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행복해지는 연습 - 부러움, 초조, 불안으로부터 홀가분해지는 72가지 가르침
나토리 호겐 지음, 박선형 옮김 / 가나출판사 / 2017년 2월
평점 :
절판


 

 

 

인간은 감정의 동물이다. 감정에 따라, 똑같은 상황도 서로 다르게 받아들이고, 다르게 반응하면서, 다른 감정을 느끼기 때문이다.

감정에 절대적인 지배를 받는다고 볼 수 있기때문에, 감정은 인간에게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한다.

감정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으며, 우리 곁에 존재하며, 실체는 보이지도, 만져지지도 않는게 있다. 바로, 행복이다.

나뿐만 아니라, 우리 모두 행복해지는걸 바란다. 그렇기때문에, 행복해지기 위하여 열심히 일하고, 돈을벌고, 쓰면서 사는게 아닌가.

그런데 행복해지기 참 힘들다고 생각한다. 아이러니하게도 행복을 바라면서, 정작 행복이 곁에 왔음에도 잘 눈치채지 못한다.

왜 그런가 보면, 사람마다 느끼는 행복은 각양각색이며, 다양하다.

행복이란 눈에 보이지도, 만져지지도 않는 자신의 감정의 일부분이 아닐까 싶다.

그렇기에, 자신의 마음이 만족스럽지 못하거나, 충족되지 못하면 행복하지 않다라고 생각을 하는것 같다.

그리고 안 좋은 감정에 지배되어 행복을 놓치기 일쑤이며, 행복을 멀리 쫓아버리고 만다.

행복이란, 그저 운과 같다고 생각하면 안된다. 행복이라는것도 나라는 사람이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 만들어지기도하고, 사라지기도 한다.

자신의 감정에 좌지우지 된다고 본다.


'지금 행복해지는 연습'이란 책은 제목를 봤을때, 행복은 그냥 굴러들어온게 아니라는걸 말해주는것 같다. 연습을 통해 행복해질 수 있다고 말하는것 같다.

우리는 혼자 살아갈 수 없는 존재들이다. 그렇기에 끈임없이 외부로부터 수많은 자극을 받는다.

그리고 그 자극에 감정이 반응을 일으킨다. 다양하게 말이다.

다양하게 반응하는 감정을 그냥 무심코 지나치거나, 무시하기보다는 어떤 의미를 가지고 있는지 알아보며, 편안하게 살아갈 수 있는 방법등을 책을 보면서 알 수 있다.

좋은 자극만 받는것도 아니고, 좋은 자극을 받아 긍정적인 감정반응이 일어났으면 좋겠지만 현실은 그렇지 않다.

안좋은 외부 자극을 받아, 부정적인 감정이 일어난다. 불안, 초조, 긴장, 질투, 부러움 등등 말이다.

이러한 안 좋은 감정들로부터 해방되기를 원한다. 누구도 원치 않는 감정이 아닌가.

이 책에서는 이러한 감정으로부터 평안해지고, 홀가분해지는 72가지의 가르침을 담아내었다.

나도 이런 감정을 대수롭지 않게 여겼었는데, 나중에 반복되는 감정에 지쳐버리거나, 안 좋다는걸 느끼게 되어 고치고싶거나, 해방되고 싶었다.


1부-부러움에서 벗어나는 연습

살면서 누군가를 부러워하지 않은 적이 있는가. 아마 없다가 대다수일것이다.

사람과 사람이 살아가는 시대에 게다가, 경쟁의 시대에 남을 부러워하지 않는다는건 실제로 겪기 힘들다.

경쟁의 상대가 있어 자신이 좋게 발전할 수도 있지만, 반대로 자신을 갉아먹을 수도 있다.

부러움이 마냥 안 좋은건 아니라고 생각한다. 분명 좋은점도 있다. 나라는 사람도 누군가에게 부러움을 받는 상대가 될 수도 있다.

하지만 부러움이 지나치면 상대방을 부러워만하고, 심하면 자신을 비하하거나, 자존감, 자신감이 낮아질 수가 있다.

부러움을 가지고 자신의 발판으로 삼아 도약할 생각을 하지 못하게 되는 경우가 많다.

우리는 이러한 부러움에서 벗어나야 한다. 그래야 타인을 부럽다면 부럽구나에서 끝이 나고, 더이상 자신이 그러한 감정에 휘둘리지 않을테니까말이다.


p27 인정받고 싶다면 먼저 다른 사람을 인정하라.

사람들이 하기 힘든 생각과 행동이 아닐까 싶다. 인정받고 싶은 욕구와 욕심은 많은데 정작 다른 사람이 인정을 받거나, 그 사람을 인정하는걸

진다고, 자존심이 상한다고, 내가 그 사람보다 못하다는걸 인정해야 한다는 패배감이 든다고 하지 않을려고 한다.

하지만 그러면서 정작 자신은 인정을 받고 싶어한다. 참 이기적이지 않는가.

다른 사람에게 인정받기를 원한다면 저자의 말처럼, 타인을 인정해야 한다. 그래야 자신도 인정받게 된다.


p30-"어차피"라는 말은 하지 않는다.

이 문구를 보고 순간 내가 어차피라는 말을 자주, 많이 사용했는지부터 되짚어보았다.

생각외로, 꽤 생각하거나, 순간 나도 모르게 말로 내뱉었던 것 같다.

외출을 해서 어디론가로 갈때, 시간이 지체되었을때, '어차피'늦었어. 라든가 신호등이 바뀌었을때 신호등까지 거리가 있는 상태에서도

'어차피' 뛰어봤자 바뀔꺼야 라고 말을 종종 했던것 같다. 어차피라는 단어가 가진 말은 정말 무섭다라는걸 느끼게 되었다.

어차피 단어가 붙고나서 뒤에 긍정적인 말보다, 부정적이고 안 좋은 말이 항상 붙는다.

책 속의 저자는 자기 마음대로 결과를 예상하는 사람들이 하는 이라고 한다. 진짜 그러고보니, 신호등이 바뀌었어도 뛰어보지않고

건널수 있을지, 없을지 결과는 아무도 모르는데 내가 먼저 해보지도 않고 결론이나 결과를 말한것이다. 소름이 돋으면서, 놀라웠다.

이 말을 자주 사용할 수록, 혹은 생각하면 할수록, 자신의 마음에 새까만 먹구름을 가지고 온것과 같다고 본다.

이제부터라도 결과를 함부로 예상하거나, 예측하지 말아야겠다. 그리고 이 말을 생각하지 않을려고 주의를 기울이다보면 어느순간 안 쓰게 되는 날이 올것이다.


이 책을 읽으면서, 그저 노력을 하면 행복은 자연스레 따라오는거라고 생각을 했다.

그런데 난 겉으로만, 외부적으로만 노력만 한 것 같다. 결국 중요한것은 항상 외부의 자극에 민감하고, 반응을 하는 감정을 보지 않았기에

누구보다 행복을 잘 느끼지도 못했으며, 행복함이란게 무엇인지도 모르고 살아왔던것같다.

결국 행복은 외부에서 찾아오는게 아닌, 내 감정에서 출발한것인데 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