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0대 강해져야 살아남는다
다구치 요시후미 지음, 이정은 옮김 / 홍익 / 2017년 1월
평점 :
구판절판


 40대, 우리 사회에서 40대에게 요구하는 책임과 의무가 있다. 때로는 자신의 가까운 사람들이 세상을 떠나는 시기가 40대이며, 슬픔과 기쁨을 함께 경험하는 시기이다. 40대가 되어서 흔들리는 이유는 바로 세상이 나에게 요구하는 것과 나의 능력의 불일치에 있다. 그런 모습은 때로는 위기가 될 수 있고 기회가 된다. 40대를 잘 넘어간다면 50대 새로운 목표와 희망을 얻을 수 있는 시기이도 하다. 돌이켜 보면, 나의 부모님이나 친척들 주변의 어른들을 보면 그냥 40대를 지나간 것처럼 보이지만, 그 안에는 다양한 경험들이 있었고, 시련과 아픔이 있었음을 알게 된다. 사업 실패로 사우디에 오랜 시간 일해야 했던 큰 아버지에 대한 기억들, 그 순간을 잘 넘겼기에 지금 현재의 인생을 살아온 것이 아닐까, 이 책을 통해서 생각하게 되었다.


이 책을 읽어보면 저자의 독서와 마주치게 된다. 10년간 300권의 고전을 읽었던 다구치 요시후미 씨. 어렵고 딱딱하고 지루하기만 한 고전을 읽게 된 것은 세상의 이치를 알고 사물의 근원을 얻기 위함이었다. 살아가면서 누군에게나 불식간에 찾아올 수 잇는 난제들을 해결할 수 있었던 건 고전 속에 선인들의 지혜에 있었다. 때로는 가장 바쁜 이기인 40대는 세상에 대해 조금 더 잘 알게 되는 나이이기도 하다. 그럼으로서 독선과 아집, 자기 생각에 빠져 유혹과 탐욕에 쉽게 빠져드는 나이이기도 하다. 사람들과 어울리면서, 자신의 정체성을 찾기 위한 노력들, 40대에게 요구되는 것들은 미래에 대한 준비이다. 목표를 가지고, 10년동안 그 목표에 대한 꾸준한 노력과 지속적인 인내, 그것이 자신의 미래를 결정짓게 되고,40대를 무사히 넘길 수 있는 강인함을 얻게 된다. 안일함과 안정적인 삶이 아닌 앞으로의 삶을 준비하면서 살아가는 것, 지혜를 얻기 위한 노력을 게을리 하지 않아야 되는 이유가 여기에 있었다. 갑자기 찾아온 예기치 않은 사고들을 잘 이겨내기 위해서는 40대를 잘 넘기는 것이 우리에게 필요하다.


凡編戶之民 富相什則卑下之 伯則畏憚之 千則役 萬則仆 物之理也
사람들은 상대방의 재산이 자기보다 열 배가 되면 헐뜯고, 백 배가 되면 두려워 하며, 천배가 되면 그의 일을 해주고, 만 배가 되면, 노비가 되는 것도 사양하지 않는다. (p109)


사마천의 사기에 나오는 문장이다. 2000년 사마천의 통찰력이 느껴지는 것은 그의 생각이 지금에도 통용되기 때문이다. 사물의 본질을 뚫는 생각은 만인들에게 읽혀지고 생각되어진다. 우리가 모 기업에 대해 욕을 하지만, 그 기업에 취직되고 싶어하는 마음이 있는 것은 바로 우리의 마음 속에 숨어있는 노예의 현재와 마주하게 된다. 이렇게 자신의 위치에 따라 운명이 달라질 수 있으며, 자신의 운명은 스스로 바꿔 나갈 수 있다는 것을 이 책을 통해서 느끼게 된다.미래에 대한 준비를 게을리 하지 않는다면 40대 인생의 남은 삶을 행복으로 바꿀 수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