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슬기로운 감정생활 - 일, 관계, 인생이 술술 풀리는 나쁜 감정 정리법
이동환 지음 / 비즈니스북스 / 2018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책에서는 감정, 스트레스, 호르몬, 습관, 마음을 다루고 있다.

근본적으로 다루는건 감정이라고 볼 수 있다.

감정에는 플러스인 긍정적인 감정도 있고, 마이너스인 부정적인 감정도 있다.

이 책을 통해 난 스트레스에 가지고 있던 고정관념이자 편견을 버릴 수 있게 되었고, 고칠 수 있게 되었다.

스트레스하면 나에게 안 좋은 호르몬을 분출하고,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생각을 가지고 살아왔었다.

그래서 스트레스를 안 받을려고 나름의 노력을 해왔었는데 지금 생각해보면 오히려 안 받을려고 했던게

더 큰 스트레스로 나에게 다가왔다는걸 알게 되었다.


스트레스를 받는 상황은 항상 존재하는것 같다.

그래서 우리는 뭐든 짜증, 불안, 분노, 화, 우울 등등 이러한 감정들이 들거나, 만드는 상황에서

쉽게 스트레스를 받는다고 표현한다. 그런데 저자는 스트레스는 억울하며 진짜 범인은 나쁜 감정이라고 말한다.

이건 생각지도 못했었다. 왜 우리는 스트레스를 나쁘고, 안 좋게 생각해왔던건지에 대한 실제 사례를 들면서 알려준다.

곰곰히 생각해보면 스트레스를 받았던 순간 훅하고 치솟았던건 바로 나쁜 감정이었다.

스트레스에 치중하거나, 신경쓰기보다는 바로 내가 가지고 있는 평생 가지고 갈 감정에 신경을 써야겠다라는 생각이 들었다.


우리 몸 속에는 다양한 호르몬이 존재하고 나온다.

똑같은 환경과 상황 속에서도 예를 들면 스트레스를 받으면 음식이나 단게 땡기는 사람, 입맛이 없어지는 사람 등.

서로 다른 태도나, 감정, 행동을 보일 수 있다. 유전적인 영향으로 나오는 호르몬의 양이 영향을 미치기도 하지만,

내 뇌 속에서 나오는 호르몬의 반응으로 인해 달라지는것이기도 하다.

무슨 호르몬이 나오며, 왜 이러한 작용을 하는지 왜 다른지에 대한 자세한 설명을 해준다.


두려움, 걱정, 불안, 초조, 분노 이런 나쁜 감정들은 함께 확하고 일어난다고 생각했었고, 그런 줄 알았다.

그런데 이 책을 통해 그렇지 않다라는걸 알게 되었다.

불안은 걱정의 형이라고 한다. 걱정이 심해지면 불안이 나타나고, 그게 더 심해지면 공황장애가 일어나게 된다.

뭐든지 처음이나, 시작을 할때 무슨 일이 생기면 두려움이란 감정이 고개를 든다.

그게 조금 심해지면 걱정이 나오기 시작한다. 그런데 걱정에서부터 내가 어떻게 대응하고, 대처하느냐에 따라

전혀 다른 방향으로 갈 수 있게 된다. 걱정이란 감정에서부터 어쩌면 핵심 포인트이자, 길이 아닌가 싶다.

걱정이 저자도 마음의 통증이자, 위험을 알려주는 신호라고 말한다.

내가 헤어나오지 못하고 허우적대면서 더 깊게 빠져들게 되면 형인 불안이 나오게 되는것이고,

객관적으로 바라보고, 어떻게 헤쳐나갈지를 생각하고, 계획을 세우고 빠져나올려고하면 진짜 빠져나올 수 있게 되는것이다.

이 부분을 통해 내가 괜한 걱정에 시달렸고, 걱정에 걱정을 하며 살았구나를 깨닫게 되었다.

그리고 걱정이라는게 나를 살리는 경고등같은거라는것도 알 수 있었고, 걱정을 무시하거나, 회피하지 말아야겠다고 다짐했다.


어린시절의 상처는 어른이 되서도, 나이가 많아져도 남아있다고, 생각이 난다고 가지고 있다고들 말한다.

이 상처는 보여지는 겉 상처가 아니라, 보이지 않은 마음의 상처를 말한다.

아마 어린시절의 마음의 상처를 가지고 있지 않은 사람은 별로 없을것이다. 만약 없다면 정말 다행이자, 행복한거라고 말해주고 싶다.

왜 시간이 많이 흘렀고, 나도 머리가 커진 어른이 되었는데도 어린시절에 받은 상처에서는 벗어나거나, 없어지지 않는지 궁금했었다.

읽으면서 알게 되었다. 바로 잠재의식 속에 스며들어있기 때문이었다.

이제 그만 떨쳐버리고 싶다면 잠재의식에 돌을 던지든, 첨벙거리든, 손을 헤집든 해야 한다는것이다.

잠재의식에는 상처들이 고스란히 잠겨져있다. 그 상처들을 하나씩 꺼내고, 생각해보면서 안아주고, 이야기를 해줘야 한다.

이게 바로 잠재의식을 치유하는 방법이라고 말한다.


책에서는 다양한 호르몬이 가지고 있는 역할이나, 다양성, 그리고 우리 몸과 마음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려주고 담겨져있다.

또한, 남의 시선을 걱정하거나, 의식할 필요가 없다는것도 말해준다.

SNS의 발달로 인해 우리는 남의 이목이나 생각, 시선을 신경쓰고, 괜시리 걱정하고 고민한다.

그런데 그럴 필요가 없다. 괜한 헛수고이다. 왜냐하면 남들은 별로 나를 신경쓰거나 이상하게 바라보거나 하지 않는다는것이다.

예전에 한 교육방송에서 실험을 한 적이 있는데 기억이 난다.

튀는 행동을 하거나, 튀는 상의 옷을 입은 여성과 남성을 각각 따로 투입해서 남들의 이목이 집중되는지, 나를 신경쓰고

기억을 해주는지에 관한 실험이었다. 그런데 놀랍게도, 결과는 실험자와 우리가 가지고 있는 생각도 정반대로 나왔다.

그렇다 저자의 말처럼 그 사람들 중에 기억하는 사람은 딱 한 명이었고, 나머지는 분명 쳐다 봤는데도 다 기억을 못했다.

이 실험과 책 속의 내용들 통해 내가 나라는 사람에게 집중하고, 나의 감정과 생각에 관심을 가져야겠다라는 생각과

남들은 별로 나를 신경쓰지 않는구나를 느끼고 알게 되었다.

 

그동안 몰랐던 그리고 중요하게 생각하지 않았던 나의 감정에 대해서도 알게 되었고,

왜 이런 나쁜 감정들이 툭하면 나왔는지, 왜 회피하거나 숨길려고만 했었는지도 배우게 되었다.

나라는 사람의 숨겨진 감정을 들어다보고, 깨닫는 시간이 되었고, 더 나아가 가지고 있던 부정적인 생각이나 습관을

고쳐나가 볼 생각이다. 이 책은 자극도 주면서 답답하고 궁금했던 내 감정을 솔직하게 알 수 있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