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 바퀴로 가는 과학자전거 - 강양구의 과학.기술.사회 가로지르기 세 바퀴로 가는 과학자전거 1
강양구 지음 / 뿌리와이파리 / 2006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모 언론사가 유행시킨 전문기자 제도로 과학 전문 기자가 대부분 있다지만,

그 소위 '전문가'들이 한국 사회(뿐만 아니라 전세계까지도)를 뒤흔든 줄기세포 논문 조작극에서

누구보다 열연한 주연들이었다는 사실을 상기해보면,

우리 사회가, 시민들이, 왜 과학기술의 사회적 의미와 방향에 관심을 가져야 하는지

최소한 그 이유 하나는 명백히 알 수 있다.

 

쉽고 재미있는 과학 기술 이야기는 사실 흔하다.

이를테면 우연과 실수에서 위대한 발명이 있었다는 식의.

혹은 천재 과학자의 우스꽝스럽거나 괴팍한 일화들.

하지만 그렇게 과학(사)의 단편적인 흥미거리로 대중을 얄팍하게 유혹하는 것은

어쩌면 과학과 대중의 거리를 더욱 멀어지게 만드는지도 모르겠다.

 

그런 면에서 환경 및 과학 기자인 저자가 학습과 독서, 토론, 인적 교분을 토대로 하여,

성실하고 원칙적인 취재활동을 통해 계속해서 추구해왔던 개인적 화두인

과학기술의 사회적 의미를 이렇게 '쉽고 재미있게' 생각하고 고민할 수 있는 계기를 만난다는 건,

적어도 과학에 문외한이라고 생각하고 살아온 사람에게는 커다란 행운이다.

 

우리와 과학의 거리를 좁히는 것은 단지 내가 마시는 커피잔에서 일어나는 현상을

다시 화학 용어로 정식화하여 설명해보는 그런 건 아니리라 생각한다.

과학기술은 과연 중립적이고 객관적인가.

특정 이익을 위해 복무하거나 혹은 거꾸로 억압된 과학기술은 없었는가.

또한 과학기술의 방향이 윤리적으로 결정되는 것은 어떠한가.

이 책은 이처럼 중요한 과학철학과 과학사회학의 주제들을 

구체적인 역사적 실례와 시사문제를 통해 제시한다.

과학자가 꿈인 10대 청소년들을 염두에 두고 썼기에 대화체로 부드럽게 서술되어 있지만,

청소년들에게 둘러치기 쉬운 천편일률적이고 두리뭉실한 양비론이나 양시론적 관점에서 벗어나

저자의 입장은 원칙적으로 강건하고 명확하다.

'이과' 출신이면서도 사회과학과 인문학 교양을 두루 섭렵하고,

사회 일선에서 성실한 취재활동을 해온 저자의 개인적 소양과 철학 덕택이 아닐까 한다.

발전주의, 성장지상주의, 과학기술만능주의만을 주입받아온 우리 세대의 한계를

다음 세대에 되물림하지 않고 싶어하는 진지한 대화와 설득의 열정도 돋보인다.

3부로 나뉘어진 주제들 및 논리의 구성과 발전이 

대단히 짜임새 있어서 논술교재로도 좋을 것 같다.

 

우리 사회와 인류의 현재, 미래를 좌지우지할 수 있는 중요한 기술적 변화와 내용에 관심을 갖고

시민적 감시를 게을리하지 않을 것.

이 책을 읽은 우리에게 남겨진 과제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