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들이 머무는 공간으로의 여행
윤정인 지음, 이부록 그림 / 알마 / 2017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과거에도 그래왔고, 현재도 그런것처럼 나는 책을 좋아하고, 독서하는걸 즐긴다.

그래서 항상 집 근처에있는 서점을 자주 애용했다. 할일 없어도 구경하러 가고, 문제집 사러도 가고, 책이 읽고싶어서 가고 등등.

여러가지 다양한 이유로 수시로 들락날락거렸던 곳이 바로, 서점이었다.

물론, 지금도 자주는 아니어도 집 근처 서점을 가곤한다. 가게되면, 나도 모르게 예전에 자주 찾아갔던 그때가 갑자기 떠오르곤 한다.


그때가 생각이 나느냐구 묻는다면, 난 또렷이 기억이 난다고 말할 수 있다.

왜냐면, 그만큼 정말 많이 갔던 곳이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추억이 서려있기도 한 곳이기 때문이다.

옛날에는 그래도 집 근처 서점이 2~3개정도 있었는데, 지금은 다 없어지고 하나만 남아있다. 다행히도 말이다.

추억이 서려있던 곳 중에서 한 곳만 남고, 다른 서점은 장사가 안된다는 이유로 없어지고, 다른 매장이 들어왔다.

그 모습을 바라보면서 마음과 입안이 참 많이도 아쉬우면서, 씁쓸하면서 썼다.


예전만큼 서점을 찾아보기란 힘들어진것같다. 과거에는 그래도 나름 멀리 가더라도 서점을 종종 발견할 수 있었는데,

지금은 집 근처 서점이라도 없어지지 않길 바라는 마음이 생길정도로 많이도 없어지고 있는 상황이다.

서점에 가는걸 좋아하고, 책 사는것도 좋아하는 편이었다. 그런데 도서 정가제이후로 서점가는 횟수가 줄고, 헌책방, 중고서점, 도서관에 찾아가는 횟수가 늘어났다.

헌책방이나 중고서점은 집에서 너무 멀리 위치해있기도했고, 많지도 않았기에 잘 찾아가기 않았었다.

도서관은 학교에 다니다보니, 학교도서관을 이용하면 된다는 생각으로 학교 도서관이외의 도서관은 가본적이 없었다.

그런데 도서정가제로 책 가격이 비싼데, 점점 더 비싸지고 있어서 살 엄두를 못내고 있다가, 눈을 돌리게 된곳이 바로, 헌책방, 중고서점, 도서관이었다.

그렇다고 책을 아예 안 사는건 또 아니다. 하지만 읽고싶은 책을 잔뜩 샀던 예전과 달리, 지금은 신중에 신중을 더하면서 고르고 책을 사고 있다.


이 책의 저자도 나처럼 집 앞 서점이 사라지는걸 본 이후로 책이 살아있는 공간을 찾아다니기로 마음을 먹고 쓴 책이다.

책방의 이야기를 전하고 싶은 마음을 담아 써내려갔다고 하는데, 읽다보면 그 마음이 와닿는다.

멀리 나갈것도 없이, 책들이 머무는 공간을 찾아 여행을 떠나보면 어떨까 하는 생각도 들었다.

무려 23곳의 탐방기를 다루었는데, 사진도 들어가있어서 직접 가보지는  못했어도,

간접적으로 경험을 할 수 있게 도와준다. 그리고 책이 단순히 머무는 공간이 아닌, 마음이 머물기도하며, 추억이 깃들어있는게 보이면서 느껴진다.


작년인가, 재작년에 도서관과 관련한 기사를 본적이 있다. 사진하나에 밑에 그 도서관에 쓴 글이 적혀져있었는데 그렇게 길지 않았다.

그런데 시간이 그렇게 흘렀는데도, 아직도 그 도서관 이름이 기억이 남았을정도로, 멀어도 꼭 가보고싶었던 곳으로 찜해놨었던 곳이

이 책에 등장을 하는걸 보고 놀라지 않을 수 없었다. 바로, 남산도서관과 느티나무 도서관, 가람 도서관이었다.

사진과 설명만으로도 푹 빠질정도로 너무도 멋지고 도서관이 맞나 싶은 곳이었기에 마음과 머릿속에 저장이 되었던것같다.

자꾸 사정이 생기고, 왕복만 몇시간이라서, 시간이 잘 나지 않아 아직도 가보지 못했다.

하지만 이 책 속에 등장하면서 그저 기사로 읽는것과는 비교불가인 비교하는것도 죄송스러울정도로 그 도서관에 대해 자세하게 알게 되고, 배우게 되서 좋았다.

그리고 읽다보니 그래도 간접적으로나마 갔다온 기분이 들어 어느정도 위안이 되었다. 이제 봄이기도하고, 시간을 내서 갔다올 생각이다.


현재 사라지고 있는 상황이지만, 이런 상황 속에서도 여전히 책을 사랑하는 사람들은 존재하고 있다.

그 사람들로 인해, 다양한 주제와 테마를 가진 책공간이 생겨나고 있다.

나도 신문에서 기사로 된걸 종종 본적이 있는데, 어떤 책방은 미스테리 도서만 파는 미스테리 도서 전문 책방인 곳도 있었다.

미스테리 장르를 좋아해서 눈여겨 읽은적이 있어서 기억하고 있다. 그런것처럼 책방 주인이 자신의 취향에 맞춰 한가지 분야만 파는 서점도 있으며,

오랜 역사를 지닌 도서관도 있고, 문학 전문 서점도 있다. 사람들의 취향을 고려한 책방도 있지만, 그 서점 주인의 취향을 고려한 한 분야에만 특화된

동네서점이나, 책방이 많이 생기기 시작했다. 그뿐만 아니라, 도서관도 많이 진화하고 있는 추세이다.

나도 저자처럼 이 책에 나오지 않은 책들이 머무는 공간으로 여행을 가볼까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