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슈퍼맨인 척 말고 함께 비 맞는 아빠가 돼라 - 아빠, 엄마, 아들, 딸이 행복해지는 부자유친 소통법
조병옥 지음 / 더로드 / 2017년 12월
평점 :
딸과 엄마 관계는 자매처럼 친밀한 경우가 많다. 그러면 아들과 아빠 관계는 형제처럼 될 수 없을까, 상상 아빠와 아들 관계는 삐걱 거리고, 아슬아슬한 관계를 만드는 이유는 무얼까, 그 원인이 무엇인지 이 책에 나오고 있다. 저자는 국내에서 학교를 마치고 미국UCLA 포스트닥 후 삼성전자에 수석연구원이며, 아들은 저자의 가치관에 따라 성장하게 된다. 아버지와 아들 사이에 보여지는 어색함과 답답함 대신에 친밀함을 드러내고 즐거운 관꼐를 형성하려고 노력해 왔다. 하지만 서로 노력한다고 해서 부자 관계가 언제나 부자유친 관꼐는 아닌 경우도 있다. 때로는 아버지로서 모범적인 삶을 추구하고 살아가며, 함께 게임을 즐기는 가까운 사이였다. 스킨십도 많은 아버지의 모습이지만, 때로는 엄격한 아버지로서의 모습도 보여줄 때가 있다. 저자는 그걸 아버지와 아들 사이의 독특한 형태의 균형이며, 당근과 채찍을 적절하게 활용할 수 있어야 부자유친 관계가 지속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아들이 원하는 게 타당할 때 망설이지 않고 들어준다면 아들은 아빠에게 신뢰를 보여주고 존경하게 된다.
아버지와 아들 간의 벽을 허물고 싶다면 행동으로 보여주면 된다. 소통과 이해도 중요하지만 남자들은 대체로 댜화가 쉽지 않고, 표현이 서툴다. 하지만 서로 같은 취미와 특기를 공유한다면 , 서로 마음을 열수 있다. 남자들만이 가지고 있는 승부욕과 경쟁심을 표현하고, 아버지의 권위를 잠시 내려 놓고 , 자신이 실수한 적이 있다면, 아버지는 아들에게 사과를 할 수 있어야 한다. 아버지가 잘못한 게 있다면, 아버지가 먼저 아들에게 숙이면 된다. 그러면, 아들도 자연스럽게 아버지에게 숙이고 배려하고 존중할 수 있는 방법을 터득하게 된다. 여기서 보편적인 아버지들의 문제가 어디에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자존심 때문에 아들에게 미안하다 말하지 못하고, 친밀한 관계를 만들고 싶어서 다가가지만 아들은 아빠를 멀리하고 삐걱거린다.. 그것은 서로간에 섭섭함으로 이어지게 되고, 냉소적인 관계를 반복하게 된다.
어릴 적부터 약속을 지키는 것, 저자는 아들과 친밀함을 유지하기 위해서 둘 사이에 약속을 지켜 나갔다. 아들이 원하는 걸 들어주는 대신에 아뻐로서 아들에게 원하는 걸 요구할 수 있다. 이런 관계는 서로간에 암묵적인 계약관계이며, 약속을 어길 때 생기는 불이익을 감수하는 것이다. 원리 원칙에 따라 행동화되 상황에 따라 유연하게 대처한다면, 아들은 아빠에게 신뢰를 보이고 함께 손잡고 걸어갈 수 있는 관계를 만들 수 있다. 평소에 아들에게 원했던 것을 아들의 요구를 들어주면서 , 아버지는 자신이 원하는 걸 아들에게 요구할 수 있다. 수직적이면서 상하관계를 형성하지 않는 것, 특별하면서도 특별하지 않은 부자간의 친밀한 관계는 서로간에 존재하는 벽을 허물면서 형성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