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투스는 베레니스를 사랑하지 않았다
나탈리 아줄레 지음, 백선희 옮김 / 무소의뿔 / 2017년 4월
평점 :
절판


어떤 소설은 한페이지 한페이지 넘어가는게 쉽고 , 어떤 소설은 그게 어렵다. 소설의 배경 지식 없이 맨바닥에 헤딩하는 그런 느낌, 이 소설을 읽으면서 깨닫게 된다. 소설 속에 등장하는 프랑스의 시인이며 극작가인 장 라신의 시세계에 대해 조금이나마 알고 있다면 , 이 소설에서 막막함은 덜했을 것 같다. 피상적인 이야기의 나열, 장라신의 시 세계에 대해 조금은 알고 있는 사람에게 추천해 봄 직한 소설이 나탈리 아줄레의 <티투스는 베레니스를 사랑하지 않았다>이다.


소설 속에 등장하는 두 인물 티투스와 베레니스, 티투스는 아내 로마가 있었고, 베레니스에게 일방적인 이별 통보를 하게 된다. 우리의 정서로는 이해할 수 없지만 프랑스라면 가능하지 않을까 싶은 두 사람의 관계, 티투스는 베레니스와 헤어지고 아내 로마에게 돌아가 버린다. 배신감을 느꼈고 상처 받았던 베레니스의 내면에 감춰진 공허한 마음은 그 누구에게 말할 수 없었다. 친구도 없었고 가족도 없이 홀로 남겨진 베레니스의 마음을 위로하는 건 12음절로 된 장 라신이 남겨 놓은 시 하나였다. 베레니스는 장 라신이 남겨놓은 시 열두편을 찾아서 자신의 삶에 가두어 버린다.


장라신은 남자였다. 17세기를 살았던 그는 중세 시대 극작가이며, 시인이다. 베레니스는 장 라신에 심취해 있었고, 그의 삶을 들여다 보고 싶었다. 그는 어떻게 여성의 아픔과 상처를 이해할 수 있었고, 이해하는지 그를 만나 보고 싶었다. 작가 나탈리 아줄레는 그런 베레니스의 마음을 과거의 세계로 공간 이동 시킨다. 그제서야 독자는 장라신의 삶에 다가서게 된다. 그가 살았던 중세의 프랑스 사회는 수도원과 가톨릭이 지배하였고, 고아였던 장 라신은 포르루아얄 수도원에 기거하였다. 장 라신은 자신의 스승 아몽에게 라틴어와 그리스어를 배웠으며 고전 번역을 병행하게 된다. 

라신은 스승의 번역을 바라보면서 스승의 번역은 세련되고, 명확하지만 자신이 가지고 잇느 질문들을 해결해 주기엔 역부적이다. 장라신은 아몽과 함께 하면서 언어가 가지는 한계를 절감하게 된다. 그리스어와 라틴어, 프랑스어의 간극을 극복하는 건 쉽지 않았다. 아니 장 라신이 가지고 있는 자유로운 영혼과 언어 세계는 하나님에 갇혀 버린 중세 유럽 사회가 용납하지 않았다. 하나님에 도전하거나 하나님을 해치는 걸 용납하지 않는 세상에 놓여지면서 장 라신은 고모를 원망하기에 이르렀다. 프랑스 귀족 사회에 진출하게 된 장 라신의 선택은 자신의 한계에서 벗어날 수 있는 탈출구 였으며, 귀족 여성의 마음을 사로잡는 시를 쓰게 된다. 귀족 여성의 마음을 사로잡는 시가 바로 장 라신의 출세 그 자체이다. 언어에 집착하고, 언어의 본질을 찾아가면서, 고뇌와 성찰 과정에서 여성의 마음을 조금씩 알아가게 된다. 하지만 하나님의 사랑과 자신이 생각하는 사랑이 일치되지 않는 부조리한 상황을 장라신은 받아들일 수 없었다.


프랑스 왕이 전쟁을 하고 돌아으면, 장 라신은 자신의 언어로 왕을 즐겁게 할 수 있었다. 자신의 비극 작품을 연극으로 올림으로서 장 라신은 점차 유명 인사가 되었고, 자신이 쓴 비극 작품은 장라신을 가두게 된다. 티투스가 베레니스르 사랑하지 않았던 것처럼, 장 라신 또한 포르루아얄 의 젊은 여성들을 만났지만 그녀를 사랑할 수 없었던 것이다. 그의 내면의 아픔은 그렇게 소설 속에서 17세기에서 21세기로 더시 돌아오게 되며, 장라신과 베레이스를 연결 시키고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