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골목길 자본론 - 사람과 돈이 모이는 도시는 어떻게 디자인되는가
모종린 지음 / 다산3.0 / 2017년 11월
평점 :
동사무소가 이전하고 그 자리에 새로운 건물이 생겼다. 시청의 도시기획과에서 시행하는 '도시 재생 정책'을 위한 건물이라 하는데, 그들이 하는 도시 정책의 주된 목적은 원도심 공동화를 막기 위한 정책 추진이다. 여기서 말하는 도시재생 정책은 이 책에 등장하는 '골목상권'과 일치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우리가 생각하는 골목에 대한 추억과 분위기,멋를 다시 살라자는 것이다. 우리가 추구했던 물질주의에서 벗어난 탈물질주의를 추구하는 것이며, 편리함과 친환경을 함께 추구하려는 노력의 일부분이다.
이 책의 대부분은 '골목 상권'에 대해서 많은 부분을 할애하고 있다. 대다수 서울을 중심으로 홍대, 이태원, 신촌,연희동의 골목상권을 언급하고 있으며, 20년전 이대 근처의 골목상권이 동네상권으로 변질된 이유를 분석하고 있다. 골목상권이 동네상권으로 바뀐 이유는 홍대의 골목 상권이 생겨나면서 상대적으로 이대 골목 상권의 경쟁력을 잃어버린 직후이다. 골목 상권을 형성하기 위해선 사람들이 모여야 하며, 소상공인들이 골목 상권을 주도해야 한다. 여기서 임대료를 올리는 건물주의 행태를 규제해야 한다는 사실은 바뀌지 않는다. 골목 상권을 형성하고 싶어도, 정부의 청년 창업 지원 정책이 있어도, 건물주의 임대료를 올리는 노력이 지속된다면 만들어지기는 현실적으로 쉽지 않다. 사람이 모이지 않고 자영업자들의 삶이 보장되지 않는다면 골목상권이 가지는 취지가 무색해지기 때문이다. 책에서 언급하는 장인 정신이 해체되는 그 원인이 무엇인지 사회적 고민이 선행되어야 한다.
책에는 골목 상권에 대해서 서울과 싱가포르, 중국에 대해 나오고 있어서 많은 부분이 공감 가지 않았다. 파주 헤이리, 남해 독일 마을,대전 성심당의 경우는 골목 상권을 형성한다면 어떻게 해야 하는지 지역민으로서 어느정도 공감이 갔다. 내가 사는 곳에도 대전 성심당과 같이 지역 거점 상권이 형성되고 있기 때문이다. 지역 거점으로 형성되는 정도너츠가 그 대표적인 사례이다. 다만 정도너츠는 도시의 중심지가 아닌 외곽에 위치하고 있어서 골목 상권을 형성하기엔 성심당이 가지고 있는 장점이 없고 한계점이 분명 존재한다. 여기서 지자체의 도시재생 사업이 결실을 이루기 위해선 전국에 널리 알려져 있으며, 지역 대표 컨텐츠를 포함하고 있어야 한다. 파주 헤이리 마을이나 경리단길이 골목상권의 모범적인 경우이며, 지역적 특색이 골목상권에 고스란히 나타난다.
사람들은 편리함과 친환경, 이 두 마리 토끼를 잡으려는 이중적인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자동차가 가지는 환경 오염문제, 자동차가 등장하면서 과거에 우리 추억 속에 존재하는 골목은 해체되고 말았다. 골목이 가지고 있는 이미지, 더럽고, 위험하다는 인식이 널리 퍼지면서 골목을 해체하고 확장하는 사태에 이르고 있다. 확장된 골목에 들어서게 된 자동차는 편리함과 물질주의가 가지는 해악이 우리에게 독이 된다느 사실을 깨닫게 되었다. 이제와서 다시 골목을 회복하려는 움직임은 바로 인간이 가지고 있는 기본적인 욕구에서 발현되고 있다. 과거의 때를 버리고, 편리하면서, 안전하고, 친환경적인 골목을 형성하는 것, 골목 상권이 형성하는데 있어서 저해가 되는 젠트리피케이션 문제를 같이 해결되어야 책에서 말하는 골목 상권이 우리 앞에 놓여지게 되고, 골목 경제학이 현실이 될 수 있다.또한 지자체의 노력 뿐 아니라 골목 상인들의 노력도 같이 병행되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