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시 프로이트, 내 마음의 상처를 읽다 - 일과 사랑, 인간관계에서 힘들어하는 이들을 위한 정신분석학적 처방
유범희 지음 / 더숲 / 2016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프로이트의 꿈의 해석을 읽은 적이 있습니다. 주석이 같이 있는 책 프로이트의 <꿈의 해석>에는 정신학과 관련하여 어려운 이론이 많습니다. 프로이트는 의사였기 때문에 환자들의 다양한 꿈과 자신의 꿈을 해석하여 사람의 마음을 이해하며, 사람의 마음 속에 존재하는 무의식에 대해 하나의 이론으로 만듭니다.. 프로이트의 업적은 그동안 의식과 무의식의 세계를 체계화 하였고, 무의식을 연구함으로서 우리의 병의 원인을 이해하고 치유할 방법을 찾았다는 것에 있습니다. 이 책 또한 프로이트의 이론을 바탕으로 우리 사회에서 나 자신의 정신적인 병의 원인과 치유법에 대해 말하고 있습니다.


우리의 마음 속에 분노가 생기는 이유는 다양한 이유가 있습니다. 그 중에서 한가지 경우를 들자면 나 자신이 싫어 하는 사람의 모습을 누군가가 따라하는 경우, 분노라는 감정으로 이어집니다. 성격이 급한 사람이나 강박관념을 가진 사람을 싫어한다면, 어떤 사람이 그런 행동을 보여주면서 나 자신을 괴롭힐 때 그것을 참지 못하고 무의식적으로 분노를 드러냅니다. 참아야 한다는 걸 알지만 그렇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건 스트레스로 이어지며,후회하게 됩니다. 저 또한 예외일 수 없습니다.


아나운서의 경우 가장 큰 실수는 뉴스나 생방송 도중에 말실수를 하는 것입니다. 그럴 경우 주워 담을 수 없는 경우가 있고 누군가 옆에서 그것을 수습해야 하는 경우가 생깁니다. 아나운서 뿐 아니라 평소에 말실수를 하는 이유는 자신의 경험이 일상 속에서 사회 생활 안에서 느껴질때 말실수를 하게 되고, 상대방이 편한 경우에도 예의를 차리지 못하고 말실수 하게 됩니다. 그런 경우 스스로 빨리 사과를 하고 수습하는 것이 좋습니다.


프로이트의 정신학을 보면 의식과 전의식,무의식,자아와 초자아,이드에 대해 빠지지 않고 등장합니다. 이드는 바로 무의식이며, 우리의 생물학적인 충동이 여기에 해당됩니다. 우리는 이드와 자아, 초자아 사이에서 언제나 갈등하고 부딪치면서 균형을 잡아갑니다. 이 세개가 무너지는 경우 일상적인 생활을 하지 못하고 정신적인 병이 생깁니다.


주변에 잘난 척 하는 사람을 봅니다. 그런 사람을 자기애가 강한 사람이라 부릅니다. 예술가 중에는 자기애가 강한 사람이 많으며, 빈센트 반고흐,렘브란트,에곤 실레가 대표적입니다. 이들은 자기에성 인격장애를 가지고 있으며, 자화상을 많이 남겼으며,자신의 모습을 그림을 통해서 다양하게 표현하고 있습니다. 조울증의 날이 3월 30일이며, 그날은 빈센트 반고흐의 생일입니다. 빈센트 반 고흐는 38살의 나이에 권총 자살하게 됩니다.. 


우리가 정신병에 걸리는 이유는 사회생활을 하면서 자연스러운 삶보다는 감정을 억누르고 억압하고 참는 삶에 익숙해져 있기 때문입니다. 항상 자신의 감정을 드러내지 못하고 드러내는 경우 불이익을 받게 됩니다. 여기에 거절 당할 수 있다는 심리가 증폭되면 정신병으로 이어집니다. 그것이 바로 책에서 말하는 내 마음의 상처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