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책의 역사 - 파피루스에서 전자책까지
우베 요쿰 지음, 박희라 옮김 / 마인드큐브 / 2017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내가 지금 읽고 있는 <모든 책의 역사> 도 책의 일종이다. 하얀 종이위에 까만 글씨체, 비슷한 형태의 책들은 서점에 상당한 권수의 책들이 있다. 인터넷이라는 디지털 이기(利己) 가 등장하면서 책은 눈으로 만지고 보고 느끼는 것에서 벗어나 보고 듣는 형태로 발전하게 되었다. 이런 모습들을 우리는 당연하게 생각하지만, 500년전 중세 수도사들이 보면 충격을 먹을 수도 있다. 그들에게는 책이란 사회의 신분과 지위를 의미하며, 자신의 위치가 어디인지 알게 해 주면서 재산이기 때문이다. 16세기 독일에서 글을 읽고 문자를 아는 이는 채 5퍼센트가 되지 않았으며, 글을 알지 못하는 사람들은 글을 아는 사람들을 통해서 지식을 습득할 수 밖에 없었다.  우리에게 책이란 무엇인지, 책은 언제부터 시작되었고 , 어떻게 발전되었는지 그 역사를 찾아가고 있다.


이 책에서 먼저 언급하고 있는 건 , 책의 역사의 시작은 언제로 봐야 하느냐이다.단군 조선시대에 해당되는 메소포타미아 문명, BC 2000년경 그들이 사용했던 점토판을 책의 시작으로 보아야 할런지, 고대 이집트의 파피루스를 활용해 책을 쓴 것을 책의 기원으로 해야 하는지, 고대 호모 사피엔스가 살았던 동굴 속의 벽화도 책의 범주에 포함되느냐 안 되느냐의 정의부터 시적해야 한다. 책에 대한 정의는 파피루스와 점토판에서 시작되며, 양피지를 활용한 책의 출간, 점차 다양한 형태로 책이 출간되고 있으며, 어떻게 책을 만들어 냈고, 책은 어떤 역할을 하고, 실제 사용했는지 그 역사들을 찾아 나간다.


점토판과 파피루스는 그들 주변에 널리 있었던 것을 활용한 것이다. 서아시아 메소포타미아 문명에는 점토의 재료가 상당히 많았고, 점토를 가공해 책을 만들었다. 이집트에 많이 자생하는 파피루스 숲, 파피루스는 그렇게 책의 재료로 쓰여진다. 이후 책의 형태는 소가죽을 활용한 양피지로 발전하게 된다. 양피지의 주재료인 소는 주변에 많았지만, 소 하나에 양피지 두 개를 이상을 만들 수 없다는 단점은 책 한권에 들어가는 비용은 상당히 고가였으며, 양피지로 쓰여진 책은 화려하면서 하나의 신분적 상징이 되었다. 1500페이지의 책을 만들어내려면 750 마리의 소를 잡아야 한다. 당연히 책은 소수에게 돌아갔으며, 책을 읽고 쓸수 있는 이들도 소수이다. 필경사라는 직업은 책의 원본을 그대로 옮기는 사람이며, 책의 판매자와 구매자가 서로를 잘 알고 있다. 여기서 양피지로 쓰여진 책은 신의 계시에 관한 책이며, 문학적 기능으로서의 책은 등장하지 못했다. 신에 대한 절대적인 권력은 양피지의 화려함으로 재탄생 되었다.


구텐베르트의 인쇄술.15세기 구텐베르크가 발명한 목재 인쇄소가 등장하게 된다. 구텐베르크의 인쇄술이 등장하면서 필경사는 인쇄공으로 대체 되어 갔다. 책의 판매자와 구매자가 서로 알아야 상황은 서로가 익명으로 책을 사고 파는 상황으로 바뀌게 된다. 구텐베르크의 인쇄기로 찍어낸 최초의 책은 성서였으며, 소수가 가지고 있었던 성서가 대중들에게 퍼져 나가게 된다. 아직 여전히 3000권 내외의 책을 만들 수 밖에 없는 현실적인 상황, 하지만 구텐베르크의 인쇄술은 사회적인 변화를 잉태하였다. 그 당시 라틴어 일색의 책들은 점점 더 밀려났으며 독일어로 쓰여진 책이 대체하였다. 구텐베르크의 인쇄기로 인해여 신학 저서는 축소된 반면, 대중문학의 비중은 점점 늘어나 신학을 앞지르게 되었다. 책이 재산으로서의 기능을 잃었으며, 계몽에서 유희와 오락으로서의 도구로 바뀌게 된다.1774년 괴테가 쓴 <젊은 베르테르의 슬픔> 이 출간되면서 히트했던 이유도 구텐베르크의 인쇄술의 등장으로 인해 불가능을 가능으로 바꿔 나갔다.


구텐베르크의 인쇄기가 등장하면서 책의 대량생산이 가능해졌으며, 소비자의 책에 대한 수요가 늘어나게 된다. 1886년에 등장한 오트마르 메르겐탈러의 라이노타이프로는 소비자의 소요를 감당할 수 없는 지경이 되었다. 지식의 향유를 넘어서 배움에 대한 욕구는 점차 확대되었으며, 미국 뉴욕의 대규모 고속 인쇄기가 나타나면서 신문 발행이 가능해졌다. 재래식 종이 생산 방식으로는 수요에 비해 턱없는 공급을 잉태하였고, 프랑스인 니콜라 루이 로베르는 '섬유를 원통위를 굴러가는 흔들채 위로 올려놓고 압축롤러로 매끈하게 건조 시키는 장망기를 발명해 시장에 도입시켜 나가게 되었고, 값싼 펄프는 만드는 기술을 터득하게 되었다.


 기술의 발달은 필요에 따라 바뀌고 변화한다. 초창기의 책은 종교 서적이 대부분이며, 글을 아는 이들도 상당히 적었다. 종교가 세상을 지배했던 중세시대, 구텐베르크 인쇄술은 라틴어를 새로운 언어로 대체하였고, 책에 쓰여진 언어도 바뀌게 된다. 초창기 성서를 찍어내던 인쇄기는 대중문화의 확산에 기여하였고, 사람들은 선택의 기회가 늘어나게 되었다. 기업은 변화가 돈이 된다는 사실을 깨닫게 되었고, 대량 생산이 가능한 인쇄기기를 만들어 나갈수 있게 된다. 무에서 유를 만들어내는 것이 가능해지면서, 개로운 기술의 등장 컴퓨터가 등장할 수 있는 기회가 찾아오게 된다.컴퓨터의 등장읜 책의 개념을 바꿔 놓았으며, 전자책의 등장으로 인해 소유할 수 있는 책에서 무형적 자산으로의 책의 개념을 도입하게 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