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예민한 아이의 특별한 잠재력 - 넌 예민한 게 아니라 특별한 거야!
롤프 젤린 지음, 이지혜 옮김, 이영민 감수 / 길벗 / 2016년 5월
평점 :
나는 예민한 아이였다. 다른 사람들보다 냄새나 빛에 예민하게 반응하고,빛의 노출이 심할 때는 그것이 스트레스였다. 그런 나의 성향에 대해서 부모님은 이해하지 못하였고 전혀 다른 방식으로 접근해 왔다. 책에 나와 있는 이야기 하나 하나 공감이 간다.
집에 예민한 아이가 있다면 부모님은 대체로 다른 아이들보다 더 간섭하고 통제 하려 한다. 여기서 예민한 아이들을 다루기가 어렵고 힘들다는 반응을 보이는 부모님들의 모습..그것은 바로 예민한 아이를 어떻게 다루어야 하는지 잘 모르기 때문이다.. 예민한 아이는 다른 사람들보다 정보를 다른 방식으로 받아들이기 때문에 생각과 가치관 또한 다를 수 있다. 그것을 부모님의 입장에서 보면 문제로 인식하게 되는 것이다. 그걸 해결하기 위해서 여느 아이들을 다루는 방식 그대로 예민한 아이에게 적용하는데, 예민한 아이의 입장에서는 저항으로 다가오고 또다른 스트레스 요인으로서 인식하게 된다.
이렇게 예민한 아이들을 다루기 위해서 필요한 것이 신뢰이며 상호 존중이다. 아이 스스로 하는 일에 간섭하지 않고 관찰 하는 것. 여기에 아이가 무엇을 필요로 하는지 정확하게 집어주는 것이 필요하다. 물론 아이가 무엇이 필요한지 어른의 눈으로 알고 있다 하여도 바로 그것을 해결해 주는 것은 문제가 될 수 있다. 스스로 문제를 해결하도록 지켜보다가 막히는 경우 아이가 도와 달라고 하는 경우 그제서야 도움을 주는 것이다. 그렇지 않은채 어른의 시선으로 도와 주려 할 경우 아이는 그것에 대해서 자신의 영역을 침범했다고 생각한다.
예민한 아이에게 있어서 사춘기가 다가오면 아이도 힘들어 하고 부모님 또한 힘들어한다. 아이의 행복을 위해서, 아이의 문제를 해결한다고 생각하는 부모는 자신의 관점에서 아이를 판단하고 그에 따른 답을 내놓게 된다. 아이가 내적 외적인 갈등으로 혼란 스러워 할 때 부모의 압박과 무리한 요구는 아이에게 고통스러움과 당황스러움으로 다가 오게 된다. 여기서 부모님이나 아이 모두 힘든 순간이지만 시간이 해결해 준다는 생각을 가지고 여유로운 마음을 가지고 대쳐해야 한다. 완벽한 성향을 드러내는 부모는 예민한 아이에게 있어서 독이 될 수 있으며, 아이의 일거수 일투족 간섭함으로서 예민한 아이는 약한 아이가 될 수 있다.
예민한 아이를 다루는데는 답이 없는게 사실이다. 사람마다 저마다 자신의경험을 통해서 답을 찾고 있지만 여기서 필요한 것은 신뢰이다. 시간을 가지고 지켜 보는 것..아이가 도와 달라고 할때까지 꾹 참고 인내하는 방법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