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엄마, 아빠 사용 설명서 - 행복한 우리 집을 위한 엄마, 아빠 사용 안내서 ㅣ 사용 설명서 시리즈
공일영 지음, 주미 그림 / 고래가숨쉬는도서관 / 2017년 6월
평점 :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7/0713/pimg_7300591131691424.jpg)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7/0713/pimg_7300591131691425.jpg)
작가 공일영씨는 남양고등학교 교사입니다. 현재는 후치민시 한국 국제고등학교에서 몸담고 있습니다. 자신의 어린 시절과 다른 현재의 아이들의 모습을 바라보면서 아이들에게 희망이란 무엇이고, 행복이란 무엇인지 생각해 보게 됩니다. 어릴 적 장난감이 없어도 주변에 많은 것들이 장난감이었던 그 때 아이들의 모습, 아이들은 아이답게 놀아야 한다는 것이 당연하게 생각했지요. 언제부터인가 세상이 달라지고 있었습니다. 아이에게 '작은 어른' 이라고 생각하면서 점차 우리 삶은 과거의 좋았던 모습들, 행복했던 모습들이 사라지게 됩니다. 남이 하니까 내 아이도 해야 한다는 조급함이 아이에게 또다른 스트레스와 삶에 대한 왜곡을 만들어 냅니다. 이 책을 쓴 이유도 달라지는 이 세상에서 부모님과 아이는 어떤 삶을 살아야 하는지에 대한 고민에서 시작되었습니다. 제목에서 보여지듯이, 부모 사용 설명서란 아이에게 있어서 부모의 역할은 무엇인지 나옵니다.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7/0713/pimg_7300591131691427.jpg)
아이들에게 먼저 가르치는 것은 인사입니다. 바로 배꼽 인사입니다. 부모님이 생각하는 내 아이의 모습이며, 내 아이가 항상 인사를 잘하고 바른 아이가 되기를 원합니다. 인사 잘하는 아이가 성장하면서 점점 더 인사를 하지 않는 아이로 바뀌는 경우가 더러 있습니다. 그런모습에 대해서 저자는 안타까운 마음을 드러냅니다.자신의 과거의 모습들을 이제 내 아이에게 다시 가르쳐 주어야 한다는 생각을 엿볼 수 있습니다.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7/0713/pimg_7300591131691428.jpg)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7/0713/pimg_7300591131691429.jpg)
엄마 사용 설명서 일곱가지 입니다. 그중에서 외모에 관한 이야기가 나옵니다. 엄마도 어린 시절 비슷한 고민을 하고 성장해 왔으며, 그런 과정이 있었기에 아이가 가지고 있는 고민에 대해서 알고 있습니다. 두 사람 사이에 소중한 것은 이해와 소통과 공감입니다. 아이가 가진 고민을 들어줄 수 있는 엄마가 되는 것.그건 엄마를 사용하는 일곱가지 방법의 첫걸음입니다.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7/0713/pimg_7300591131691430.jpg)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7/0713/pimg_7300591131691431.jpg)
아빠는 집안의 가장입니다. 일을 하는 아빠의 모습. 요즘은 엄마도 일을 하며, 맞벌이 가정이 있습니다. 책에는 아빠의 이미지를 슈퍼맨 이미지를 연상하게 됩니다. 실제 아빠는 때로는 힘든 일을 하면서 돈을 벌 수 밖에 없고, 집에서는 쉬고 싶을 때가 있습니다. 아이와 아빠가 함께 행복해지려면 서로를 잘 이해하고, 배려해주는 것이 필요합니다. 그 과정에서 아빠는 자녀들의 롤모델이 될 수 있으며, 서로의 고민과 힘듦이 무엇인지 알게 됩니다. 아빠의 슈퍼맨 이미지 속에 감춰진 외로움과 고독함을 아이가 헤아릴 수 있어야 합니다.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7/0713/pimg_7300591131691432.jpg)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7/0713/pimg_7300591131691434.jpg)
어떤 문제에 있어서 엄마나 아빠 한사람만으로는 해결되지 않는 문제들도 간혹 있습니다. 그럴땐 두 사람이 같이 자녀의 고민을 들어주는 것이 필요합니다. 아이들이 용돈이 필요할 때, 가족이 다 함깨 운동을 하는 것, 아이들이 학교 생활이 힘들 땐 부모는 자신의 학창시절의 경험을 들려주면서 자녀들과 해결책을 모색할 수 있습니다. 책에는 부모의 마음이 고스란히 담겨져 있습니다. 아이가 성장하면, 부모와 자녀 사이가 멀어지는 게 일반적인 우리들의 모습입니다. 자녀들은 자신이 하고 싶은 것을 이해하지 못하는 부모님의 모습에 실망하고, 대화의 문을 닫아 버립니다. 부모님은 아이의 어릴 적 모습이 달라지는 것에 대해서 새로운 대안을 제시하지 못할 때가 있습니다. 이 책은 그렇게 부모와 자녀 사이의 간극을 줄여나가기 위해서는 서로를 이해하고 배려하는 과정이 필요하다는 걸 말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