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제의 칼 - 소설 동성왕
김현빈 지음 / 주류성 / 2016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타임머신이 있다면 돌아가고 싶다. 신라와 백제,고구려가 함께 있었던 그 시절로 돌아가 백제가 남긴 유산,신라가 지워버린 유산을 찾아보고 싶어진다. 신라는 자신들을 드러내기 위해서, 백제를 지웠으며,일연과 김부식은 백제의 역사를 재생시키지 못하였다. 어쩌면 신라가 찬란한 역사를 기억되고 남아 있는 것은 백제의 역사를 지웠기 때문인지 모른다. 


이 소설은 백제 동성왕 이야기를 다루고 있다. 한정된 백제의 사료들,그 사료를 바탕으로 작가는 현존하는 역사 자료를 바탕으로 자신의 상상력을 마음껏 뿜어내고 있었다.백제라는 나라에 대해서,백제의 왕은 어떤 삶을 살았는지 이 소설에 있으며, 마한을 삼킨 백제는 다시 신라에게 삼켜지게 된다.  마한이 사라졌다해서 모두 사라진게 아니며 백제가 사라졌다 해도 모든 것이 지워진 것은 아니었다. 어딘가 남아있는 백제의 기록들 그 기록을 우리는 재생시키려는 노력을 현재 시도하고 있다. 


소설 속에 나오는 주인공 모대, 모대는 백제 권력의 중심에 있었으며 한 여인을 사랑하고 있다.그 여인의 이름은 이요였으며, 자신이 왕이 됨으로서 자연스럽게 이요를 어륙(於陸)으로 삼고 싶었지만 그럴 수 없었다..왜의 여인이면서 천한 출신이었던 이요를 어륙이 되는 걸 신하들이 반대하였으며 이요는 어륙의 바로 밑 모대의 빈이 되었다..그러나 언제나 모대에게 있어서 사랑하는 여인은 이요 한사람뿐이었다.왕으로서 힘들때면 언제나 이요 곁에 머물러 있었다. 


그렇게 소설은 고구려와 신라가 대치 하면서 곰나루에 도읍을 두었던 백제는 지금의 한강 유역 
욱리하 (郁里河)를 차지 하려고 전쟁을 벌였다. 중국의 요서 땅을 차지 하면서 제나라와 위나라와 대치하고 있는 이야기,왜나라와 교류하면서 모대 공자로 불리었으며 사마 또한 사마 공자로 불렸다. 


이 소설을 읽으면서 뭔가 아쉬웠다. 백제의 역사 사료가 없다는 한계점, 소설 동성왕을 이해하려면 역사에 대한 기본적인 상식이 있어야 한다는 걸 뼈져리게 느꼈다. 소설 속에 있는 문장과 문장을 연결해 주는 단어를 나 스스로 유추할 수 밖에 없었다. 그리고 백제의 언어가 아닌 조선시대 사람들이 썻던 언어,현대 우리가 쓰고 잇는 언어를 백제의 역사에 차용함으로서 백제 그 당시의 모습을 재생시키지 못하는 한계점을 느낄 수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