잠깐 애덤 스미스 씨, 저녁은 누가 차려줬어요? - 유쾌한 페미니스트의 경제학 뒤집어 보기
카트리네 마르살 지음, 김희정 옮김 / 부키 / 2017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처음에 '애덤스미스'라는 이름만 보고 뭐, 경제이야기나 경제상식과 관련된 책인가보다하고 생각했었다. 제목은 끝까지 봐야하는법! 특히 부주제까지도.

저녁은 누가차려줬냐는 물음에 이 책은 내가 생각한 책과는 다른 책이구나를 직감적으로 알 수 있었다.

또한, 페미니스트라는 용어가 등장하면서 경제학을 뒤집어본다는 기발한 발상에 흥미와 궁금증, 기대를 마구 불러들어와 첫장을 펼치게 되었다.

페미니스트, 페미니즘 이란 말을 나뿐만 아니라, 다른 사람들도 심심치 않게 책으로든, 티비로든 보았을것이다.

아직은 생소하면서, 낯설지만 그 안에 담긴 의미와 무엇을 말하고자 하는지를 알게되면 누구나 그 매력에 빠져들고, 페미니스트가 되고자 하지 않을까 싶다.


난 학교에서 1년내내, 경제수업을 들어봤기때문에 많은 경제학자 중에서 제일 친근하면서 많이 들어본 이름이 '애덤스미스'다.

경제수업을 안 들어봤어도 다른 수업에서 간혹 등장하기도해서 아마 모르는 사람이 별로 없을꺼라 생각이 든다.

'국부론'하면 애덤스미스. '애덤스미스'하면 국부론이 자연스레 따라오고 ,생각나는것처럼 국부론은 경제학과 경제 사상의 출발점이기도 한 저서이다.

'보이지 않는 손'이란 말 또한 만들어낸 인물이며, 경제학자로써 칭송받고, 유명한 인물이다.

하지만 이 책에서는 그런 애덤스미스뿐만 아니라, 경제학자들의 생각과 편견을 페미니스트가 되어 꼬집고, 비틀고 있다.

다만, 이 책에 등장하는 주인공인 경제적 인간은 허구이며, 누구와도 연관이 없으며, 이 책에 묘사된 현실은 실은 존재하지 않는다.


"사랑은 희소성이 있다."라는 말은 경제학에서 기본 전제라고 한다.

예전에는 그저 공부용으로 봐왔기 때문에 대수롭지 않게 넘겼었는데 지금에서야 다시 보니, 이 무슨 웃기지도 않은 소리인가.

희소성이 있다라는 말은 양이 즉, 공급이 적고, 사용하고, 쓸려는 사람 즉, 수요가 많다라는 말이 아닌가,

인간의 마음에서 나오는 보이지는 않아도 사랑은 사람마다 달라, 양이나 질로 따질 수 없는 존재라고 생각한다.


p32 애덤스미스는 경제학의 근본적인 문제에 대한 절반의 답을 찾은 데 불과하다.

'보이지 않는 손','국부론'과 같은 경제학의 기초이자 출발점을 제시했고, 만들어냈지만 정작 근본적인 문제의 절반의 답만 찾아냈을뿐,

나머니 절반을 찾지도 못했고, 해결하지는 못했다.

그 나머지 절반은 바로, 그의 어머니이다. 정확히는 그의 어머니이자, 이 세상에 존재하는 여성들이다.

책의 제목으로 알 수 있듯이 핵심인 그가 저녁식사를 할 수 있었던것은, 개인의 이익을 위해 물건을 만들고 판 상인과 빵집 주인에게 있는것이 아니다.

그의 어머니가 매일 그를 위해 저녁을 준비하고 차렸다. 그 이유는 아마, 수고와 사랑, 고마움이었을것이다.

그는 그것을 알고는 있었지만, 왜 그런지 이유는 알지 못했다. 그것이 바로 그가 절반밖에 답을 찾아내지 못한 이유이다.


3장 차별을 합리화하는 경제학자들

​과거 경제학자들은 여성이 경제적 번영에 기여하지 않는다고 생각했다. 이 정의로 인해 여성들이 시간과 노동력을 들여 해주는 모든 일은 보이지 않았다.

이 부분을 읽는데 열불이 나고, 천불이 났다. 진짜 과거로 돌아가 멱살을 잡고싶을정도이다.

여성들이 얼마나 많은 경제적 번영뿐만 아니라, 정치적으로도 영향을 미칠 수있으며, 미치고있다.

그런데 지금도 여성들은 집안에만 있는 존재. 그저 집안일, 가사노동같은 돈이 되지않는 걸한다고 본다.

가사노동이 힘들다고 하면 그것이 뭐가 힘들며, 당연한거라고 생각한다.

거기에 엄마로써, 여성으로써 해야하는 일이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아직도 존재한다.

그러나 가사노동의 힘듦과 가정이 잘 돌아가도록 노력과 시간을 쓴 엄마아자, 여성들의 수고를 간과해서는 안된다고 생각한다.


이 책은 우리가 그동안 모르고 지나쳐왔던, 혹은 간과해왔던 경제학의 아버지 애덤스미스로 인해 시작된 경제학과 경제학자에 대해 시원한 일침을 날리는 책이다.

애덤스미스의 국부론과 보이지않는손따위 생각지 말고, 그의 저녁을 누가 차려줬는지에 대해 초점을 기울여야 한다.

우리의 식사를 누가 책임져주는가? 바로 어머니이시자, 여성이다.  물론 스스로 해먹을 수도 있다. 하지만 내가 지금까지 커오면서 누가 나의 식사를 차려주시고

책임을 져주셨으며, 가정이 잘 돌아가도록 해주신것은 오로지 어머니이시다.

그런데 애덤스미스는 정작 중요한 어머니를 잊고야 만다. 그로인해 지금까지도 여성들은 경제적 불평등, 성불평등 등과 같은 일을 겪고있다.

하지만 언제까지 이 일을 겪고 있을것인가, 해결을 해야하는데 어떻게 해야하는지 조차 몰랐다면 이제는 아니다.

페미니즘이 바로 그 해답이다. 페미니스트적인 관점을 가지고 경제학과 경제를 바라봐야하며, 그 어느 하나에도 영향을 끼치지 않는것이 없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