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영혼의 소리, 젬베 ㅣ 내친구 작은거인 54
홍종의 지음, 김주경 그림 / 국민서관 / 2017년 9월
평점 :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7/1013/pimg_7300591131755878.jpg)
2009년 슈퍼스타K 1 이 시작되었다. 국내 최초의 가수 오디션이라는 타이틀을 내민 그 프로그램에서 독특한 출연자가 있었으니, 그의 이름은 조문근이다.다른 출연자들은 노래를 하는데 비해 조문근은 우리에게 생소한 타악기를 들고 나왔으며, 그 이름은 아프리카에서 쓰이는 타악기 젬베였다. 투박한 노래 소리 안에 감춰진 경쾌한 울림은 젬배라는 악기가 무엇인지 궁금하게 만들었다. 실제 잼베의 헤드 부분은 염소가죽으로 만들어져 있으며, 젬베의 맑은 소리도 여기에 있다.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7/1013/pimg_7300591131755879.jpg)
젬베를 소재로 한 동화책 <영혼의 소리 젬베>의 주인공 레테이파는 띠루 할아버지와 함께 살아가고 있다. 부모님 없이 성장한 레테이파에게 언덕 위 린케나무는 휴식 공간이었고 놀이터였다. 혼자서 놀수 있고, 뜨거운 날이면 린케나무의 그늘 밑에서 자유롭게 쉴 수 있다. 자신과 함께 성장한 염소 바무와 함께 다니는 레테이파는 린케 나무가 번개를 맞아 말라 죽어가는 걸 지켜볼 수 밖에 없었다. 린케 나무의 죽음에 대해 띠루 할아버지의 말한마디 "나도 이만하면 오래 살았고, 너도 그만하면 오래 살았고." 그 말에 레테이바는 갑자기 무서워지게 된다.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7/1013/pimg_7300591131755880.jpg)
9살이 된 레테이바는 자신의 정체성에 대해 알고 싶었다. 할아버지는 자신의 이름을 왜 '레테이바'로 지은 것인지 그 의미가 무엇인지 궁금했다. 그건 같은 마을에 사는 쿠막지 아저씨 때문이다. 어느날 쿠막지 아저씨와 낯선건 아저씨의 만남을 우연히 보았으며, 그두 사람 사이에 어던 이야기를 하는지 엿듣게 되었다. 레테이파 그 이후 자신의 부모님이 누군지 궁금했고, 어디서 왔는지 알고 싶었다. 학교에 가야하는 나이였지만 레테이파는 학교에 다니지 않는다.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7/1013/pimg_7300591131755881.jpg)
레테이파는 어디에서 들려오는 북소리를 따라가게 된다. "두둠께두두둠케, 두두케두두둠케." 북소리는 마을의 폰장 집 근처에서 멈추었으며, 덩치 큰 어른 달쿠시는 레테이파를 들어서 혼내 주려고 했다. 레테이파는 때마침 나타난 촌장 딸 구파이 덕분에 난처한 상황에 벗어날 수 있게 되었다. 촌장의 딸 구파이는 젬베 소리에 리듬을 타는 레테이파에게 관심 가지게 되었고, 두 사람은 젬베로 인해 서로에게 관심 가지게 되었다.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7/1013/pimg_7300591131755882.jpg)
레테이파와 구파이는 처음 만난 사이였지만, 두 사람에겐 또다른 인연이 존재했다. 구파이가 가지고 있는 젬베는 레테이파의 할아버지가 만든 악기였기 때문이다. 구파이가 가지고 놀았던 장난감이나 악기는 거의 대부분 띠루 할아버지가 만든 것이며, 구파이에게 띠루 할아버지가 젬베를 만들어 준 것에는 또다른 의미가 있었다.젬베를 치면 죽은 어마하고 마음이 통한다는 속설이 있기 때문이다.
아프리카에서 건너온 젬베, 그 악기가 들려주는 음악소리는 우리에게 즐거움과 평온함을 느끼게 된다. 슬픔을 가지고 살아간다면, 젬베는 그 슬픔에서 벗어나도록 도와주며, 마음에 따스한 온기를 느끼게 해 주었다. 우리에게 생소한 아프리카에서 건너온 악기 젬베가 레테이파와 띠루 할아버지에게 어떤 의미인지 알게 해 주는 따스한 동화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