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고수의 질문법 - 최고들은 무엇을 묻는가
한근태 지음 / 미래의창 / 2018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질문은 생각에서 시작된다. 생각하지 않으면 질문하지 않는다. 생각이 많은 사람은 질문을 할 수 있는 주춧돌을 쌓고 살아간다. 항상 내 앞에 놓여진 것들에 관심가지게 되고, 내 주변 사물들을 유심히 관찰하고 있다. 때로는 내가 스스로에게 질문하고 , 그것을 마음속에 품고 살아간다. 질문은 질문하는 당사자의 의도가 있고, 그것은 질문으로 이어질 수 있다. 깊이 있는 질문은 그냥 나타나지 않고, 항상 중첩된 질문 속에서 잉태한다. 이 책에서 저자는 왜 우리는 질문을 하고, 질문을 하면 무엇을 얻을 수 있는지에 대해서 설명한다. 보편적으로 우리는 일상 속에서 단순한 질문을 반복하면서 살아간다. 하지만 강연을 하는 사람, 지적이 사유를 하는 사람들, 기자와 리더들을질문이 그들의 업이며, 질문은 새로운 성과로 이어질 수 있다. 질문을 통해 깨달음을 얻을 수 있고, 질문하면, 스스로의 부족함을 알게 된다.대한민국 사람들이 많은 사람들 앞에서 질문하기를 꺼려 하는 이유는 두가지이다. 내가 어떤 대상과 주제에 대해서 절 알고 있거나, 전혀 모르고 있거나 였다. 모르고 있지만 알려고 노력하는 사람은 반드시 질문을 하고, 그 안에서 자신이 원하는 걸 얻으려고 한다.
알아야 질문을 한다. 알아야 제대로 질문을 할 수 있다. 그런데 안다는 것이 뭘까? 안다는 것과 익숙한 것을 구분해야 한다. 사람들은 익숙한 것, 오래 일한 것, 많이 주워들은 걸 안다고 착각한다. 그 동네에 오래 산다고 그 동네 전문가가 되는 건 아니다. 내가 생각하는 아는 것이란 전문성을 넘어 통찰력의 단계까지 진화한 것을 뜻한다. 업의 본질은 물론 자신이 속한 사회 전반에 대한 폭 넓은 이해가 있어야 한다. 자기 분야만 잘 아는 것이 아니라 세상을 보는 관점, 역사적 지식, 인간에 대한 깊은 이해를 갖춘 것을 뜻한다. (P150)
앎은 질문과 연결된다. 관심은 질문과 연결될 수 있다. 어떤 대상에 대해서 관심을 가지고 있다면, 알고 싶은 욕구가 늘어나고 확장된다. 그것은 책을 통해서 앎을 채워 나가고, 그 안에서 부족한 것을 질문과 연결한다. 질문은 내가 알고 싶은 것을 채워 주는 것 뿐 아니라 하나의 질문이 새로운 질문으로 연결될 수 있는 네트워크가 될 수 있다. 하나의 질문이 새로운 질문으로 이어지고, 질문이 연속되면 우리는 새로운 깨달음을 얻을 수 있다. 책을 읽고 사유한다는 것은 질문한다는 것과 통한다. 책을 쓴 저자의 의도를 알기 위해선 저자에게 질문해야 하고, 그 질문을 간직하고 있어야 한다. 내가 간직하고 있는 질문이 어느 순간 갑자기 튀어 나올때가 있다. 그것은 나 스스로 큰 선택과 결과로 이어질 수 있고,새로운 동기부여가 만들어진다. 알지 못한다면, 일려고 노력하지 않는다면 우리는 질문하지 않는다.
둘째, 현재에 관한 질문이다. 목표를 알고 있다면, 그 다음으로 현재 자신은 목표에 비추어 어느 정도 수준에 도달해 있는지를 물어야 한다. 목표는 100인데 현재의 나는 10 정도 밖에 되지 않는다면 어떨까? 실현가능성이 별로 없으니 당연히 힘이 나지 않을 것이다. 목표가 나를 움직이는 게 아니라 목표와 내가 따로 움직일 가능성이 높다. 이래서는 안 된다. 목표보다 더 중요한 것은 현재의 자신을 객관적으로 냉정하게 볼 수 있는 눈이다. (P175)
책에 나오는 질문의 목적 네가지 중 두번째이다. 사람들은 각자 목표가 있고, 그 목표를 달성하고자 한다. 오래전 마라톤 완주했을 때 나는 내가 목표한 코스를 완주할 수 있을까, 스스로에게 질문했다. 하프코스를 완주하기 위해서 15KM 를 달렸고, 풀코스를 뛰기 위해서 나는 26KM 를 달렸다. 울트라 마라톤 완주를 위해서 나는 70KM 를 달렸다. 이렇게 행동할 수 있었던 이유는 나는 목표가 분명했고, 그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 스스로에게 질문을 반복했다. 완주할 목표가 100인데 내가 10밖에 되지 않는다면 그것은 달성하는게 쉽지 않다. 하지만 내 주변 사람들은 자신이 10인지 깨닫지 못하고, 100을 생각하고 질문하는 경우가 있다. 그들은 10을 가지고 잇으면서, 기적을 통해서 운을 통해서 100을 얻으려 한다., 그것은 못된 심보이고,잘못된 요행이다. 나는 질문을 통해 나 자신을 체크하였고,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 무엇이 필요한지 체크해 나갔다. 물론 저자처럼 나 자신을 객관적으로 냉정하게 보는 눈은 그 당시에 없었다. 그냥 이정도 연습량이면 되겠지, 하다가 안 되면 부족한 걸 다시 채우고 ,한번 더 도전하고 채워 나간다는 생각으로 목표를 설정했고, 그 목표를 달성해왔다. 돌이켜 보면 나 스스로 그 당시 질문에 대한 책을 읽어 본 적 없었지만, 왜 질문해야 하는지 알고 었었고, 질문은 목표 달성을 위한 동기부여라는 저자의 말에 공감하게 된다. 즉 사람마다 자신이 꿈꾸던 목표가 있다면, 자신이 무언가를 하고 싶은 꿈이 있다면, 그에 걸맞는 역량과 함께 스스로 질문하는 힘도 함께 가지고 있어야 한다. 그래야만 그 목표를 달성허는 과정에서 크게 흔들리지 않고,지치지 않고, 앞으로 나아갈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