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늘
임재희 지음 / 나무옆의자 / 2017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비늘>이란 제목의 이 책을 제목만 봤을때 무슨 주제를 담고 있는지, 무엇을 말하고자 하는지 처음에는 감이 잡히지 않았다.

웬지 비늘이란 단어를 보면 물고기의 반짝이는 비늘이 생각났었다. 하지만 임재희작가는 책 속에 비늘이란게 무슨 뜻이며, 어떤 의미를 가지고 있고

왜 그렇게 지었는지 말해준다. 짧고 굵게 말하자면 책이 가지고 있는 의미가 무엇이며, 글을 쓰는 작가에게 글을 쓴다는게 즉, 소설을 쓴다는게 어떤 의미인지를

생각하게 만드는 책이다. 나는 '책' 자체를 좋아하기도하고 독서하는걸 좋아한다. 그러다보니, 나도 모르게 글이라는걸 한 번 써보고 싶다라는 마음이

조금씩 생기고 있었다. 하지만 처음이고 제대로 써본적도 없기에 초라하고, 빈틈이 많으며, 어찌해야할지 몰라서 아직도 쓰고 있지 못하고 있다.

어쩌면 완벽을 추구했던걸지도 모른다.그러다 만난 책이 바로 '비늘' 이 책이다.

이 책은 소설과 소설을 쓰는 삶과 시간에 대해, 소설을 쓰는 소설가의 진솔하면서 솔직하게 담아냈다.

책의 의미와 소설 쓰는 작가와 소설을 쓰는 과정을 그냥 우리는 쉽게 글을 읽기도하고, 제값을 주고 읽기도 한다.

하지만 읽다보면 나도 모르게 동화되어, 이 한 권의 책이 탄생하는데 얼마나 많은 시간과 수고가 걸리는지 알 수 있었다.

그 마음의 표현이 너무 절실하고 공감되면서 제대로 와닿았기 때문이다. 그래서 그런 나한테 <비늘>은 그저 단순히 읽고 넘어갈 수 없는 마음을 가지게 만들었다.

첫 페이지 시작부터 결혼사이의 남녀가 나온다. 여자가 주인공에게 말하는 문구가 너무 속이 상했다. 맞는말이지만 그래도 그렇지 않은 사람들이

더 많다라는걸 간과하고 말하는것 같다라는 기분을 느꼈다. "활자의 시대는 이미 끝났어. 갔다고." 책 값을 보면 휘둥그레지고 밥값을 보면 밥을 먹으라는건지,

말라는건지 헷갈릴정도로 물가가 치솟듯이 많이 치솟았다. 예전에는 사는 사람들이 정말 많았다. 그런데 몇년간 너무 오른 가격과 내려가지 않는 가격으로

인해, 사람들이 더이상 책을 살려고 하지 않는다. 거기에 인터넷의 발달과 IT의 발달이 종이에서 전자로 옮겨간 까닭도 있을꺼라 생각된다.

하지만 아직도 이렇게 내가 보고 있는 책도 그렇고, 활자의 시대는 끝나지 않았다라고 말하고 싶었다.

왜 저렇게 말했냐면, 여자는 남자에게 책을 팔아 반으로 나누자고 했다. 돈 때문에 그렇게 말할 사람이 아니라고 말하는걸봐서,

너무 많은 책들과, 갖고있어봤자 그다지 쓸모가 없다고 생각하는것 같다.

거기에 남자의 팔리지도 않는 소설에 지쳤고 먹고살기도 힘든데 무슨 책이며, 소설이냐라는 의미가 함축되어있는것 같다.


두번째부터는 '비늘'의 작가 한동수라는 인물에 대해 이야기를 시작한다. 신춘문예 당선기사에 뜬 당선자와 당선제목이다.

많은 사람들이 작가를 꿈꾸거나, 소설을 쓰는 사람들이 많이 지원하고 당선되기를 염원하는 신춘문예.

남자주인공은 한동수작가가 쓴 비늘을 읽으면서 질투심과 놀라움, 경이로움을 느끼며, 실제로 그 안에서 나온사람처럼 동화가 되며, 자신이 쓴 소설은

소설도아니라고 생각해버린다. 자신의 열심히 쓴 글은 탈락의 고배를 마시고 다른사람이 쓴 글은 당당히 그 이름이 오르는걸 보면 읽고싶어지게 되는것같다.

나와의 무엇이다르며, 왜 당선될 수밖에 없었는지를 눈으로 확인하고 나면 질투와 자괴감, 허탈감 그리고 그 글속에서 느껴지는 놀라움과 대단함 등.

그래서 남자주인공처럼 자신이 쓴 소설은 소설도아니라고 생각할지도 모르지만, 그건 사람마다 서로 다르기때문이라고 본다.

그러니 너무 자책하거나 포기하지 않았으면 하는 바램이 생긴다. 나도 시작은 못했지만 한 번 글을 써보고 싶다라는 마음이 생겼다.

맨 처음에 등장한 여자주인공의 이름은 영조. 영조는 책을 판 돈을 가지고 여행을 간다고 한다. 그 말을 들은 주인공은 처음에는 책을 판다는것에

마음이 미어지고, 꺼림칙하며 꺼려했는데, 그 말을 듣는 순간 책을 판다는게 나쁘거나 안 좋은 것이 아닌, 새롭게 다른 시작이 찾아온다는걸 깨닫는다.

책을 판 돈을 가지고 한동수를 만나러 갈 생각을 하면서 가슴이 두근거리기 시작한다.


읽으면서 소설은 이런것이고 소설가는 이렇게 생각해. 저렇게 생각하면서 글을 써.라고 단정적으로 말하지 않는 책이다.

비늘은 소설을 쓰는 삶은 어떠하며, 그 오랜시간동안 소설을 쓰는 작가의 고뇌와 깨달음, 힘듦을 느낄 수 있었다.

묵묵히 읽다보면 작가가 하고자 하는 말을 담은게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들정도로 작가의 삶이 투영된 기분을 많이 느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