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콩깍지는 세상을 보는 우리 자신의 시선을 자유롭게 바꿀 수 있는 혁신이야. 남들에게 애써 나를 맞출 필요가 없어. 우린 그냥 자신의 필터로 세상을 보면 돼.""콩깍지로 보는 게 세상의 전부가 아니잖아..? 오빠가 콩깍지 그만 이용하고 날 봐 줬으면 좋겠어." - P272
민담형 인간을 말할 때 빼놓을 수 없는 캐릭터가 트릭스터다. 제 욕망을 이루기 위해 수단에 개의치 않고 거침없이 움직이는 행동파 인물이곧 트릭스터다. 신화의 특징적 캐릭터가 ‘영웅‘이고 소설의 두드러진캐릭터가 ‘문제적 개인’이라면 민담을 대변하는 캐릭터는 바로 트릭스터라 할 수 있다. - P100
케미컬 엑스의 정체는 틀림없이 죄책감일 것이다. 지방과 설탕과 밀가루에 탐닉하면서도 결코 떨칠 수 없는 그것. 목구멍에서 꺼끌거리는죄책감마저 나는 꾸역꾸역 삼킨다. 왜냐하면 현대인에게는 <마더구스>의 시대보다 초능력이 절실하니까. - P164
펭수는일단 스토리부터가 허황하다. 남극 펭이라는 세상에 없는 말, 남극에서 비행기를 타고 스위스까지 가서 요들송을 배우고 스위스에서 인천앞바다까지 헤엄쳐왔다는 황당무계함, 크기도 생김새도 턱없이 다른펭귄들을 같은 종족이라고 우기는 억지춘향, 기타 등등. 이러한 허황한 서사는 구김 없는 상상적 자유와 일탈을 특징으로 하는 민담의 스토리 코드와 딱 맞아떨어진다. 그것이 전해주는 것은? 물론 미적인 쾌감과 심리적 해방감이다. - P37
"네, 맞습니다. 잘 보십시오. 마음에 드는 아기 동물‘이 아니라 ‘마음에 들어 하는 아기 동물’이라고 쓰여 있지 않습니까? 너구리가 댁들을 마음에 들어 하지 않으면 보내 드릴 수가 없어요." - P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