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생존자 - 죽음의 수용소에서의 삶의 해부
테렌스 데 프레 지음, 차미례 옮김 / 서해문집 / 2010년 5월
평점 :
절판
아우슈비츠 수용소나 소련의 강제 노동소 굴락 등 인간이 만들어 논 생지옥을 살아서 돌아 온 사람들을 분석한 책이다.
난 항상 왜 이런 책에만 관심을 쏟을까란 의문을 품은 적이 있다. 도대체 어째서 왜? 내가 수용소에 갇혔던가? 아니면 하다 못해 경찰서 유치장이라도 갇혔던가? 그것도 아니라면 난 왜 이런 책들에게 애정을 품고 읽고 또 읽는 것일까? 아무리 고심을 해도 답을 찾기가 너무나 어렵다.
19살이란 나이에 실업계 고등학교를 졸업하며 말도 안 되는 IMF라는 직격탄 덕분에 취업도 되지 않고 미리 노숙자의 인생도 걸었고, 20살, 21살의 시절을 전철을 타고 대학을 간다는 말도 안 되는 시골 청년의 이상을 품고 재수, 삼수를 했었다. 그런 삶 속에서 처절하게 느낀 것은 뭔가에 갇혀서 산다는 느낌이었다.
그러던 중 만난 책들이 서경식의 프리모 레비에 대한 책들이었다. 공고라는 하나의 작은 수용소를 벗어나 더 큰 사회라는 수용소로 들어와 있다는 사실을 자각한 나에게 생존자들의 문학은 더할 나위 없는 큰 위안을 주는 책들이었다.
이 책을 읽으며 내가 왜 수용소 문학에 집착하는지에 대해 드디어 알아냈다!
수용소에서 살아 남은 사람들의 과제 그것은 '살아서 증언한다'였다. 인간이 만들어 놓은 정말 상상도 하기 힘든 처참한 지옥에서 살아 남은 사람들의 힘은 바로 이 말도 안 되는 것들을 두 눈 똑똑히 보고 반드시 기억해 그것을 증언해야 한다는 사명감이었다. 그것이 곧 자신들이 살아야 할 삶의 목적이기도 했다.
그렇다. 살아 남아서 증언하는 것이다. 나 역시 지금의 삶들에 대해 그 누구도 관심을 가져 주지 않고 혹은 내가 살아 있는 것에 대해 아무도 모를지라도 살아 남는 것이다. 그래서 증언하는 것이다.
하지만 생존자들의 모든 증언을 거부하는 거침 없는 무리들에 대해 생존자들은 실망하고 또 어떤 사람은 자살을 선택하기도 했다. 타인에 대한 이해, 타인에 대한 생각 그런 모든 것들을 거부하는 인간들에 대해 그들에게 이해하게 만들고 싶다. 그들에게 말하고 싶다는 것이 생존자들의 공통점 이었다.
생존자들의 체험기가 항상 나에게는 힘이 된다. 그 지옥을 어떻게 살아나왔는지에 대해 읽다 보면 지금 공장에서 일하는 것들이 모두 우습게 여겨진다. 그리고 나약하다고 생각된다. 조금만 힘들어도 지치고 삶에 맥이 빠지는 나에게 생존자들은 외치고 있다. 살아 남아라! 하고 말이다.
수용소 문학에 관심을 가지고 그리고 그들이 왜 살아 남았는가에 대해 궁금하다면 정말 적극적으로 읽어야 한다. 그리고 자신의 삶이 보잘 것 없고 죽어야 한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에게도 읽게 하고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