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랑스 유언
안드레이 마킨 지음, 이재형 옮김 / 무소의뿔 / 2016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100년 전 우리는 어떤 모습을 보여주고 있을까, 그 때 당시 우리 삶은 어떠했을까. 우리가 읽는 한국 문학은 그 당시를 제대로 비추지 못하고 있으며, 민족주의 성향을 드러낸 소설들이 대부분이다. 어쩌면 그런 문학만 보이는 건 다른 소설 문학에 대해서 우리가 관심을 가져주고 있지 않기 때문이다. 분명 우리의 할아버지, 할머니의 인생이 있었고, 증조 할아버지 , 증조할머니의 인생도 분명 그때를 비추고 있지만, 그들의 개인적인 삶을 우리는 자세하게 알 수가 없다.


<프랑스 유언>은 그렇게 100년전 러시아의 모습을 비추고 있으며, 그 때 당시 전쟁과 러시아 혁명이 일어나던 그 때, 저자 안드레이 마킨의 할아버지 할머니는 프랑스와 러시아 두 나라를 품고 살아야 했으며, 프루스트의 <잃어버린 시간의 찾아서> 와 같은 색채를 이 소설에서 보여주고 있다. 또한 그 당시의 조그만 시골에서 있었던 그 비극적인 사건에 대해서 비밀을 감추고 , 아무도 이야기 하지 않은지, 그 비밀의 숨어있는 수수께끼는 무엇인지, 작가의 감정과 생각을 소설을 통해 가족사를 수평적인 연결 속에서 드러내고 있다.


시베리아 외갓집에 놀러간 주인공은 우연히 사진 하나를 발견하게 된다. 그 사진 속 귀여운 소녀는 바로 주인공의 할머니의 모습이며, 두려움과 공포에 대해서 자신 뿐만 아니라 할머니도 분명 느꼈을 거라 생각하였다. 프랑스인으로서 러시아에 살아야 했던 자신의 정체성은 무엇인지, 러시아에서 프랑스인으로, 프랑스에서 러시아인으로 비춰지는 자신의 그동안의 삶속에서, 자신의 현재의 모습과 마주하게 된다. 그렇게 주인공의 할머니와 할머니의 부모님의 모습 속에서 그들의 개인적인 삶을 이 소설에서 비추고 있으며, 100년전 러시아에서 실제 있었던 역사적인 사실과 절묘하게 끼워맞추고 있다. 갑자기 일어난 전쟁으로 인해 폐허가 된 시골 마을, 부상당한 병사들을 치료하기 위해서 팔다리가 없는 병사들을 치료하기 위해 간호사가 되어야 했으며, 잔인하고 고통스러운 삶을 살아왔지만, 그 흔적을 감춘 할머니의 삶에 대해 생각하게 된다.


이 소설을 읽으면서 일제치하와 한국 전쟁을 생각하게 된다. 전쟁이라는 역사적 사실 속에는 분명 우리의 삶이 기록되어 있다. 하지만 그 안에서 우리는 개인의 삶은 지우고 있으며, 국가와 연결되어 있는 모습만 비추고 있다.개인이 처음 전쟁과 마주해야 했던 그 순간 느꼈던 파괴된 자신의 삶, 전쟁 이전의 삶과 전쟁 이후의 삶은 사라진채,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위안부의 삶, 정치와 연결되어 있는 이야기, 독립운동, 국가의 명예에 앞서서 우리가 알고 싶은 것은 바로 우리들의 삶 그 자체이다. 북에서 남으로 내려오면서 피난을 가야 했던 그런 이야기들을 우리는 거의 알 수가 없으며, 단편적으로만 느끼게 된다. 주인공의 할머니가 추운 겨울의 시베리아를 두 발로 걸어다녀야 했던 그 기억이, 러시아에서 프랑스로 가는 것을 주저하는 이유가 무엇인지 그걸 알아가는 것은, 바로 우리 삶에 대한 이해이며, 이 소설이 가지고 있는 하나의 의미이다. 전쟁이라는 커대한 담론에 대해서 이 소설은 지극히 개인적인 삶을 다루고 있으며, 그 안에 숨어있는 사랑과 비극, 고통을 함께 이야기 하고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