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세기와 전혀 다른 21세기를 살아가는 우리는 대혼돈의 시대를 겪고있습니다. 예를 들어 인공지능 AI는 과학기술의 발달로 이룬 성과이면서도 인간과 AI가 어떻게 공존해나가야 하는가라는, 이전시대에는 경험해 보지 못한 새로운 문제를 던져주기도 합니다. 디지털 생태계와 급변하는 기후위기에 대응 등 20세기의 산업문명에서 21세기 디지털문명으로의 대전환의 시기에 대한민국이 마주한 새로운 충격들에 대해 저자는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코로나 19와 개인주의 문화의 관계를 설명한 챕터가 인상적이였습니다. 서유럽 국가가 감염병을 통제하지 못한 이유는 '문화실패'에서 비롯되었다고 합니다. 기계론과 합리성의 세계관에 기초해 '개인의 존엄'을 최고의 가치로 삼는 서구 산업사회는 코로나가 닥치자 개인의 이기주의와 자국중심주의 세계관을 바탕으로 둔 정부의 대응으로 인해 혼란과 수많은 목숨을 잃었습니다. 발달한 서구의 강대국들이 코로나가 만연한 가운데에서도 파티를 하고, 사제기로 슈퍼가 텅텅비고, 확진자가 서핑을 하다가 잡혀가는 모습등을 보며 놀라웠었는데 이 모든것이 문화실패로 이해가 되었습니다. 이와달리 집단주의 문화를 가진 나라들의 감염병 대응도 설명되어 있습니다. 한국음 '눈치 문화', 일본은 '수치 문화', 중국은 '무치 문화'라고 합니다. 코로나에 걸린것을 수치로 여겨 숨기는 일본과 코로나 발병원인 규명을 나몰라라하는 무시와 통제의 중국의 이야기도 흥미로웠습니다. 문명의 대전환 시기에 서있는 지금이 혼란스럽기도 하지만 대한민국은 잘 이겨내리라는 생각을 하며 책을 읽었고, 경제학과 인문학적 통찰이 돗보이는 책이였습니다.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작성한 리뷰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