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eBook] 남의 글을 내글 처럼
유지훈 지음 / 투나미스 / 2016년 7월
평점 :
내가 알고 있는 번역가는 일본 추리 소설이나, 미국, 영국 추리 소설을 번역하는 분들을 제외하곤 다양한 작품을 직역과 중역을 통해 해외에서 출간된 책을 번역하신 김석희씨, 세익스피어 번역의 대가 김재남씨, 제임스 조이스 번역의 대가이면서,그의 작품을 번역하기 위해 언어의 변화와 파괴를 통해 새로운 작품을 구현하신 김종건씨가 있다. 내 기억속의 번역가 목록에는 유지훈씨는 없었다. 하지만 돌아보면 내가 읽었던 수많은 책들은 외국 번역서였으며, 누가 번역했는지 번역자의 이름엔 크게 관심 가지 않았던게 사실이다. 우리 사회에서 번역가로서 살아간다는 건 어떤 의미이며, 어떻게 살아가고 있는지 이 책을 통해 번역가 유지훈씨의 글을 통해 느끼게 된다.
번역. 그건 남의 글을 내글로 옮기는 작업이다.다른 나라에서 쓰여지는 언어를 우리가 쓰는 한글로 옮겨가는 작업이 바로 번역 그 자체였던 것이다. 하지만 같은 단어라도 의미에 따라 어감에 따라 달라진다. 특히 존대어가 있는 우리의 언어 특성상died 의 의미도 수십개로 나뉠 수 있다. 그건 번역가의 생각이나 번역 스타일에 따라 선택되어지고, 번역된 책의 특징도 달라진다. 셍텍지베리의 어린 왕자가 다양하게 번역되어 있어도,헤르만 헤세의 데미안이 다양하게 번역되어 있어도 그 특징은 미세하게 달라질 수 있다.
시중에 퍼저 있는 다양한 번역서의 책 제목이다. 그 책 제목에는 원제목과 다른 한글 제목이 더해진다. 소설의 전체 의미에 따라서, 독자의 눈길을 끌기 위해서, 한글 제목은 달라질 수 있다. 또한 개정판과 재개정판의 제목도 시대에 따라 달라지는 경우도 있으며, 책 제목이 그 책이 베스트셀러가 되느냐 안 되느냐 명운을 좌우할 때도 있다. 책 제목이 불변인 경우는 위대한 게츠비, 카프카의 변신 등 대중에게 널리 알려진 책들, 스테디셀러 같은 책들은 원형 그대로 유지가 된다.
번역서와 한글 번역본의 책 표지이다. 왼쪽은 원서이고,오른 쪽은 한글 번역 도서이다. 서평을 쓰다보면, 독후감을 쓰다보면 원서와 한긆찬이 같이 검색될 때가 있다. 그럴 땐 한글 번역책만 남기지 않는다. 원서도 같이 올릴 때가 있고, 그럴 경우 원서의 첫 리뷰로 올라가는 경우가 간혹 있다. 때로는 원서의 표지조차 알지 못할 때도 있으며, 그럴 땐 아마존 닷컴이나 구글을 참고할 때가 있다. 가끔 저자의 이름으로 검색할 때 그 책이 번역되지 않아서 속상할 때도 있으며, 자본주의 사회에 살아간다는 것이 어떤 의미인지 피부로 느낄 때가 있다. 팔리지 않는 책은 번역되지 않는다는 그 불문율이 지금까지 우리 삶을 지배하고 있다.
자본주의 사회. 내 글을 쓰는 것과 남의 글을 내글로 옮길 때는 그 의미가 달라진다. 번역가도 창작의 일종이고, 품이 많이 드는 작업이다. 그럼에도 우리사회에서, 출판계에서 번역가의 처우는 상당히 열악하다. 저자는 프리랜서로서 최저 임금에도 미치지 못하는 돈을 벌고 있으며, 출판사와 갑을 관계에 놓여질 때가 많다. 그들은 저자에게 다양한 요구를 하고, 편집자가 바뀌면 그때도 다시 또다른 요구가 생겨난다.. 여기서 출판사가 엎어지고 사라지면, 번역자는 돈을 받지 못하고 사기당하는 사태가 발생한다. 돌이켜 보면 이런 모습은 저자만 그런 건 아닐 것이다. 유명 번역가가 아니라면 대다수 비슷하다고 볼 수 있다. 그래서 투잡을 하게 되고, 번역이 없을 땐 또다른 일을 하는 건 아닐런지. 매해 번역가가 쏟아지는 가운데, 번역가의 이름이 대중에게 알려지는 경우가 많지 않은 현실이 안타까울 다름이다. 그럼에도 그들은 생계에 대한 걱정을 안고 있으면서 번역을 하고 살아가며, 다양한 책들을 우리에게 내놓고 있다. 이 책은 번역가의 삶이 어떤지 알 수 있으며, 그들에게 관심과 배려가 큰 힘이 된다는 사실을 일께워 주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