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부호르몬 - 습관과 의지를 지배하는 호르몬을 알면 ‘공부의 길’이 보인다
박민수.박민근 지음 / 21세기북스 / 2018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공부를 잘한다는건 좋은 집안배경과 타고난 두뇌를 가진 사람들만의 무기이자, 장점이자, 특권인줄 알았다.

그런데 그런게 아니었다. 이 책을 읽으면서 그동안 나는 지금까지 살아오면서 숱하게 공부한 공부법들이

어디가 잘못되었고, 어디서부터 고쳐나가야하는지, 어떻게 해야 공부를 잘할 수 있는지, 그동안 왜 공부를 하기 싫었는지 등등.

다양하면서 여러가지를 배우고, 익히고, 알 수 있었으며, 그동안 몰랐던 사실들을 마주하고, 만나게 되었다.


사람의 몸에서는 호르몬이 생성되고, 나온다. 호르몬이라고 통틀어서 불리우는거지,

사실 각각 따져말하자면 정말 셀 수도 없이 많으며, 각자 하는 역할들도 다양하고 많다.


그런데 공부호르몬이라는것이 존재하며, 이 공부호르몬을 어떻게 다루고, 잠자고 있던 호르몬을 깨우느냐에 따라

지금까지와는 다른 의지와 습관이 생겨나는건 물론이고, 공부에 더이상 스트레스를 받거나, 좌절할 필요가 없어지게 된다.

물론 내 노력과 의지가 들어가는건 당연한것이고 말이다.


책에서는 공부호르몬 깨우기 1-3단계로 이루어져있으며, 각각의 단계에 맞춰 서로 다른듯, 연관된 내용들을 다룬다.

첫파트에서는 왜 내가 그동안 공부를 못했는지에 대한 자세하면서 팩트들을 알려주고, 말해준다.

이 부분을 읽으면서 자가테스트가 있어서 할 수 있으며, 내가 지금까지 공부해온 방식이나 방법들이 무엇이 잘못되었는지도

알 수 있으며, 저자가 말해주는 헛공부에 대해서도 좀 더 자세하게 알게 된다.


공부는 뇌로 하는건 맞다. 하지만 뇌로만 하는것인가라고 묻는다면 아니다.

그리고 아이큐가 높든, 낮든 상관없이 공부를 잘 할 수 있다라는 자신감과 용기와 긍정을 심어준다.

저자는 뇌, 몸, 마음 이 세가지가 서로 맞물려야하며, 세가지가 중요하다고 말한다.

이 말에 공감하고, 동의한다. 몸이 책상에 앉아있어도, 뇌가 똑똑하든, 워밍업이 되어있어도 마음이 안따라주면 잘 안된다.

톱니바퀴처럼 서로가 딱 맞물려야 돌아가듯이 어느 하나가 맞물리지 않으면 공부는 잘 안되거나, 쉽지가 않다.


공부호르몬 깨우기1단계에서 요즘 현대에 살아가는 모든이들에게 공감과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부분이 제일 먼저 나온다.

1단계의 주제는 뇌의 휴식을 주자이다. 우리의 뇌는 지쳐있다. 알게모르게말이다.

일을 많이해서, 공부를 많이해서가 아니다. 스마트폰과 컴퓨터를 너무 많이 해서이다.

솔직히 길을 걸으면서 주변 사람들을 보거나, 특히, 지하철을 타서 보면 사람들이 다 무엇을 하고있는가.

그렇다, 스마트폰에 눈을 고정한채 떠날줄을 모른다. 난 스마트폰을 잘 안할려고 하고있고, 잘 안하는 편이다.

그래서 주변을 잘 둘러보고, 사람을 보는게 좋다. 그러면 공부하는 사람들도 있고, 책을 읽는 사람들도 있어서 자극을 받을려고말이다.


스마트폰은 편리하고, 좋다. 무거운 노트북이나 컴퓨터를 가지고다닐 필요없이 실시간으로 바뀌는 상황이나, 날씨 등을 알 수 있고

친구나 동료, 애인하고의 연락도 주고받고. 정보의 홍수, 광대한 정보들로 넘쳐나는 세상 속에서

스마트폰을 통해 우리는 엄청나게 많은 정보들을 순식간에, 빠른 속도로 보고, 읽고, 만나게 된다.

그러면 좋은것 아니냐라고 묻는다면 본인에게 물어봐라.


결코아니다. 습득과 흡수를 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저자도 말하길, 자극적인 정보가 뇌에 엄청난 부담을 준다고 말한다.

사실 체감을 못할 뿐이지, 뇌는 방대한 정보와 자극적인 정보에 이리치이고, 저리치이고,

계속해서 받아들이다보니 과부하가 되어버리고 마는것이다.

그래서 뇌는 무력해지고 만다. 저자는 뇌를 쉴 수 있는 휴식 방법 10가지를 간략하면서 요약해서 알려준다.


우리 몸에서 나오는 호르몬인 도파민, 세로토닌과같은 공부호르몬이자, 사람의 행복하고, 기분좋게 만드는 호르몬이기도 하다.

이 호르몬들을 어떻게 하면 늘릴 수 있는지도 알려주며, 뇌를 어떻게 하면 효율적으로 사용하고, 좀 더 휴식을 줄 수 있는지도 적혀져있다.

자세하면서 꼼꼼한 설명과 어렵지 않게 풀어쓰고, 바로 이해할 수 있는 설명이 도움이 되고, 좋다.

뇌가 왜 지쳐있는지, 어떻게 해야 내가 뇌에게 휴식을 줄 수 있는지도 배울 수 있었고, 공부호르몬도 알게 되었다.


2단계에서는 우리가 잊고 살아오고있는, 어쩌면 상상도 못했던 앎과 배움의 즐거움을 되찾는법을 다룬다.

낮은 자존감을 높은 자존감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이라든가, 왜 공부가 잘 안되는지 이유에 대해서도 나오며,

현실적이면서 실현가능한 공부기술이나, 주제들이 나온다.


3단계는 공부체질을 만드는 몸편이다.

우리는 공부한다고 하면 자리에서 안 움직이거나, 최대한 동선을 짧게 하거나, 운동을 하지 않는다.

오히려 그게 독이 되고, 더 안 좋다라는 인식과 사실을 모른다.

공부가 아니라, 일을 하거나, 무엇을 하더라도 앉은 자리에서 몇 시간이고 한다면 어떻겠는가.

보이지 않는 몸은 비명을 지르고, 내 마음도 비명을 지르고 있을 것이다.

책에서는 운동의 중요성과 연령별 운동추천을 해준다. 왜 운동을 해야하는지에 대해서 이해가 되고, 납득이 갈것이다.


마지막은 실천편이다. 7주라는 시간동안 매일, 꾸준히 실천하고, 행동으로 옮길 수 있는 습관만들기편이라고 보면 된다.

1주, 2주 등등 이렇게 한 주씩 무엇을 해야하는지, 천천히 변화와 시작하는것을 다루고, 저자가 자세하게 가르쳐준다.

앞서 내용들을 천천히 다 읽어보고, 실천편을 따라해보는것이 좋다라고 생각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