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두 다 문화야 - 다르기에 아름다운 공존의 첫걸음, 다문화 비행청소년 16
최영민 지음, 신병근 그림 / 풀빛 / 2018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역사 교과서를 보면 꼭 빠지지 않는 단어가 있습니다. 그건 단군,고조선, 한민족, 단일민족입니다. 단일민족은 순혈주의와 맥을 같이하며, 한민족의 우수성과 위대함을 역사 교과서 반복적으로 말했습니다. 하지만 그것은 잘못된 역사관을 심어줄 수 있고, 주변의 외국인 가정에 대해 차별과 배척을 할 수 있는 또다른 사회적 갈등을 만들 수 있습니다. 미디어는 이런 갈등과 배척을 부채질 하고 있으며, 다문화 과정은 사회적 문제가 생길 때마다 조심 하고, 한국인들이 보여주는 정서에 대해 감내하고 살아갑니다. 여기서 내가 하면 로맨스, 남이 하면 불륜이라는 공식이 생길 수 있고, 다문화 가정과 이웃으로 더불어 살아갈 수 있는 과정을 모색해야 할 때입니다.


이 책을 읽으면 우리 사회의 이중적인 모습의 원인이 어디에 있는지 알 수 있습니다. 백인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를 보여주는 반면에 동남아시아, 이슬람, 조선족, 흑인에 대한 부정적인 모습을 가지고 있으며, 제가 자주 보고 있는 다문화 가정의 삶을 보여주는 '이웃집 찰스' 또한 여기서 자유롭지 못하고 있습니다. 이웃에 키가 큰 백인 남자가 사고 있으면, 주변 이웃들은 그걸 자랑스럽게 생각하고, 가까이 접근하려 하는 모습을 보여주며, 동남아시아, 조선족, 새터민에 대해서는 차가운 냉대를 고스란히 비추고 있습니다. 그들은 취직을 하고 , 일을 하고 싶지만 서류 심사나 면접조차 기회가 주어지지 않고, 가난한 삶에서 벗어날 수 있는 기회조차 얻지 못합니다.



공교롭게도 우리는 그들에게 주어지는 사회적 특혜에 대해서 부정적인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가난한 삶을 살아가지만, 주변 이웃들은 그들이 누리고 있는 혜택을 곱게 보지 않습니다. 대한민국이 일자리 부족으로 동남아시아 사람들을 채용하고, 베트남 여성과 결혼하면서 다문화 가정이 늘어나고 있는 반면에 다문화 가정에 대한 인식은 여전히 제자리 걸음이며, 암묵적인 멸시와 차별을 감내하면서 살아가고 있습니다. 경계하고, 무시하고, 때로는 한국말이 서툴다는 이유로  가까이 하지 않는 우리들의 자화상, 이런 모습들은 점차 달라져야 하며, 다문화 가정을 위한 정책 이전에 그들을 바라보는 우리들의 생각과 가치관이 우선 달라져야 합니다.


책에는 <차별과 배제>,<동화주의>,<다문화주의>라는 개념을 통해 다문화를 분석하고 있으며, 우리는 그들에게 한국인이 쓰는 보편적인 것들을 강요합니다. 한국인이 즐겨 먹는 것, 문화, 언어들을 그들에게 쓰도록 강요하고 있으며, 부산 사투리를 잘 쓰는 하일과 구수한 남도 사투리를 썻던 미즈노 교수에게 우호적인 반응을 보여줬던 것은 우리 사회 뿌리 깊이 남아있는 <동화주의>에 있습니다. 


이 책을 읽으면서 한반도 통일에 대해서 생각해 보았습니다. 남한과 북한이 분리되면서 70년간 우리는 서로 다른 양식과 삶을 추구하게 됩니다. 같은 언어를 쓰고 있지만 문화가 다르고 생활양식이 다르면서 이질적인 요소를 가지고 있는 두 나라는 통일 이후 함께 섞이면서 살아가야 합니다. 통일은 우리가 꿈꾸는 것이지만, 서로 섞이면서 살아가는 것에 대한 준비가 여전히 미흡합니다. 통일 독일이 되면서 사회적 갈등이 반복되는 이유도 여기에 있으며, 그들의 모습은 우리 스스로에게 또다른 교훈을 얻게 됩니다.물론 이것은 미래에 일어날 일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