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테이블 없이 회의하라 - 가족, 직장, 친구, 나 자신과의 소통을 방해하는 5가지 T.A.B.L.E
김동완 지음 / 레드베어 / 2016년 9월
평점 :
절판
소통의 중요성에 대해 말하고 있는 책. 우리 일상에 소통이 등장한 것은 사회가 복잡해지고 인간관계가 중요하면서 부터였다.우리 속담에 '아 다르고 어 다르다' 는 말처럼 같은 말이라도 그 의미가 달라지는 이유..그것이 스스로 소통한다 생각하지만 사람과 대화 과정에서 엇박자가 생기는 이유이다. 그래서 이 책에는 소통하기 위해서 다섯가지 방법을 말하고 있으며, T(Teach),A(Admit),B(Because),L(Late),E(Enemy) 이 그 방법이다.
T(Teach): 가르치려 하지 말고 경청하라
A(Admit): 주관을 소신있게 피력하라
B(Because): 변명이 아닌 해명을 하라
L(Late):늦지 마라
E(Enemy) :이성적으로 미워하라
이 다섯가지 비법 속에서 우리가 왜 소통이 안 되는지 알게 된다. 소통하면서 자기 말한 하는 사람들, 듣지 않고 미리 생각하고 먼저 말하며, 답을 먼저 얻으려는 우리들의 모습이 그려지고 있다. 경청이란 사실 힘든 것이다. 상대방이 같은 말을 반복적으로 하게 될 때 감정과 이성 사이에서 흔들리게 되고, 갈등하게 된다. 인내하고 참고 기다리는 것, 그 안에서 나 스스로 어떻게 해야 하는지 고민하게 된다.
이 다섯가지 소통의 방법 중에서 가장 힘든 것은 <A(Admit): 주관을 소신있게 피력하라> 아닐까 생각하였다. 우리 사회에서 주관을 가지고 소신있게 말하는 것이 때로는 눈치없이 군다 라는 말을 듣기에 딱 좋기 때문이다. 소신있게 말하기 위해서 우선 나에게 필요한 것이 신뢰와 믿음이다. 그래야 소신있게 말할 수 있고 소신있게 말하더라도 상대방이 경청하고 받아들일 수 있기 때문이다.
적을 만들지 않으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일단 상대의 자존심을 상하게 하지 말고, 수치심이나 모욕감을 느끼게 하지 말아야 한다. 또 공개적인 자리에서 개인 신사에 대해 함부러 말해선 안 된다. 그리고 만약 나에게 적이 많다고 느낀다면 혹시 남을 흉보는 버릇이 있지는 않은지, 겸손하지 못하고 잘난 척하진 않았는지 돌아봐야 할 것이다(P175)
소통하는데 있어서 가장 기본적이면서, 지켜지지 않는 것이다. 나 또한 마찬가지이다. 주변 사람들 중에서 호감을 많이 만드는 사람보다 적을 만들지 않는 사람들을 보면 존경 스럽고 그 사람과 가까이 하고 싶어진다. 내가 가지지 않는 것을 그 사람과 가까이 하면서 배울 수 있고 느낄 수 있기 때문이다.
소통을 하기 위해서 중요한 것은 사소한 것을 놓치지 않는 것이다. 나에게 어떤 문제가 있는지 주변사람이 나에게 어떤 것이 부족하다고 말하면, 그것이 나에게 약이 된다면 스스로 노력하고 변화를 시도하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