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urvivors 살아남은 자들 6 - 대결전 서바이벌스 Survivors 시리즈 6
에린 헌터 지음, 윤영 옮김 / 가람어린이 / 2017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에린 헌터의 <살아남은 자들> 6권이 돌아왔다. 앞에서 읽었던 5권의 책들을 바라보면 개의 시선에서 바라본 우리의 삶이 이 소설에 고스란히 드러나 있으며, 작가의 새로운 관점과 시선을 바라 보게 된다. 개들의 삶 얹저리에 있는 그들(?)의  공포와 두려움은 소설 속에서 자주 등장하는 긴발들에 대한 경계심이며, 긴발이 데리고 있는 사나운 개들은 야생 개들에게 있어서 적대감을 형성할 수 밖에 없는 그런 존재이다. 긴발과 사나운 개들과 멀어진다는 건 자신의 생존이 보장된다는 것이며, 함께 공존한다는 건 긴발이 언제든지 사나운 개를 활용해 자신의 생명을 앗아갈 수 있다는 말과 같은 의미였다.


그렇게 땅의 개를 터전으로 살아가는 긴발과 야생개, 도시개였던 럭키와 벨라, 아니 럭키와 스큅은 야생무리에 섞이면서, 자신의 존재감을 드러내고 있다. 야생 무리는 사냥견과 순찰견으로 나뉘며, 우두머리는 알파라 부른다. 소설 속에서 야생 무리의 알파는 날쌘 암컷 스위트이며, 우왕좌왕 하는 개들의 질서를 유지하고, 때로는 야생 무리에서 존재가치가 없는 놈은 무리에서 배척한다. 이런 가운데 야생무리와 함께 했지만 서로 떨어지게 된 트위치 무리들과 다시 만나게 되는데 , 그 건은 긴발이 다시 돌아왔기 때문이다.


하늘의 개, 태양의 개, 땅의 개, 이 세가지는 바로 긴발과 야생 개들에게 없어서는 안되는 존재엿다. 하지만 그것이 때로는 자신의 삶을 채워주는 축복이 될 수 있지만, 때로는 그것이 커다란 공포와 두려운으로 나타날 수도 있다. 땅의 개가 으르렁 거림은 개가 으르렁 거림과 차원이 다른 성격을 지닌다.건물이 무너지고, 긴발이 다치고 죽은 상황이 발생하고, 모든 것이 황폐화 도미으로서 긴발은 도시를 떠날 수 밖에 없었다. 럭키와 벨라도 도시개에서 야생 사냥견으로 바뀐 것도 이무렵이다. 살기 위해서, 생존하기 위해서 때로는 비정한 선택을 해야 하는 그런 상황이 도래하고, 으르렁 거림이 멈추면 다시 노란 털을 가진 긴발이 돌아오게 된다. 그것은 야생개들의 삶의 터전이 다시 옮겨져야 한다는 것이며, 그렇지 않으면, 긴발에게 자신의 삶의 터전이 빼앗길 수 있다는 걸 의미하고 있다.


이 소설은 '개'의 삶을 모티브로 하고 있어서 , 개들의 후각이 생존에 직결된다는 걸 알 수 있다. 언제 어디서든 킁킁 거리며 나에게 이로운 존재인지 아닌지 갸늠하는 개의 습성,청소년 소설임에도 상당히 고차원적이며, 어른들이 읽어도 유익한 소설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