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희의 국경
신경진 지음 / 문이당 / 2015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소설의 표지는 상당히 원색적이다...그 원색적인 표지에 한 여성..이 여성은 바로 소설 속 주인공 신유희라는 걸 알 수 있으며 소설가 아버지와 부잣집 시댁을 둔 유부녀라는 걸 소설 속에서 알 수가 있다..그러나 이렇게 서로가 다른 환경에서 자란 두 부부의 만남은 사랑하지 않았기에 헤어질 수 밖에 없었다..


소설 속 주인공 신유희..정치학과 교수였던 남편과의 만남과 결혼...그러나 두 사람의 만남을 탐탁치 못한 사람이 시어머니였으며 이혼의 원인제공자 또한 남편 정상훈에게 있다는 걸 알 수 있다..학원 재단을 운영하는 집안에서 해외에서 딴 박사학위는 바로 우리가 말하는 금수저였으며 정상훈에게는 그것이 돈이면서 권력이라는 걸 알 수 있다..이렇게 자신이 가지고 있는 금수저는 유희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바람을 피우는 계기가 되며 국회의원으로 출마를 할 수 있는 기회가 되었다.. 


신유희는 정상훈과 이혼과정에서 자신이 겪었던 그 상처...6개월간 별거후 시어머니의 이혼통보....여기서 유희는 이상보다는 현실을 택하게 되고,복수 보다는 돈을 먼저 택하게 된다...그리고 두 사람의 이혼 과정에서 신유희의 아버지 소설가 신현우를 통해서 이루어지게 된다...


소설을 읽으면서 이런 생각을 하게 되었다..두사람의 이혼 과정에 아버지가 아닌 어머니가 있었다면 어떻게 하였을까...방황하는 유희에게 어머니의 부재는 절대적이었으며 바람 피운 남편에게 자신을 이해하고 자신의 권리를 따질 수 있는 그 입장에 놓여졌음에도 스스로 그 권리를 내세우지 못하게 된다..


이렇게 소설 속 신유희의 모습에서 보다시피 신유희에게는 이혼 이후 새로운 사랑에 빠지게 되고 세명의 남자와 만나게 된다는 걸 알 수 있다..


이 소설을 읽으면서 우리 현실 속에 실제로 있는 이야기라느 생각을 하게 된다..누군가는 시집 잘 갔다는 이야기를 하지만 그 안에 보여지는 실제적인 모습.그 모습들은 바로 우리들의 이야기라는 것을 알게 되고 유희와 상훈을 통해서 그려나가고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