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록 너머에 사람이 있다 - 16년차 부장검사가 쓴 법과 정의, 그 경계의 기록
안종오 지음 / 다산지식하우스(다산북스) / 2017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기록 너머에 사람이 있다'라는 제목의 이 책을 쓰신 저자이신 안종오 저자는 실제로 16년차 신임검사들을 가르치고 계시는 부장검사이시다.

책에는 경계가 없다고 생각한다. 정말 이 세상의 모든 책들을 다 읽은것도, 섭렵한것도 아니다.

하지만 책을 읽으면 꼭 내가 읽고있는 책의 작가들을 유심히 살펴보고, 저자에 대한 나열식 소개를 읽는다.

다양한 나이대, 여러 사람들을 만나게 된다. SNS가 아닌, 책을 통해 거미줄처럼 연결되는 기분을 느낄 수 있어서 항상 책을 읽을때나, 혹은 관심이 가는 책의

작가들을 찾아보곤 한다. 나보다 나이가 어린사람, 나보다 나이가 많은 사람, 나랑 동갑이 사람, 그밖에도 몸이 불편한 사람, 아픈사람, 투병중인 사람,

혹은 책을 쓰지 않아도 될꺼같은 부와 명예를 가진 사람들 등등을 작가로 책을 통해 발견하거나, 찾곤 한다.

그런 작가들의 이력을 볼때면, 질투나 시기심 보다는 이 사람들은 과연 어떤 이야기를 우리에게 들려주기 위해 쉽지 않은 선택을 하게 되었는지를 먼저 생각하곤 한다.

하얀 A4용지와, 자판 혹은 연필이든 까만볼펜이든, 가지고 있으면 누구든지, 아무나 글을 쓸 수있고, 그것이 한 권의 책으로 독자인 우리들을 만날 수도 있다.

하지만, 책으로 나오기까지의 그 책 속안의 담기는 그 깊이를 담아내기가 쉽지 않다는것은 알고있지 않은가.

그렇기에 우리는 쉽게 글을 쓰지 못하는걸지도 모른다. 왜 이 이야기를 하냐면, 이 책을 쓴 사람이 아무리 높고 대단한 직업을 가진 사람이라고해서

편견을 가지고 읽지 않길 바라는 마음으로 적어보았다.


'기록 너머에 사람이 있다'라는 책은 그냥 부장검사인 안종오저자의 자랑을 하고싶어서 쓴 책이 아니라는것을 말하고 싶었다.

부장검사. 단어만 들어도 그 위대함이 그냥 마구 상상이 되면서 보여진다.

그러나 그 중압감과 무게감은 실로 엄청나다는것을 이제서야 새삼 깨닫고 한다.

이 책 속에서 안종오 저자는 부장검사가 아닌, 자신의 직책에 맞게 법과 정의를 위해 싸우지만, 보이지 않는 경계 속을 기록한 책이다.

법과 정의 구현을위해, 사람을 보고 판단을 한게 아니라 그 기록의 너머 속에 존재하는 사건과, 사람, 인생 이야기들을 모두 담아냈다.

이 책을 읽으면서 제일 먼저 든 생각은 티비프로그램인 서프라이즈에서 나올법한 사건이나 사람, 인생이야기가 아닌가하는 생각이 제일 먼저 들었다.

사건이다라고 너무 법과 정의 엄중한 잣대를 대는것도 물론 중요하지만, 단정지어서는 안된다는걸 깨달을 수 있었다.

사건 하나에 한 사람의 혹은 여러사람의 목숨이나 인생이 달려있을 수 있기때문이다.

안종오저자의 검사라는 직업에서 실제로 보고, 겪었던 것들을 솔직하게 기록해놓았다.

또한, 검사라는 직업에서 한 발 물러나, 솔직하면서 겪었던 경험들을 허심탄회하게 풀어냈으며, 자신의 그때 심경또한 솔직하게 담겨져있다.


예전에도 그랬고, 현재도 인생은 쉽지가 않다. 힘들다. 하지만 이 책을 읽으면서 배운점이 있다면, 난 정말 힘든것도 아니라는것.

난 그저 투정과 어리광을 부리고 있는중이라는걸 깨닫고 내가 그동안 웬 허짓거리를 하고 살아온게 아닐까 하는 반성도 하게되었다.

원래 사람이란 이기적이라서 자기자신만 알기때문에, 남들이 별거아니네해도 자신에게는 엄청나게 큰 시련과도 같다고 생각하고 바라본다.

하지만, 이 책 속의 사건과 그 안에 등장하는 사람들의 인생을 바라보게 되면, 허구가 아닐까하는 생각이 들정도로 내 주변에서, 내가 사는 곳에서

일어날 수도 있다는게 놀라웠으며, 앞으로 어떤 시련이 닥쳐와도 잘 헤쳐나갈 수있는 용기와 그 안에 담긴 따뜻함에 웃기도하고 울기도 했다.


30대 강도 피의자가 구속되어 들어온적이 있었다. 그때 저자의 따뜻한 위로의 말 한마디로 인해 피의자가 눈물을 떨어트리면서

자신의 범행에 대해 사실대로 다 실토하게 된다. 검사였던 저자의 입장에서는 그냥 무심코 던진 한마디가 피의자에게는 그 어떤 곳에서 받지 못한,

따뜻하면서 위로가 되는 말 한마디였던것이다. 그만큼 말 이라는게 얼마나 중요한지 알 수있는 사건이었다.

이 세상에 모든 나쁜 사람들만 존재하는것은 아니라는 생각이 들었다. 그저 남들은 귀담아 듣지 않거나, 별로 감동도 하지 않을 말 한마디에

눈물을 보이고, 위로를 받았다는게 그 사람의 인생이 언뜻 보이는것 같기도했다.

이처럼 책 제목처럼 답답하고, 형식적인 기록이 아닌, 그 기록 너머를 바라보니 사람이 보이기 시작하고, 보인다는걸 깨달을 수 있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