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임당 - 그리운 조선여인
이수광 지음 / 스타리치북스 / 2016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영애 주연의 사극이 조만간 방영될 예정이기에 신사임당의 삶에 대한 관심이 증폭되고 있다. 조선시대 현모양처의 대표인물로 알려진 신사임당의 삶. 이 소설은 신사임당의 만들어진 이미지의 실제 모습과 예술가로서의 삶에 접근하기 위해서 소설의 형식을 빌리고 있다.

그동안 읽었던 신사임당에 관한 소설은 세권이다. 그 세권에서 공통적으로 등장하는 건 중종 14년에 벌어진 기묘사화이며, 신사임당의 외할아버지 이사온과 아버지 신명화,그리고 남편 이원수이다. 물론 조선의 대학자 율곡 이이의 삶이 같이 등장하고 있다. 이 소설 또한 그런 형식을 취하고 있으며, 조선의 여인으로 살아야 했던 신사임당의 어린 시절에 주목하고 있다.

강릉에서 부짓집이었던 신사임당의 집안. 신사임당의 어릴 적 이름은 신인선이었으며 이사온은 외손녀가 가지고 있는 특별한 재능을 놓칠 수 없었다. 그 시절 남자들에게만 글을 익히고 공부할 기회가 주어졌기에 신사임당이 글을 배운다는 것은 어쩌면 특별하다고 할 수 밖에 없다. 그건 조선시대라는 특수한 시대적 상황에서 아무리 재능이 좋아도 여성으로서 출세의 길이 막힐 수 밖에 없었으며, 신사임당은 때로는 행운이 많은 사람이라 할 수 있다. 소설에는 신사임당은 남자로 분장하여 과거를 치루는 픽션이 있으며, 그것이 사실이야 아니냐보다 더 중요한 것은 신사임당의 재능이다. 시와 서화,그림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재능을 가지고 있었던 건 신사임당의 능력 뿐 아니라 할어버지 이사온의 물질적인 지원이 있다.

이렇게 잘 나가던 신사임당의 집안에서 이원수는 처가살이를 할 수 밖에 없었다. 그럼으로서 이원수는 어쩌면 처갓집에서 서운한 일이 많았을 수도 있었다. 아내 신사임당에 대한 아쉬운 마음, 그것은 사랑으로 채우기엔 부족하였으며, 남들은 다 하는데 왜 나는 안 되느냐고 자책할 수 밖에 없다. 조선의 사대부 양반집에는 있는 첩이라는 것에 대해 이원수가 첩을 두는 것에 대해 신사임당이 반대하고 있다는 것이 소설 속에서 그려내고 있는 그 부분이 눈길 갔다. 평창의 한 주막집에서 일하는 권씨 .. 그녀와 사랑을 나누었던 이원수의 삶.. 첩을 들일 수 없었기에 외지로 나갈 때면 이곳에 들렀을 것이다. 그리고 결국 신사임당이 세상을 떠난 이후에서야 비로서 첩으로 들일 수 있었다.

육곡이이의 삶이 마지막에 기술되어 있다. 밤나무 골을 따서 율곡이라 지었던 이이는 조선의 대학자였으며, 우암 송시열에 의해 이이의 업적과 신사임당의 삶을 부각 시키게 된다. 그리고 그렇게 해야만 자신의 정치적 목적을 세울 수 있었다.송시열은 조광조,이이,김장생으로 이어진 조선 기호학파의 학통을 계승 발전 시킬 수 있었으며, 서인의 힘을 하나로 뭉치기 위해서 율곡 이이의 업적을 부각 시켰던 것이며, 신사임당의 삶에 조광조, 이이, 송시열이 등장하는 건 어쩌면 당연할 수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