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호모매지쿠스 마술적 인간의 역사 - 그림 속으로 들어간 마술사들
오은영 지음 / 북산 / 2015년 3월
평점 :
유투브 동영상이나 신비한 서프라이즈에 간간히 나오는 마술이야기나 마술쇼를 보면서 어떻게 저런 마술이가능하지 라는 생각이 들 때가 많다...한편으로는 그런 마술쇼의 허구를 찾아내려는 사람들도 있다...
마술은 주술이나 미래를 점지하는 용도로 처음 사용했으며 돌조각이 말을 하거나 갑자기 불이 생기는 마술을 이용해서 왕에 신성시하거나 두려움의 존재로서 마술을 이용하기도 하였다...중세시대에는 마술을 이단으로 규정해서 배척해 왔으며 특히 여성마술사를 마녀라 낙인찍어 화형식을 통해 사형을 시키기도 하였고 우리가 쓰는 마녀사냥은 여기에서 유래된 것이다..여인천하에서 장희빈이 했던 인형에 바늘을 찌르거나 화살로 인형을 맞추는 행위는 동양 뿐 아니라 서양에도 있어왔으며 서양에서는 부두교의 인형 저주가 그 대표적인 경우이다..
1789년 프랑스혁명 이후 마술은 거리에서 극장으로 자리를 옮겨갔으며 크리스티안 호이겐스가 인공빛을 오목렌즈를 이용해서 매직랜턴(Magic Lantern) 마술을 선보였으며 이로인해 영사기 기술 발전을 촉진시킨다...극장안에서 불이 꺼지고 비소리 천둥소리를 이용한 음향효과와 시각 효과가 더해져서 마술은 점점 발전을 거듭해 왔으며 이후 마술쇼는 영화라는 장르를 만들게 된다...
중국마술사 청링수(Chung Ling Soo)와 칭링푸....그들은 총알잡기 마술을 처음으로 선보였고 로버트 후댕은 오늘날 마술에서 빠질수 없는 기본 요소인 매너와 화술,손동작,제스처에 대해 연구하면서 오늘날 마술쇼의 기초를 닦아가게 된다..
우리가 쉽게 접할 수 있는 컵이나 그릇안에 공이나 주사위를 넣고 공이 어디 있는지 맞추는 쉘게임(Shall Game)이나 트럼프 게임도 마술의 한 종류이다...특히 트럼프 마술은 16세기부터 오늘날과 같은 모양을 갖추기 시작한다...
책에는 우리 삶과 함께 해 온 마술의 역사와 마술이 오늘날 모습을 갖추게 된 과정,그리고 핍박받게 된 중세시대의 이야기가 일목요연하게 정리되어 있어서 ...마술을 모르는 사람이라도 이해하기 쉽도록 하였으며 마술에 대해 관심있는 사람에게 추천해 주고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