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발 (일반판)
반디 지음 / 다산책방 / 2017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처음에 책의 제목인 고발을 보고 한숨이 절로 나왔다. 나라가 돌아가는 시국이 그다지 좋지 못하다보니, 그와 관련한 책들이 심심치 않게 출간되거나,

보게 되서 그런지, 그와 관련한 된 비슷한 주제를 담은 책인줄 알았다.

하지만 내 예상은 완전히 빗나가버렸고, 전혀 예상치 못한 작가의 이력에 놀라고야 말았다. 한국 즉, 남한에서 북한 작가가 쓴 글을 책으로 출간되서 만나게

될줄은 몰랐기 때문이다. 반디 라는 이름은 <고발>책의 작가의 실제 이름이 아닌, 필명이다. 반디 작가는 북한에서 살고 있다.

고발이란 책은 2014년 국내에 처음 소개되었다고 한다. 하지만 3년만에 다시 새롭게 출간을 했고, 지금 내 손안에, 서점에 모두 진열이 된 상태이다.

필명인 반디작가의 목숨을 걸고 쓴 고발이란 책이 어떻게 우리 즉, 남한에 들어올 수 있었는지 궁금했었다.

알고보니, 브로커와, 탈북자들을 통해 남한으로 원고를 반출시킨것이다. 다른 나라도 아닌, 북한에 살고있는 작가가 어떻게 이다지도 위험한 생각과

글을 써서 모두에게 알릴 생각을 했는지 정말 대단하고 용기가 있다고밖에 표현할 말이 생각나지 않는다.

이게 밝혀지면 개죽음을 면치못할것이고, 분명 가족들도 가만히 두지 않을게 뻔한데 말이다.

신기하면서도 무섭게도 현재 김정남의 죽음으로 인해 한바탕 남한이 떠들썩할때를 맞춰나온 고발에 대해 관심을 안가질려고해도 가질 수 밖에 없다.

티비에서 뉴스며, 신문이며 김정남의 죽음을 거의 피살이지 않을까하고 생각하고 있다는 보도와 현재 북한의 상황도 같이 알려주고 있는 그걸 보면서

고발이란 책도 함께 읽으면서 북한에 실제상황이라고 하기에 너무 암담하고 참혹하며 무서워서 진저리가 쳐졌다.


이 책은 총 7가지의 나라는 같은 북한일지라도, 다른 사람들이 나오고, 다른 이야기를 담고 있다. 북한은 현재 아직도 전체주의와 공산주의 시대이다.

고발이란 책과 영상을 통해 접한 북한을 보면 전체주의와 공산주의가 이런것인가하는 생각이 들정도로 너무 다른 환경과 상황에 뼈져리게 실감이 나면서 다가왔다.

이 책의 제목처럼 고발에 맞게 반디작가는 고발을 중점적으로 무게를 두면서 너무 딱딱하고 우울할정도로 무겁지 않게

정말 깔끔하면서 구성력이 있으며, 짜임색있게 글을써서 몰입감을 더욱 높여 나도 모르게 계속 읽게 만드는 매력이 있다.


첫번째 장인 탈북기에서는 일철이라는 주인공이 상기라는 이름의 친구에게 편지를 보내는 형식으로 이뤄져있으며, 자신이 처한 상황과 심정에 대해

누구보다 솔직하고 적나라하게 고백아닌 고백을 하면서 편지 형식으로 이어진다.

나중에는 후반쯤에는 일철의 아내의 일기장의 일부분을 친구인 상기에게 그대로 써서 알려주는 부분도 나온다.

그것을 통해 왜 제목이 탈출기인지, 왜 이들이 탈출을 하고자했는지를 알수가 있다. 읽으면서 나같애도 그럴꺼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남편인 자신을 위해 아내의 말 못할 온갖 수모와 슬픔을 겪으면서도 내색하지 않고 혼자 삼키는 아내. 그런 아내의 속사정을 알게 된 남편.

벗어나고싶어도 벗어날 수없는 감시, 되물림, 세습, 억압 등 이 모든것들을 더이상 견디고 싶지 않아 이 둘은 탈출을 결심했다고 편지에 쓰며, 나중을 기약한다.


이미 북한은 예전의 북한이 아니다. 더 강압적이며 전체적으로 통제를 하기 시작했고, 더욱 무서운 사실은 '피의 숙청'이 끝나지 않고 어느때던

일어날 수있을지도 모른다는것이다. 이미 한차례 많은 사람들의 목숨을 앗아간 피의 숙청이 한국에서 알려졌을때 가히 그 충격이란,

어떻게 저럴수 있을까라는 생각이 들었다. 이것이 북한사람들을 두려움과 공포에 떨게 만들며, 누구나 탈북을 시도하는거라고 생각한다.

이러한 오래된 상황속에서 반디작가는 더이상 참지 못하고 글을 쓰고 남한뿐만 아니라, 여러 다른 나라에게도 알리고싶은 마음에 목숨을 걸고 반출시킨것이 아닐까 싶다.

탈북자를 싫어하고, 왜 탈북을 하는지 모르겠다는 사람들이 분명히 어딘가에 있다. 그 생각에 대해 다시 생각할 기회를 주는 책이라 읽기를 권해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