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왜 자꾸 바보짓을 할까? - '생각의 사각지대'를 벗어나는 10가지 실천 심리학
매들린 L. 반 헤케 지음, 임옥희 옮김 / 다산초당(다산북스) / 2017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나이가 많다고해서, 나이가 어리다고해서, 성별이 여자이든 남자이든, 학력이 고학력이든 저학력이든 누구에게나 가지고 있는 것이 있다.

바로, 맹점이다. 이 세상에 나보다 잘났다고, 잘난 사람들이 존재한다고는 생각할 수는 있어도 그 사람들 모두 완벽하지는 않다.

cctv가 엄청나게 발달하고 여기저기 장소 안이든, 밖이든 있다. 하지만 cctv도 발견하지 못하고, 찍지 못하는곳도 있다.

우리는 그곳을 사각지대라고 부른다. cctv에만 사각지대가 있는게 아니다. 우리의 생각에도 보이지 않는 사각지대가 존재한다.

그 사각지대에서 벗어나게 도와주는 10가지의 실천 심리학을 이 책은 다루고있으며, 담고있다.


책 제목이 정말 공감이 가지 않는가. 살면서 왜 자꾸 바보짓을 하지?라고 문뜩 의문을 가진적이 있거나, 이러한 생각을 한 적이 있지 않은가.

나는 있다. 가끔 멍청한짓, 바보같은 짓을 할때가 있다. 그럴때 왜 이렇게 멍청하지, 바보짓 또 했네 라고 스스로 말하곤 했었다.

하지만 이건 나만의 문제가 아니다. 우리 모두가 한 번씩 이상은 생각해봤던 경험이다.

누구에게나 맹점은 있다. 스스로 없다라고 말할지도 모르지만, 그 이면을 자세하게 들여다보면 과연 없을까.

이 책은 누구나 맹점은 가지고 있으니, 인정하라고 말한다. 자신과 다른 생각이나 의견을 가지고 있는 관점상의 차이를 넘어서,

그 관점을 통해 배울 점이 있다는걸 인정하게 된다고 말한다.

그리고 사각지대인 타인의 관점을 보면서 자신이 놓치고 있는 부분을 볼 수 있다고 한다.

맹점이 무섭기도하면서, 그 맹점으로 인해 일어난다고 생각하니 놀라지 않을 수가 없었다.


생각하지 않아 저지르는 어이없는 실수들이 있다. 생각하지 않은게 능력이나 사고부분이 모자라서 그런걸까? 아니면 또 다른 맹점일까?

저자는 생각할 기회를 놓쳐서는 안된다고 말한다.

살면서 이런 말 한적이나, 생각한 적이 있을것이다. 생각을 하지 않아, 미처 몰랐다고 나중에서야 이해를 했다고 말이다.

그 말에 저자의 의미가 내포해있다. 생각지 못했다면 생각을 하면 되는게 아닌가, 생각을 하지 않아 일어난 실수와 잘못이다.

나중에서야 깨달으면 뭐하는가 이미 버스는 떠나고 없을터인데.

그런데 우리는 안다. 일을 하다가 생각이 필요하면 생각을 해야하는데, 그러지 못한다. 속으로 머릿속으로만 되새김질할뿐 행동으로, 실천하지 못한다.

그런 일처리가 익숙해졌기때문일것이다. 그러나 너무 익숙해진것은 위험하다. 익숙해져버리면 나도 모르게 위험한 줄도 모르고 계속 하게 되니까말이다.


'나는 왜 자꾸 바보짓을 할까?'란 책은 좀 더 심오하면서 디테일하게 심리쪽으로 접근하고, 왜 그런지 이유와 원인에 대해

자세하면서 적절한 사례들을 통해 설명해서 이해를 높이면서 도운다.

10가지 실천 심리학답게 10챕터로 나뉘어져있으며, 10가지의 맹점에 대해 다루고 있다.

그리고 그 맹점 주제에 대해 더 세부적으로 나뉘면서 다양하게 다루고 있기도 하다.

또한, 저자의 의견이나 생각, 사고 등도 있어서 공감도 가고, 왜 사각지대가 생겼는지, 사각지대가 무엇이며, 맹점은 왜 이렇게 다양한지도

알 수 있고, 배울 수 있으며, 전략과 자기방어 수단, 고정관념, 시야 넓히기 등등 그 안의 주제에 좀 더 다각적으로 다가가며,

전혀 몰랐던 생각지도 못한 부분들을 건들이고 기존의 심리학도서나, 자기계발 도서와 다른 차이점과 독특함이 첫페이지부터 마지막페이지까지 이어진다.

실천할 수 있는 설명이나 이론에서 끝나는게 아니라, 내가 직접 해볼 수 있는 구체적인 방법이나 방안도 나와있어 도움이 많이 되는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