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Book] 트라우마는 어떻게 유전되는가
마크 월린 지음, 정지인 옮김 / 심심 / 2016년 11월
평점 :
판매중지


트라우마란 사전적 의미로 '영구적인 정신장애를 남기는 충격'이라 부른다.트라우마가 생기는 건 어릴 적 돌발적인 상황에 크게 다치거나 충격을 받았던 기억들이 트라우마로 남게 되며, 사람들은 대체로 어느정도의 트라우마를 안고 살아간다. 그건 우리 사회가 복잡해지면서 다양한 위험에 노출되어 있으며, 사람과의 관계 속에서 여러가지 아픈 기억들을 가질 수 밖에 없기 때문이다. 이런 문제들은 대체로 강렬한 기억들로 존재하거나 자신이 겪고 싶지 않은 일이 반복적으로 일어날 때 트라우마가 형성되며, 상처받고 싶지 않은 마음은 결국 자신과 세상을 단절시키는 이유가 된다. 또한 이 책을 읽게 되면 우리 사회의 큰 대형 사건, 세월호 참사 이야기를 할 수 밖에 없다.

세월호 참사. 우리 사회의 가장 큰 사고였으며, 그것은 그 문제의 당사자 뿐 아니라 대한민국 사람들에게 또다른 트라우마로 남아있다. 특히 세월호가 침몰하고, 가족이 모두 세상을 떠나고 혼자 남았던 어린 아이 권OO 이라는 이름을 가진 아이가 생각난다. 부모님을 모두 잃고 겨우 살아남았던 그 아이는,아픈 상처와 기억들을 간직하고 읶었으며,우리가 너무나도 잘 알고 있는 그 분에 의해 정치적으로 이용당했다.그분은 자신 또한 영애였던 그 때 부모를 잃었으면서, 어린 아이가 가지고 있는 트라우마나 상처 따위는 아랑 곳하지 않았으며, 자신의 이미지를 좋게 만들기 위한 도구로서 그 아이를 이용했던 것이다. 그아이가 가지고 있는 가족의 상실과 세상에 대한 두려움은 그 아이 뿐만 아니라 그 아이가 결혼 후 아이를 가지고, 할머니가 되어서 손자, 손녀에게 되물림 된다는 사실을 이 책을 통해서 알 수 있으며, 트라우마가 3대까지 유전된다는 것은 쥐의 실험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이처럼 트라우마가 유전되는 이유는 트라우마로 인해 생긴 기억들이 우리가 무의식적으로 기억하고, 가족간의 유대관계에 따라 할머니 할아버지의 삶이 그대로 손자 손녀에게 되물림 된다는 것이다.

트라우마의 실체에 대해 궁금할 수 밖에 없다. 어릴 적 겪었던 커다란 상처에 대한 기억은 우리의 뇌 뿐만 아니라 우리 몸 자체가 기억하게 된다. 비슷한 경험, 비슷한 상황이 눈앞에 펼쳐지면, 그 사람은 움찔거리며, 몸이 굳어버린다. 그사람은 그 순간 공격적인 성향으로 바뀔 수 있으며, 그들에게 필요한 것은 과거와 현재를 연결 시켜 주는 매개체, 즉 다리 역할을 해주는 무언가가 과거에 경험했던 슬픔과 아픔을 지울 수 있으며, 그럼으로서 현재의 힘들고 고통스러운 상황들을 바꿀 수가 있다. 책에는 이렇게 핵심트라우마를 치유하기 위해서 두가지 방법을 제시 하고 있다.

첫번째 방법은 다리 놓기 질문이다.다리놓기 질문이란 과거와 현재를 연결 시켜 주는 다리 즉, 질문을 통해서 트라우마의 원인이 되는 과거에 경험했던 가장 큰 두려움을 꺼낼 수 있으며, 그 두려움의 실체가 무엇인지 이해하고,치유할 수 있는 실마리를 찾아가는 것이다. 두번째 방법은 가족 관계도였다. 자신을 둘러싼 가족 관계도 속에서 트라우마를 경험하게 하는 핵심원인이 어디에서 온 것인지 찾아내 그것을 바꾸도록 하는 것이다. 여기서 가족관계도가 등장하는 이유는 자신의 트라우마의 원인이 가족 중 누군가의 폭력이 될 수 있으며, 가족 중 어떤 이의 죽음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누군가 세상을 떠난 이유가 자신에게 있다고 생각한다면, 그 당사자의 트라우마가 될 수 있으며, 그 연결 고리를 단절시켜야 트라우마가 해소될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이다. 세월호 유가족이 이유없이 죽어간 아이들로 인하여 죄책감을 느끼고, 고통스러운 나날을 보내는 것처럼, 그 상황이 만들어진 것이 그 사람 때문이 아니라는 걸 도와 주는 것이 세월호 유가족이 안고 있는 정신적 트라우마를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이 되는 것이다.

이 책을 읽으면 트라우마란 혼자서는 결코 해결될 수 없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자신의 트라우마는 혼자 뿐 아니라 주변 사람들의 도움 속에서 과거의 기억들을 지워 나갈 수 있고, 어떤 상황에 직면할 때 불식간에 찾아오는 트라우마 증상을 잘 이겨내고, 벗어날 수 있다. 그렇게 해야 우리 사회가 건강해지고, 서로가 서로를 챙겨줄 수 있기 때문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