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사여서 다행이다 - X세대 교감의 MZ세대 바라보기
이창수 지음 / 에듀니티 / 2021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나라 공교육에 몸담은 교원은 대략 44만 명이며, 이들은 평교사와 흔히 관리자로 불리는 교감, 교장으로 구성된다. 여느 직장과 마찬가지로 다양한 연령대의 구성원들이 부대끼며 살아가는데, 업무상 따르는 책임과 권한이 비교적 명확하고 다양한 직급을 가진 기업과는 생태가 조금 다르다. 기본적으로 학교는 아이들을 키워내는 곳이고, 경쟁보다는 협업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불분명한 경계를 지닌 조직인만큼 대화와 협동이 더욱 간절한데, 현실적으로 필요를 충족하기 쉽지 않다. 교감(校監)은 한 교육기관의 관리자로서 교직원 및 학부모들과의 관계 또한 잘 조율해야 하니 어깨가 무겁고 업무량 부담이 크지 않을 수 없다. 담임교사가 자기 학급의 학생들을 잘 보살펴야 하듯, 교감은 평교사들을 잘 아울러야 한다. 담임들의 담임인 셈이다.

 

독일의 철학자 하이데거가 언어는 존재의 집이라고 했듯이 우리가 쓰는 말이 곧 그 사람의 존재를 결정짓는다. (중략) 모든 이를 아울러야 하는 교감에게 말하는 방식, 언어 감수성은 특히 신경 쓰이는 문제다. (149)


이 책은 저자 이창수 교감님이 그의 어려운 형편의 어린 시절부터 교사의 길을 걷게 된 계기와 초등학교 교감이 된 이후의 희로애락 일상을 소재로 삼아 쓴, 사람 냄새가 물씬 풍기는 자전적 수필집이다. 제목처럼 그는 아이들을 좋아하는 천생 교사이고, 그가 모든 일에 감사하는 삶의 자세는 교사여서 다행이라는 말로 압축된다. 책 읽기를 너무 좋아한 나머지 그의 별명은 책에 미친 교감을 뜻하는 독감이다. 이 책은 수필집이면서도 교사로서 처할 수 있는 상황에 걸맞은 책 열아홉 권을 선정하여 추천하고 있다. 물론 그가 읽은 서평 또한 포함되어 있으며 책에 미친 교감답게 책을 통해 교감(交感)하고자 한다.


비단 책뿐만이 아니다. 30년 전 시골 초등학교 담임일 때 가정을 방문하고, 방과 후 집에 가 봐야 아무도 없는 아이들을 위해 돌봄을 실천하고, 무모하게 동네 교회의 봉고차를 빌려 현장학습을 다녔던 그가 교감이 되어서는 행정실과 교무실로 직접 내린 커피를 배달하고, 용무가 있어 자리로 찾아오는 사람에게는 벌떡 일어나 환대해준다. 교사에게 주어진 권위에 합당한 삶을 살라는 기대에 어쩌면 이렇게 충실할 수 있을까? 그런데도 그는 외부적 조건을 따지지 않고 그저 교사로 불러주는 것만으로도 감사한다. 교사가 아니면 들을 수 없는 호칭이고, 교사여서 다행이라면서.

 

세상 변화를 따라가려면 느긋할 틈이 없다. 부지런히 읽고 쓰는 수밖에 없다. 그렇게 노력해가며 부족함을 만회할 기회가 남아있다는 게 감사하다. 교사여서 다행이다. (187)


교감 자신은 X세대인데 교사들은 MZ 세대(속칭 민지)로 연령 차이가 크다. 연장자로부터의 일방적인 가르침이 주도적인 시대는 이미 지났다. 지금은 학부모, 교사, 학생 그리고 젊은 세대와 교감하려면 자신부터 바꾸고 그들에게 맞춰야 하는 시대이며, 고장 난 컴퓨터처럼 예전에 입력된 내용만 반복해서는 예측불허의 미래에 대비할 수 없음을 그는 잘 알고 있다.


불편한 과정을 회피한 채 서둘러 절충안을 찾고 합의하려는 강요된 화해는 안 된다. 우리가 무언가에 대한 공통의 합의에 이르기 위해선 더 가차 없이 나의 옳음의 근거를 확보하고 상대방의 틀림을 논박하는 논의 과정을 받아들여야 한다. (189)

 

추측건대 시대의 흐름을 읽고 맞추어가는 힘은 독서에서 왔을 것이다. 책을 좀 읽는다고 하루아침에 어떻게 되지는 않지만, 자신을 꾸준히 변화시키는 힘의 원천인 것은 분명하다. 책 권하는 사람이야말로 자신과 주변을 변화시키며 함께 이끌어 갈 힘을 지닌 사람이다. 차 한잔 마시며 담소를 나누어도 한 시간은 금방이다. 평교사로서 함께 일해보았으면 싶은 진솔한 교감님과 함께하는 즐거운 대화에 여러분을 초대하고 싶다.


#교단수필 #교사여서다행이다 #에듀니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