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The Art of 미녀와 야수 - 디즈니 미녀와 야수 공식 콘셉트 아트북
찰스 솔로몬 지음, 정미우 옮김 / 아르누보 / 2017년 3월
평점 :


<미녀와
야수>하면 먼저 생각 나는 것은 디즈니 애니메이션 작품이다. 디즈니 애니메이션 <미녀와 야수>는 1991년
만들어졌으며, 아카데미 후보까지 오르게 된다. 영화로 처음 만들어진 건 1946년 장콕토 감독에 의해서 였으며, 디즈니 에니메이션
중에서 고전에 속하는 작품이 바로 <미녀와 야수>였다. 야수로 변해 버린 왕자와 상인의 딸이었던 벨, 두 사람이
만나서 마법에 풀린 야수와 사랑을 이루는 과정에서 보여지는 판타지 세계를 <미녀와 야수>를 통해 엿볼 수 있다.
원작은 18세기 프랑스 가브리엘 수잔 바르보가 쓴 동화 이야기가 원작이며, 프랑스 빌뇌브 마을이다.
<미녀와 야수>는 서기 1740년 루이 15세기 중반이 시대적 배경이 되고 있다. 마법에 걸린 야수가 홀로 살아가는
궁전은 프랑스풍의 색채를 보이며, 그 안에 보이는 벽화와 미술 작품 또한 중세의 색채가 고스란히 나타나고 있다.
<미녀와
야수>의 이야기를 재현하기 위한 습작과 스토리 보드를 통해 원작이 가지는 어두운 색을 지워내고, 현대적으로 재해석해 가는
과정이 나오고 잇다. 특히 야수의 얼굴을 한 왕자의 고뇌와 그 안에 감춰진 선량한 마음씨를 캐릭터에 녹여내기 위한 과정 하나 하나
세심함을 엿볼 수 있다. 애니메이션 속에 등장하는 나쁜 남자 개스톤의 캐릭터적인 성향과 야수와 교차되는 지점을 결정하는 과정이
쉽지 않았다는 걸 알 수 있다. 또한 야수의 얼굴을 보면 사자의 얼굴을 가지고 있지만, 실제로는 개코원숭이와 고릴라의 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목소리는 스타워즈의 다스베이더를 모티브로 하였다..
이렇게 애니메이션으로 널리 알려진
<미녀와 야수>는 2017년 다시 뮤지컬 영화로 재현되었다. 엠마왓슨과 댄스티븐스 주연의 뮤지컬 영화이며, 촛대
르미에는 이완맥그리거가 맡게 되었으며, 르푸는 조시게드가 맡아서 동성애적인 캐릭터를 드려낸다.. 르푸는 자신의 정체성에 대한
혼란을 영화속에서 표현하고 있다. 특히 책에는 애니메니션 <미녀와 야수> 속에 등장하는 인물들은 어떻게 만들어졌느지
자세히 알 수 있다.
애니메이션으로 만들기 위한 CG 작업 과정에 눈길이 갔다. 기초 작업은 습작에 의한
전체적인 구상을 이끌어내지만 , 전체적으로는 CG를 통해 3D 에니메이션을 구현할 수 밖에 없다. 1990년대 애니매이션을
구현하기 위한 컴퓨터 그래픽 기술은 상당히 낮은 수준에 불과했으며,테이프 드라이브에 저장되어 있는 압축된 형태의 <미녀와
야수> 원본 파일을 재생하기 위한 노력은 복잡한 절차를 거쳐야 한다는 걸 이 책을 통해 알게 된다. 또한 지금은 수많은
애니메니션은 디즈니 에니매이션 기술을 바탕으로 발전하고 있으며, 컴퓨터 그래픽 기술 또한 상당히 높은 수준에 도달했다는 걸 책을
통해 알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