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이 든 부모를 사랑할 수 있습니까 - 살아가는 동안 누구나 풀어야 할 본질적인 숙제
기시미 이치로 지음, 박진희 옮김 / 인플루엔셜(주) / 2017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미움받을 용기의 저자로 이미 한국에서 유명한 베스트셀러 작가이신 기시미 이치로 작가의 새로운 신간이 출간되었다.

그런데 왜 책이 아니라 무슨 대본같다라고 생각하실 수가 있는데, 아직 책으로 출간하기 전인 편집본 즉, 가제본이다.

가제본으로 먼저 만나본 <나이 든 부모를 사랑할 수 있습니까>란 색다르면서 약간의 충격을 주는 제목이 아닐 수가 없다.

옛날에 철부지였던 나한테 이 질문을 했다면, 아마.. 창피하지만 바로 대답을 못하고 머뭇거렸을 수도 있다.

그때는 어리기도했고, 부모님과의 사이가 그렇게 좋지도 못했었던 시절이었으니까 말이다.

하지만 만약 지금 나한테 사랑할 수 있습니까?라고 질문한다면, 난 즉시 바로, 네! 할 수 있습니다. 라고 대답할꺼라고 자신한다.

지금은 나이도 먹고, 나름 어른이 되어 세상을 보는 눈과, 사람을 사귀는데 생각을 가지게 되었다.

그러다보니, 철부지였을때 보았던 부모님과 지금의 부모님하고는 괴리감이 없지않아 있다.

측은감, 안쓰러움, 고마움, 사랑스러움, 속상함 등등 여러 감정이 교차되어서 나타나고, 부모님에 대한 생각이 바뀌어

부모님을 다른 시선으로 바라보게 되었다. 그런와중에 이 책은 기시미 이치로 저자의 실제 자신이 겪은 경험과 사례들을 담아낸 책이라서 그런지

읽으면서 공감도 많이가고, 눈가에 눈물도 맺히며, 나한테는 그저 다른나라의 베스트셀러작가이자 유명한 책을 출간한 작가라고만 생각해왔었는데

기시미 이치로 저자도 나와 다름없는 그저 평범하면서 책 제목처럼 이런 질문을 하게 되는 경험을 겪게 되는걸 보고 이 세상에 잘난 사람들은 없구나.

다들 누구나 거쳐가는 인생 중에 슬픔이나, 괴로움, 고통일지라도 어떻게 받아들이고, 어떻게 생각하느냐에 따라 다른결과가 나온다는걸 깨달을 수있었다.

기시미 이치로 저자는 부모님을 간병하면서 어떻게 하면 좋은 부모 자식간의 관계를 만들 수 있는지, 부모님을 보살필때 마음에 새겨야 할것들을

배우고, 깨닫고 그러한 자신의 경험담을 이 책 한권에 고스란이 녹아내렸다.


제목의 부주제가 너무 씁슬하면서 슬프게 다가왔다. 누구나 나이를 먹는다. 나도 예외는 없다. 지금은 나이가 젊을지라도 어느순간 지나고보면

나도 어른이 되어있고, 나이도 꽤 먹은 상태가 되어있을테니말이다. 지금은 어리더라도, 어느새 청소년이 되고, 성인이 되고, 어른이 되어간다.

부모님 또한 마찬가지시다. 나이 든 부모를 사랑할 수 있는냐고 질문하는것도, 풀어야 할 본질적인 숙제라고 말하는게 ​

요즘은 부모자식간의 관계가 좋은 경우가 흔하지가 않다고 한다. 오히려 좋으면 신기하게 쳐다보거나, 생각하고 부러워한다고 하니 아이러니하지 않나.

가장 가까이 있고, 나를 낳아주셨으며, 집에 항상 계시는 부모님인데 말이다.

실제로 최근에 다큐로 공중파 프로그램에서 자식과 아빠와의 관계에 대해 방영한 적이 있다.

그 실상은 가히 충격적이면서, 어쩌면 이게 요즘의 현실이라는 점이 참 슬펐다.

자식은 아빠를 돈벌어오는 기계 혹은 무뚝뚝하고 나한테 관심없는 사람으로 취급하고 생각하게되었고, 아버지는 돈을 더 벌어오기 위해

안간힘을 쓰는 사람, 돈이 없으면 자식들에게 무언가를 해줄 수 없는 무능력한 사람이 되어버린다는 말을 들었을때 뭐라 할 말이 딱히 떠오르지 않았다.

나도 아빠를 그렇게 생각하는게 아닐까하는 생각마저 들어, 내 머릿속을 헤집어 놓듯이 아빠에 대한 생각을 가만히 곰곰히 해보았다.

