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하지 않는 한국사 - 교과서에서 배우지 못한 우리 역사의 불편한 진실
최성락 지음 / 페이퍼로드 / 2015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는 중국의 동북공정,일본의 역사왜국에 대해서 언론틀 통해서 분노를 표시하면서 두 나라에 대해서 비판을 하게 된다..하지만 우리는 우리의 역사를 중국이나 일본에 비해서 우리의 역사를 제대로 기술하고 있을까 하는 의구심이 들수 밖에 없고 결론은 아니다 라는 답이 나오게 된다..이처럼 우리의 역사는 이해집단의 힘의 논리에 따라서 왜곡되어 가고 있으며 상대적으로 약한 집단의 목소리는 묻힐 수 밖에 없다는 걸 알 수 있다..특히 기득권인 친일 세력의 역사는은 점점 커져 가고 있으며 북한과 연관되어 잇는 역사는 묻히고 있다는 걸 알 수 있다.


학교 다닐 땐 국정 역사교과서가 깨끗하고 진실된 이야기가 담겨져 있다고 생각하였다..그러나 교과서 밖에서 벗어나 다양한 역사관련 책을 읽으면서 우리 역사 교과서에 문제가 많다는 걸 알게 되었으며 역사교과서를 편찬하는 이들은 그 문제들을 알고 있지만 그것을 제대로 이야기 하고 있지 않는다는 걸 알 수 있다..특히 역사 교과서 안에 친일파의 흔적에 대해서 하나하나 알게 되었을때의 실망감을 느낀 적이 한두번이 아니었다...


이렇게 우리의 역사를 왜곡하는 그 이유에는 여러 전쟁으로 인하여 역사적인 사료가 불태워지고 해외로 밀반출되면서 부족한 이유도 있지만 단재 신채호의 민족주의 사관으로 인하여 문제가 되는 역사들을 지우려 했다는 걸 알 수 있다..특히 제주 4.3 사건과 독립 운동가 중에서 월북한 사람들의 기록에 대해서 아는 사람은 많지 않다는 걸 알 수 있으며 최근 역사교과서 국정화로 인하여 합법적으로 역사를 왜곡할 수 있게 되었다는 걸 알게 된다..얼마전 교학사 역사 교과서가 먹혀들지 않자 이제는 자신들의 힘을 이용하여 점점 더 역사 왜곡을 현실화 하고 있다는 걸 알 수 있으며, 우리가 잘 알고 있는 친일파들의 역사적인 사실들에 대해 과()는 감추고 공(功)만 내세우려 하는 움직임이 여기저기 보여지고 있다.


이 책에서 관심이 갔던 것은 임진왜란 이야기였다..우리가 가장 많이 알면서도 정확히 모르는 역사속의 임진왜란..사극과 영화로 많이 다루고 있지만 임진왜란에 감추어진 이야기들은 정확하게 이야기 하고 있지 않다는 걸 알 수 있으며 임진왜란 속의 이순신과 징비록을 쓴 서애 류성룡의 공(功)만 부각시키려 하고 있다는 걸 알 수 있다..내가 알고 실은 임진왜란은 우리의 입장에서 보는 임진왜란이 아닌 중국과 일본 그리고 임진왜란과 연관되었던 주변 여러 나라들은 임진왜란에 대해서 어떻게 보고 있느냐 였다...성웅 이순신을 중심으로 알고 있는 임진왜란이 아닌 임진왜란이 왜 일어났는지 그리고 임진왜란이 일어나는 그 과정의 이야기,우리가 알고 있는 임진왜란의 끝은 이순신의 죽음이 마지막이지만 나 자신이 알고 싶은 것은 이순신이 죽은 그 이후 조선의 상황도 알고 싶었다.비록 이 책에 담고 있는 이야기는 내가 궁금한 것의 반의 반도 안 되는 분량이지만 이 책이 임진왜란을 알기 위한 첫 발걸음이었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하였다..그것이 나 자신이 역사를 알고 싶어하는 그 이유라고 할 수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