 해준다. 번역이 단순한 기능직이 아닌 또 하나의 창작행위이며 자신의 생각과 느낌을 제대로 전달할 줄 아닌 이만이 이 어렵고도 지루한 작품에 뛰어들어야 한다는 것을 다시 한번 깨우치게 된다. 2부를 읽다 보니 다르덴 형제의 '자전거를 탄 소년'이 보고 싶어졌고 미드 '브레이킹 배드'는 넷플릭스에서 찾아 시즌 1을 보기 시작했다.

내가 모르고 있던 새로운 세계로 자연스럽게 이끄는 이 책을 읽고 나니 올 겨울을 즐겁게 나게 해줄 나만의 콘텐츠 선물 리스트가 하나 완성됐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