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버스토리
리처드 파워스 지음, 김지원 옮김 / 은행나무 / 2019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키가 아빠 허리까지 오던 시절, 산수유 나무를 심었다.
아파트와 도시에서 나고 자라 나무에 대해 아무런 감상도 없이 그저 ‘식목일 행사’의 명목으로 심었던 나와 가족의 첫 나무였다.
그 후 약 17년의 시간이 흘러 지금 20대 중반이 되었고 다시는 그 나무를 볼 수도, 돌볼 수도 없게 되었다.
그 나무는 당시 살던 서울의 한 아파트 아래 화단에 심었었다. 처음엔 별다른 감흥 없이 심게 된 나무였는데도 나중에는 그 아래에서 사진도 찍고, 이름도 붙여주고 하며 막 태어난 동생 대하듯 애정을 듬뿍 주게 되었다.
그렇게 그 곳에서 7살을 보내고, 10살을 보내고, 13살을 보내고, 그 곳을 떠났다.
지금은 그 나무의 생사조차 알 수가 없다. 아빠,엄마와 함께 건 우리의 이름과 우리 식구가 된 나무의 이름을 적었던 플라스틱 판으로 된 목걸이는 여전히 그 곳에 있을지, 어디론가 사라졌을지 알 수가 없다.
그 나무를 떠날 때 나는 아무런 작별인사도 할 수가 없었다. 6년을 다녔던 학교와, 교목이었던 느티나무에게도 인사를 하지 못했고, 등하굣길을 지켜주던 그 수많은 나무와 꽃들에게도 인사를 할 수 없었다.
별로 좋지 않은 문제로 그 곳으로부터 아주 먼 곳으로 떠난 뒤, 아빠가 돌아 가셨고, 혼돈의 사춘기를 보냈고, 여러 애인을 사귀었고, 여러 권의 책을 읽으며 지금의 내가 되었다.
무슨 무슨 나무 이름이 들어간 동요를 흥얼거리던 시절은 순식간에 지나갔고 나무들은 점점 내 안중에서 사라졌다.
길가에 늘어 서 있는 벚나무들을 봐도, 은행나무들을 봐도 허공 보듯 하게 되었다. 그렇게 나는 무미건조한 하나의 호모사피엔스가 되어버렸다.

이 책을 처음 펼치고 ‘뿌리’장을 읽는 초반까지는 책의 느린 템포에 좀이 쑤셔 그야말로 꾸역꾸역 읽고 있었다.
두꺼운 분량에 갈 길은 먼데 한 바닥 읽는 것도 버거운 지경이라 읽으면서도 이 곳이 도서관인지 지구인지 나무 뿌리인지 흙인지 숲인지 달나라인지 도무지 몰입이 잘 되지 않았다.
그렇게 중간에 내릴 수 없는 기차에 탄 듯 약간은 멍한 상태로 글을 읽어내던 중, 딱히 어떤 대목에서 부터라고 말하기 힘들만큼 자연스럽게 어느 순간부터 이 책에 빠져버렸다.
뭐에 홀린 듯 ‘꼭 끝을 봐야만 하는 책’이라는 생각이 들었고, 드디어 뭔가를 자각하게 되었고, 책을 손에서 놓을 수가 없었다.
내 삶에서 멀어진 줄만 알았던 나무가 사실은 가장 가까운 곳에 늘 있었다.
20 몇 년째 내 손에 거의 항상 들려있던 책도, 공책도, 색연필도 전부 나무라는 걸.
때로는 연인과 웃으며, 때로는 큰 상실감에 울먹이며 걷고 지나쳤던 그 모든 곳곳에 나무가 있었다는 걸. 초등학생도 다 아는 그 당연한 사실들을 이제서야 새롭게 자각한 것이다.
곳곳의 감동을 매마르고 무지한 나는 늘 그냥 지나쳤고, 책을 펼치자마자부터 시작된 누군가의 ‘나무 이야기’에 아무 감정도, 공감도 느끼지 못하고 있었던 것이다.

처음에는 ‘나’라는 일인칭 시점으로 나무를 느끼고 바라보는 감동과 즐거움에서 자각이 시작되었다.
책의 인물들은 제각각의 사연과 삶을 통해 나무를 자신만의 관점에서 보고, 판단하고, 느꼈고 나 역시 일인칭으로서 그들을 따라갔다.
하지만 경이롭게도 책을 덮었을 때는 더이상 나무와 숲과 열매들에 대한 ‘나만의 이야기’가 아닌 ’나와 너와 우리 모두의 이야기’가 되어 있었다.
시작할 때 그저 누군가의 현재와 과거였던 이야기는 인류 전체의 탄생과 끝없는 미래에 대한 이야기가 되었다.

우리들 곁에는 언제나 나무가 있었다. 수많은 지금이 지나갈 때 그 옆엔 항상 나무가 있었다. 우리들이 탄생했을 때도 있었고, 전쟁이 났을 때도, 끔찍한 학살이 일어났을 때도, 전기가 발명되었을 때도, 컴퓨터가 생기고 스마트폰이 생겼을 때도 나무가 있었다.
우리 인류는 나무 없이 결코 이렇게 발전하며 살아남을 수 없었다. 그 사실을 끊임없이 자각해야만 한다.
나무는 인간의 도구만이 아니다. 살아있는 생명이다. 어린시절 대부분의 아이들은 ‘아낌없이 주는 나무’를 읽고 나무에게 진심 어린 사랑을 느끼고 고마움을 느낀다.
동심과 나무는 같은 세계다. 때로는 동심으로 돌아가 나무를 대하는 자세를 가져야만 한다.
이 책의 인물들은 나무를 택했다. 우리가 나무에게 아낌없이 받은 것들을 다시 돌려주기 위해 노력한다.

나무들을 기억해본다. 처음 이름을 지어줬던 산수유 나무, 학교 교목이었던 느티나무, 그림 교실에서 그렸던 뒷 산 밤나무, 한 때 살던 곳 앞에 잔뜩 서있던 벚나무, 제주도에 살던 시절 자주 보았던 귤나무, 어느 시골 마을에 놀러갔다 본 사과나무, 가을이면 마음을 설레게 했던 단풍나무... ... .
나무와 그 나무들에 두고 왔던 내 삶을 돌아보며 이 책의 여운을 마무리한다.

지금 이 순간에도 곳곳의 나무들이 죽고 있다. 누군가들은 나무를 심고, 누군가들은 나무를 죽이고 훼손한다.
나무로 만들어진 이 책이 꼭 많은 사람들에게 읽혀져 다시 나무에게 돌아가길 바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