그래서 이 책의 제목이 어쩌면 이런 현실을 방영한게 아닐까하는 생각도 들었다. 처음에 제목과 부주제를 보고말이다.


<나이 든 부모를 사랑할 수 있습니까> 책을 읽으면 읽을수록, 부모 자식간의 관계는 이렇게도 만들어 질 수 있구나, 이렇게 하면 좋겠구나를 많이 배웠고,

부모님이 내 곁에 있을때 보살펴야 할때 나도 저자가 마음에 새긴것들을 고스란히 마음에 새겨넣었다.

> 책 속에서의 나만의 명문장

1장. 그렇게 우리는 나이가 들어간다. 2장 나이 듦을 받아들이는 용기. 3장 부모와 자식에서 인간 대 인간으로 4장 함께 '지금,여기'를 즐겁게 살기 위하여

총 4장으로 되어있으며, 각 제목과 주제들이 멋지기도하고, 교훈을 준다고 느껴지며, 되새길때마다 가슴을 울려서 적어보았다.

 

예전에는 미처 몰랐다. 그저 공부해야만 하는 그 순간에만 벗어나고싶어서 항상 매일, 나이를 빨리 먹고싶다고, 빨리 어른이 되고싶다고 생각해왔었는데

지금은 나이를 먹고, 어른이 되어보니 과거의 나를 잡고 멱살잡이를 하고 싶은 심경이다.

한살 한살 새해가 될때마다 먹는 제일 쉬운 나이를 먹을때마다, 처음 만나는 사람들이 나이를 물어보게 되면, 이상하게 쉽게 입이 열리지가 않는다.

나이 먹는게 싫고, 내 나이가 너무 많이 먹은것같으면서, 해놓은게 없으니 더 말하기가 싫었던게 아닐까하고 생각이 든다.

저자는 미움받을 용기를 말하더니, 이제는 나이 듦을 받아들이는 용기를 말한다. 고개를 나도 모르게 끄덕였던 부분이다.

맞다, 어쩌면 나는 나이 듦을 받아들이지 못하고 받아들일 용기가 없었기에 이러한 생각과 행동을 한게 아닐까싶다.


모든 챕터는 기시미 이치로 작가가 간병을 하면서 경험한일들을 토대로 쓴것이기에 모두 부모님과 관련해서 이야기가 시작되고,

간병하면서 솔직하게 쓴 글이기도하며, 읽을때마다 울컥하고 올라오는 기분을 느끼게 만드는 책이다.

저자의 아버지는 치매를 앓으셨다. 치매를 앓으셨지만, 하신 말씀이 놀라우면서 와닿아 문뜩 이런 생각을 해보았다.

치매든, 건망증이든, 자꾸 잊어버리고,까먹게 되는 상황 속에서 대부분의 사람들은 아마 어떻게 해서든 기억해낼려고 노력하고, 떠올릴려고 발버둥을 친다.

하지만 저자의 아버지는 기억해낼려고 하기보다는 '과거의 일은 전부 잊고 처음부터 다시 시작하고 싶구나'를 말씀하신다.

놀라지 않을 수가 없었다. 과거에 발목을 잡혀있던 나한테 망치로 가슴과 머리를 맞은 기분을 주었다.

과거의 늪을 벗어나고싶으면서도, 벗어나지 못하던 나한테 차라리 전부 잊어버리라고, 다시 시작하면 된다고 말하는 저자의 아버지나, 저자의 사고가

참으로 대단하면서, 그 안의 담긴 진짜의미를 알게 되니 깨닫고, 배울 수가 있었다.


부모가 아프다고, 나이가 들었다고해서 부모의 가치가 변색되거나, 퇴색되지는 않는다고 생각한다.

오히려 내가 살아가는 인생의 자양분이 되는 말씀과, 있는것만으로도 힘이 되어주시기때문에 나는 지금 내곁에 계시는 부모님이 너무 좋고, 사랑스러움을 느낀다.

이 책을 읽으면서 지금 건강하게 내 옆을 지켜주시고 계신 부모님이 계셔서 얼마나 다행인지 모르겠다.

그리고 좌절, 포기, 슬픔,우울, 고통 에만 빠져 허우적대지 않았던 작가의 행보와 행동, 생각들이 나를 깨우쳐주는 계기가 되는 좋은 책이었다.

 

> 책 속에서의 나만의 명문장

부모님이 버럭 화를 내면 마음이 상하기도 하지만 그래도 '지금' 살아계셔서 참으로 다행이다.

> 책 속에서의 나만의 명문장

할 수 없는 일일지라도 할 수 있도록 노력하는 것에서 살아가는 기쁨을 느낄 수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