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젠트리피케이션을 말하다 성공회대학교 동아시아연구소 학술총서
성공회대학교 동아시아연구소 기획, 신현준.이기웅 엮음 / 푸른숲 / 2016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젠트리피케이션이라는 용어는 1964년에 만들어진 용어로 낙후 지역에 중상류층이 들어와 살면서 기존에 살앗던 저소득층을 대체하는 현상이며, 지금은 한 지역에 오랫동안 거주하거나 살고 있었던 원주민을 밀어내는 현상을 뜻하는 부정적인 의미로 쓰여진다. 특히 서울은 경제와 부동산 투자가 밀집된 거대한 공간으로서 개발과 재개발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지면서 낡음을 새것으로 교체하는 부동산 투자가 지금까지 계속 이어져 왔다. 그럼으로서 기존에 평범한 일상을 살고 있었던 사람들은 점점더 외곽으로 밀려났으며, 개발 보존지역이나 개말할 수 없는 곳으로 밀려나게 된다. 책에는 이런 현상이 두드러진 곳 여덟곳을 소개하고 있으며, 그들 안에서 그런 현상이 왜 일어나는지 그 이유를 설명해주고 있다. 


책에서 소개하는 여덟곳은 서촌,종로3가,홍대,가로수길,한남동, 구로공단, 창신동, 해방촌이며, 이 곳은 해방이후 피난갔던 이들이 다시 모이면서 공동체를 형성하고 정부 주도의 개발이 이루어지면서 점점 바뀌게 된다. 특히 정부가 처음 경제개발을 목적으로 만들었던 경공업 수출단지 구로공단은 세월이 흘러 방직공장으로서의 과거의 영광을 잃어버리게 된다. 그럼으로서 정부는 이곳에 새로운 시도를 하고 있으며, 서울 시민들의 기억속에 남아있는 구로공단에 대한 색채를 지워가고 있다. 구로공단역에서 구로디지털단지역으로 이름을 바꾸면서 디지털 공단으로서 탈바꿈 시도 하고 있으며, 그들의 목적에 맞는 새로운 시도를 하고 있다. 


종로 3가에 있는 종묘와 파고다 공원은 노인들이 모이는 공간으로서, 그들의 문화를 형성하고 있다, 여기서  종묘 공원은 보수 성향의 색체를 지니고 있는 어버이연합이 모여 있는 공간으로 정치적인 색채가 짙은 공간으로 바뀌었으며, 파고다 공원은 노인들의 평범한 일상을 느끼고 놀 수 잇는 공간이라 할 수 있다. 이렇게 종로 3가에 노인들의 공간으로 바뀐 이유는 바로 2호선,3호선,5호선이 교차되는 곳이며, 노인들이 지하철을 타고 쉽게 이동할 수 있는 최적의 공간이기 때문이다. 또한 소일거리를 즐길 수 있으며, 비슷한 성향을 지닌 사람들과 소통을 할 수 있고 정보를 공유할 수 있기 때문에 사람들이 모이게 된다. 


창신동 이야기..이 지역은 도시 재생과 관련한 이야기가 등장하는데, 서울시에서 추진하는 도시 재생이란 어떤 의미를 가지는것인가에 대해 한번더 생각하게 된다. 낡은 것을 지우고 새로운 것으로 대체한다는 의미를 가지는 개발과 달리 도시 재생은 복원의 성격을 지니고 있다. 하지만 도시 재생이라는 의미에는 부동산 개발 논리와 수익성이 감추어져 있다. 도시 재생을 통해서 경제 활성화가 만들어지고 새로운 수익성을 창출하자는 목적을 가지고 있지먼, 실제로는 그런 모습보다는 지역 주민들간의 갈등을 부추기는 형태를 보여주고 있다. 서울시에서 정부에서 시행하고 있는 도시재생사업을 직접 겪어본 주민들은 그들이 우리에게 관심 가져 주는 것에 대해 거부하고 있다. 그건 그들이 살고 있는 공간을 정부 정책으로 인하여 파괴하고 있으며, 경제활성화라는 순기능 보다는 갈등과 반목, 부동산 가격 상승으로 인하여 주민들의 이탈이라는 역기능이 도드라지기 때문이다. 


이 책을 읽어본다면 젠트리피케이션이라는 의미에 대해 구체적으로 알 수 있다. 돈이 있는 자본가나 사업가의 계획과 목적에 따라 공간이 이동하면 그공간은 돈을 매개체로 하여 지배층과 피지배층으로 나뉘게 된다. 여기서 피지배층은 법과 제도의 보호를 받지 못하고 밀려날 수 밖에 없으며, 최근 불거지고 있는 맘상모 사건과 싸이와 임차인간의 갈등이 그 대표적인 경우이며, 그들의 상가 부동산 가치를 올려놓은 세입자의 입장에선 법과 제도의 보호를 받지 못하고 쫒겨나는 것에 대해서 울분을 토할 수 밖에 없는 것이 대한민국의 현주소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