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불황에 더 잘나가는 불사조 기업 - 20년 불황에도 연 10% 이상 성장한 52개 일본기업
서용구.김창주 지음 / 더퀘스트 / 2017년 10월
평점 :
시장은 항상 변한다. 소비자의 기호에 따라, 인구 동향에 따라 달라진다. 과학 기술의 발달과 인구구조의 변화, 더 나아가 과학기술은 시장 변화를 유동적으로 바꿔 놓는다. 이런 가운데 과거의 전통적인 기업 마케팅은 가변적으로 바뀌게 되었고, 불확실한 상황에 놓여지게 된다.대한민국 기업은 앞으로 어떻게 바귀어야 하는지, 더 나아가 일본의 경제와 기업의 변화는 대한민국에 어떤 변화를 야기하는지 우리 스스로 타산지석으로 삼아야 한다.
제4차 산업 혁명은 기업에게 위기가 될 수 있고, 기회가 될 수 있다. 저성장 경제 구조는 기업의 목적과 목표도 달라지게 되고, 소비자와 기업의 이해관계도 바뀔 수 있다. 과거처럼 기업이 소비자에게 밀어넣는 방식으로 마케팅을 한다면 소비자에게 외면받을 수 있는 상황이 도래한다.그건 소비자의 선택권이 넓어지고, 기업은 소비자의 니즈를 정확하게 파악하지 않으면 지속적인 성장을 꾀할 수 없기 때문이다. 앞으로 대한민국이 타산지석으로 삼아야 하는 일본에 대해서 분석하고 있으며,20년 이상 지속 성장하고 있는 일본 기업 52개의 공통적인 특징은 무엇인지 분석하고 있다.
일본의 불황의 시작은 1991년이다. 그 당시 일본의 부동산 버블 경제는 꺼졌으며, 합리적인 소비로 바뀌게 되었다.일본 정부의 경기 부양책은 약발이 안 먹혀 들어거면서, 일본 경제는 '잃어버린 20년'을 넘어 잃어버린 30년을 지나고 있다. 더 나아가 일본은 2010년을 정점으로 하여 2016년 현재 200만명 이상 인구가 줄어들고 있는 상황이다.앞으로 2030년이 되면 대한민국 또한 일본과 같은 상황이 찾아올 가능성이 현실이 되어가고 있으며, 먹고 사는 문제에 대해서 걱정해야 하는 상황이 찾아왔다.어쩌면 20년 뒤가 아니 더 앞당겨질 가능성도 크다.
책에 나오는 52개 기업을 들여가보면 그들의 공통점은 고객을 지향하고 있다는 점이다. 더 나아가 고객의 니즈를 정확하게 파악하고, 가치 실현을 우선 목표로 하고 있으며, 지역과 기업의 상생을 도모한다.지금 현재 대한민국의 기업들이 서울과 수도권을 중심으로 형성되고 있는 반면 일본의 기업의 본사는 수도인 도쿄가 아닌 지방에 잇으며, 그들은 소비자의 구배력 변화를 예의주시하고 있다.특히 가구의 변화는 눈여겨 볼 수 있다. 결혼을 하지 않는 1인가구가 늘어나면서, 지금 현존하는 가족중심 소비를 지향하는 대형마트는 점차 사라질 가능성이 크고, 편의점이나 고객 맞춤형 서비스를 추구하는 소매점이 다시 뜰 가능성이 커진다.
여기서 눈여겨 볼 것은 인구 변화와 함께 기대 수명의 연장이다. 지금 우리는 80세를 기대수명으로 생각하고 있다. 하지만 1990년대 이후에 태어나 아이들은 기대 수명이 100세로 늘어날 가능성이 크다. 그렇게 되면, 지금처럼, 교육을 받고 직장에 다니고 퇴직하는 구조는 바뀌게 된다. 평생직장이 사라진 현재, 교육 이후 첫번째 직장, 더 나아가 퇴직이후 두번째 직정을 염두에 두어야 한다. 그 이후 80세가 되면, 소위 우리가 말하는 사회생활은 멈추게 되고, 은퇴라는 개념을 가지게 된다. 이런 일본의 현재 모습은 바로 20년뒤 우리의 모습이 될 것이며, 기업이 스스로 살아남기 위해 노력하지 않으면 생존조차 불가능해질 수 밖에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