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야사 새로 읽기
주보돈 지음 / 주류성 / 2017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역사와 마주하는 시기는 학교이다. 요즘 아이들은 학교에 입학하기전 다양한 책을 읽고 역사 공부를 한다지만, 나의 어린 시절 역사는 학교 수업이 거의 전부였다. 그래서인지 역사에 대한 맹목적인 시선, 그들은 전문가니까 , 교과서에 나온 거니까, 검증되고, 정답이라 생각했다. 지금 돌이켜 보면 그것은 착각이라는 걸 깨닫게 된다. 권력이 이동하고, 정치적으로 이용해먹기 쉬운게 역사란 걸 뼈져리게 느끼고 있다. 과거 정권이 국민이 내는 세금을 이용해 국정화 교과서를 편찬하였고, 그것을 강제로 학교에 배포하였다. 부모의 반대에도 아랑곳 하지 않으며, 그들은 무대뽀 정신으로 밀어붙였다. 이런 모습은 과거에도 지속되었고, 현재도 진행 중이다. 지금 문제인 정부가 가야사 복원과 연구에 매진하는 이유는 바로 과거 우리가 배웠던 역사에 대한 인식, 친일에 대한 새로운 생각과 현재 우리 사회에 암묵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또다른 권력을 견제하기 위해서이다. 이런 모습을 보면 가야사에 관심이 있는 사람들이라면 반길 수 밖에 없다. 지금 현재 가야사에 대한 연구가 전무한 가운데, 가야사를 향토사의 일부분으로 제한적으로 연구하고 있으며, 가야인들의 생활이나 사회의 모습을 제대로 알지 못하고 있다.


사실 그렇다. 가야의 역사를 잘 알지 못하는 건 책에도 언급하였듯이 가야가 멸망하기 전 그들이 남겨놓은 기록들이 거의 다 사라졌기 때문이다. 찬란한 역사로 인식되고 있는 신라, 백제의 역사는 그들의 권력자인 왕의 고분에서 출토된 문화재 덕분이다. 하지만 가야와 관련한 문화재는 거의 남아있지 않으며, 가야 왕족의 고분에 있는 문화재들은 대다수 도굴된채 발견되었다. 가야의 역사를 알게 해주는 기본적인 사료가 부족한 가운데 우리가 가야의 역사를 짐작하게 해 줒는 건 김부식의 삼국사기와 일연의 삼국 유사, 그리고 삼국지, 동국여지승람, 마지막으로 여전히 논란이 많은 일본이 남겨놓은 알본 서기 뿐이다. 그들은 일본 서기에 등장하는 임나 (任那)가 가야를 가리키고 있으며, 그들은 칠지도와 광개토대왕릉비 비문을 증거로 내세워 일본이 한반도를 지배했다고 생각한다. 여전히 임나에 대한 해석이 여전히 분분한 가운데 우리는 일본의 주장에 대해 배척하는 입장을 취하고 있다.


이 책은 가야에 대한 길잡이 역할을 한다. 우리가 익히 알고 있는 가야는 금관국, 즉 금관가야를 말한다. 6가야의 연맹제로 이루어진 가야의 형태는 삼한 중 변한이 가야의 전신이며, 가야는 금관가야를 중심으로 연맹제의 모습을 하고 있다. 백제와 신라의 완충제로서 가야의 역사에 대한 인식, 고구려가 남쪽으로 내려오면서 가야는 또다른 위기에 봉착하게 된다. 이 책에는 금관국 뿐 아니라 대가야는 어떻게 형성 되었는지, 가야의 철기 문화의 특징에 대해 언급하고 있다. 우리가 가야에 대한 인식을 자세히 들여다 보면 설화와 연관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 가야금은 가야인들이 썻던 가얏고에서 왔으며, 그들의 삶에 대해 피상적으로 알고 있을 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